모스크바급 순양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 그림 설명  = 정박한 모스크바
| 그림 설명  = 정박한 모스크바
<!-- 기본 정보 -->
<!-- 기본 정보 -->
| 제식명    = 모스크바급 유도탄 순양함
| 제식명    = проекта 1164 《Атлант》
| 함번    =  
| 함번    =  
| 함급    = 모스크바급
| 함급    = 모스크바급
| 함종    = [[순양함]]
| 함종    = [[순양함]]
| 운용국    = {{국기|소련}} > {{국기|러시아}}
| 운용국    = {{국기|소련}}<br>{{국기|러시아}}
| 건조    =4척
| 건조    =4척
| 진수    = 4척
| 진수    = 4척

2020년 6월 25일 (목) 12:01 판

틀:군함 정보

모스크바급 순양함(Москва Класс Крейсер)은 소련러시아의 유도탄 순양함으로 проекта 1164 《Атлант》[1]라고 한다.

몇 없는 현존 순양함인 모스크바급은 소련 시절 다수의 유도탄 탄막을 전개해 연안을 봉쇄한 미해군 함대를 격파하는 것이 주 임무인 대수상 순양함 이었다. 현재 러시아의 주요 3개 함대[2]에 배치된 핵심 전력이며 주로 기함으로 운용된다.

함급의 유래는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다.

역사

부산에 온 바랴그.
작전중인 모스크바

모스크바급 순양함의 본래 소련 시절 이름은 슬라바급 순양함(Слава 영광)이다. 소련의 건함 계획명은 프로젝트 1164로 강력한 성능을 지녔지만 비용이 많이 나가던 키로프급 원자력 순양함의 염가형으로 계획되었다. 따라서 용도는 키로프급과 유사하다. 다만 원양진출 계획의 일환인 키로프급과는 달리 슬라바급 순양함은 연안에서 소련의 주요 해상을 봉쇄한 미 해군 항모전단과 서방권 해군의 함대에 화력을 쏟아부어 격멸하는 구축함과 유사한 성격의 순양함이었고 원양작전이 필요치 않으니 그 거대한 함체에도 불구하고 가스터빈 추진방식을 사용한다. 슬라바급은 구형화된 카라급 순양함을 대체하기 위해 계획되었으며 소브레멘니급과 우달로이급과 동시기에 소련 해군 함대를 구성하게 되었다. 첫 초도함인 슬라바함(현 모스크바함)은 1979년에 진수하여 1983년 실전배치 되었고, 그 뒤로 마샬 제독함, 바랴그함이 1990년대 까지 건조되었고 4번함 어드미럴 플로타 로보프 함이 개명 후 우크라이나함으로 건조되던 중 소련이 붕괴되며 진수 후 취역 직전 단계에서 종료되어 크림 반도에 조선소가 있던 우크라이나로 넘어간다.

이 우크라이나함은 우크라이나 해군에서 해군 총기함으로 운용할 계획으로 중단되었던 건조를 완료시키고 우크라이나 해군으로 취역하려 했으나 대형함의 특성상 상당한 예산의 압박으로 결국 건조도 완료하지 못한 채 실전배치를 포기했다.

우크라이나는 원 주인인 러시아 연방[3]에게 되팔려고 했지만 러시아와 판매 협상 과정에서 의견차가 너무 많았고 과거 소브레멘니급 도입 사례가 있던 중국에도 우크라이나의 판매를 검토했지만 중국에 대한 판매도 실패하며 더 이상 가치를 상실한 우크라이나 함은 해체 과정에 들어가며 짧은 함생을 마친다.

모스크바급의 본래 함급명인 슬라바는 러시아 해군으로 편입되면서 러시아의 수도인 모스크바로 변경되었으며 소련시절 슬라바급 시절에 흑해함대와 북방함대, 그리고 태평양 함대에 각각 배치되어 작전을 전개하였고 이 중 흑해함대의 모스크바가 2008년 조지아와의 남오세티아 전쟁에서 첫 실전을 경험한다,

성능

전자장비

전방이 프리기트 MR-710 레이더, 후미쪽이 보스크 후드 MR-800레이더다. 구형의 레이더는 3M41 Volna 레이더

모스크바급은 3차원 탐지 추적레이더를 운용하는 군함으로 Voskhod MR-800 레이더와 프리기트 MR-710를 주 레이더로 운용중이다. 이들 레이더는 1970년대의 비교적 구형의 레이더지만 모스크바급 순양함은 이들 레이더 덕분에 대함미사일을 50킬로미터에서, 전투기와 항공기를 250~300킬로미터에서 탐지해 추적할 수 있는 현재 기준으로도 준수한 레이더이다. 다만 최근 배치되는 최신형 군함들보단 떨어지므로 지속적인 개량이 필요해 보인다. 이들 레이더 중 프리기트 MR-710 레이더는 마스트 최 상부에 있으며 회전은 최대 5초당 한번 회전하는 정도에 조사각은 최대 70도라 수직낙하하는 표적에는 취약한 단점도 있지만 이건 이지스 레이더도 가진 고질적 문제니 넘어가도록 하자. MR-710 레이더는 모스크바급의 최대 동시교전능력은 6개에서 12개로 이지스함 수준의 방공능력을 보유한다고 보고 있으며, 이전에는 동시 교전능력 상 6개의 표적과 동시교전이 가능한 전투체계를 보유하고 있어 취역 당시만 해도 강력한 전투력을 지니고 있었고 오늘날 기준으로도 수준급의 성능을 보유하였으나 다만 서방권 국가들의 해군이 보유한 신형 방공함과 이지스함 같은 방공함들에 비해서 동시교전능력이 떨어진다는 흠을 가지고 있있다고 알려졌으나 모스크바급도 서방권 함정과 대등한 전투능력을 확보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애초에 소련이 동시교전능력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이 순양함의 주 임무가 대함이라는 점에서 건조 목적에 맞게 운용할 시 문제는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6개라는 것도 정확한 것이 아니며 전자장비의 성능 상, 이지스함과 대등한 수준인 12개 이상의 동시교전 능력을 확보한 준 이지스함일 것이라는 것이 주요 의견이다. 동일한 전자장비를 보유한 키로프급이 12개의 표적과 동시교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는 신빙성이 있다. 결국 모스크바급도 준 이지스함으로 분류될수 있으며 이러한 방공능력으로 키로프급과 함께 대수상,대공 임무를 담당하던 함대의 핵심 전력이였다.

그래도 전반적인 전자장비 성능은 미국과 서방권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며 러시아는 최근 생존함들의 레이더를 현대식의 Fregate-M2M레이더로 교체하는 등의 개량을 진행했다. 그리고 소련은 이런 전자장비적 열세나 소프트웨어식 열세를 하드웨어로 극복하고자 했으니 그것이 앞으로 설명할 무장능력이다.

화력(방공,대함능력)

언급했듯이 대수상 전용으로 건조된 순양함으로 대함공격능력에 강점을 도고 있다. 러시아 군함답게 화력에 치중한 모스크바급은 함정이 보유한 자체 고정 무장으로는 P-500바잘트 미사일을 16발 장착하며 개수 후 더 강력한 P-1000 불칸 대함미사일로 무장한다. 미사일은 함의 함수에 줄지어 위치한 16개의 미사일 발사대에서 발사되며 덕분에 타 군함들과는 다른 특이한 외형을 가지게 되었다. 이 바잘트 계열 대함미사일도 P-700 그라니트(나토 코드: 쉽렉) 같이 음속의 2배에 달하는 속도를 내며 전봇대 만한 거대한 순항미사일로 550킬로미터의 사거리에 탄두중량 1톤에 달하여 항공모함도 단발로 무력화 시킬수 있는 중무장이다. 거기에 300킬로톤 짜리 핵탄두 장착도 가능하니 여차하면 함대에 핵공격을 가할 능력도 있었고 실재로 그런 식으로 운용하여 대함대 여차하면 대함대 핵공격과 적성국 해안 도시들에 대한 핵공격 능력도 확보하고 있었다. 바잘트와 불칸의 경우 빠른 속도로 적의 대공망의 대응시간을 주지 않음으로 방공망을 돌파하는 방식이지만 현대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이점이 줄어들게 되자 현대화 개장을 통해 신형 무장의 통합을 계획하고 있다.

모스크바급의 주력무장인 대함무장 외에도 현대 순양함으로서 중요한 임무인 함대방공과 자함을 보호하기 위한 개함방공을 위해 러시아의 대표적인 대공 미사일인 S-300의 해상형 S-300F를 탑재하고 있다. 이 대공미사일은 발사관을 원형 리볼버 형식으로 묶은 구형 방식의 수직발사대에서 발사되며 S-300의 발사관을 함에다 장착한 것에 가까워 순항미사일과 대잠미사일등의 운용은 불가능하고 오직 S-300만 운용이 가능해 범용성이 떨어진다. 즉 구시대적 수직발사대를 운용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현대전에서 마이너스 요소로 작용한다. 대공 미사일의 발사 방식은 S-300 발사대를 가져온 거니 당연히 육상형과 같이 콜드런치 방식으로 발사되어 일정 고도에서 점화한 뒤 목표로 날아간다. 장착한 해상형 S-300은 최대 사거리가 150 킬로미터에 달하며 서방의 SM-2와 대등한 수준의 사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서 개함방공을 넘어 함대방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함대 방공함의 수가 적은 러시아에겐 이 모스크바급은 매우 중요한 전력이다. 이 S-300계열의 대공미사일은 64발이 수직발사대에 장착되며 수작발사대는 함 후미쪽에 위치해 있다.

모스크바에 배치된 S-300 발사대, 육상형을 함정에 달아놓은듯한 모습이다.

이처럼 모스크바급은 대함공격과 같이 함대방공이 가능한 대함.대공 다목적 순양함이라고 할 수 있고, 키로프급 다음가는 러시아 해군의 핵심 전력으로 키로프급이 복귀하는 2020년대 이전까지 러시아 해군이 보유한 최고의 주력함이라 할 수 있다.

냉전 시기에 진행된 개수 후 대함미사일은 P-500 바잘트의 개량형인 P-1000 불칸 대함미사일로 교체되었고 사거리 증대와 정확성 향상으로 보다 강력한 대함공격 능력을 갖추게 된다. 이 바잘트 계열 대함미사일들도 구형이긴 하지만 교각이나, 대형 건물(마천루 등) 항구 등 대형 목표물에 대한 탐지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들도 태생이 순항미사일 인지라 대지상 공격능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지상 목표에 대한 미사일 공격을 감행할 수 있고 거대한 탄두중량 대문에 큰 피해를 줄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쟁소설 <데프콘> 1부 한중전쟁 에서도 이 점을 반영했는 지 작중 출현하는 모스크바급[4]이 바잘트 미사일을 발사해 중국 도시를 공격하는 내용이 나온다. 그리고 300킬로톤 정도의 핵탄두는 미 대륙간 탄도탄 미니트맨 통상탄두의 2배에 달하기 때문에 해안도시에 대한 핵공격 감행도 할 수 있었지만 그건 과거 슬라바급 시절 얘기고 SALT 핵무기 감축 협정 이후 이러한 핵순항 미사일 상당수는 폐기되었고 공식적으로 모스크바급도 핵공격 능력을 보유하고 있지는 않다.

추진체계

COGOG 추진방식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이 추진체계는 이 모스크바급과 영국의 데어링급 구축함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스터빈식 추진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고속에서는 대형 가스터빈을 돌리고 저속에서는 소형 가스터빈을 작동시켜 보다 효율적인 추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부는 모스크바급도 키로프급 처럼 핵추진 체계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지만 현존하는 러시아의 전투함들은 키로프급을 제외하면 대개 재래식 추진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항속거리에 제한이 있다.

실전

남오세티아 전쟁

파일:1527079563269.jpg
남오세티아(붉은 부분)

2008년, 러시아가 서방권과 가까워지며 러시아의 영향권에서 벗어나고자 한 조지아(그루지아)를 침공하면서 발발한 남오세티아 전쟁에 흑해함대에 배치된 121번 모스크바함이 조지아로 항진하여 조지아의 항구를 봉쇄하였다. 정작 모스크바급의 건조 이유가 러시아의 항구를 봉쇄한 서방권 함대를 격퇴시키기 위해 건조되었다는 것이였다는 점에서 뭔가 입장이 바뀐 듯 하다.

흑해함대의 기함 모스크바는 조지아의 연안을 봉쇄한 채 빈약한 조지아해군 함정들에 대해 함대공 미사일인 S-300F[5]를 발사하여 무력화 시켰으며, 조지아 해군이 궤멸된 후 조지아의 포치 항구를 봉쇄하였다.

조지아 연안을 봉쇄한 모스크바는 함수 AK-130 쌍열 함포로 조지아에 대한 함포 사격을 감행하며 조지아 내로 진입한 러시아 지상군에 대한 포격지원 임무를 수행하였다.

애초에 러시아군과 전력 비교 자체가 불가능 했던 조지아군은 침략자 러시아군에 대항에 용맹하게 저항했으나 조지아 정부는 결국 14일, 항복을 결정하고 남오세티아와 압하지하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다. 그러나 전투는 16일 까지 계속되었으며 미6함대가 흑해로 진입하며 흑해함대와 대치상황 까지 간다.

결국 러시아는 프랑스의 중재를 통해 미국과의 전쟁으로 까지 번지지 않았고 남오세티아 전쟁도 종결되게 되었다. 임무를 완수한 모스크바는 모항으로 귀항했다.

전망

오늘날 동급 4척이 남아 있었으나 3척은 러시아 해군에 배치되어 있고 1척은 소련 붕괴 후 우크라니아 해군에서 운용할 예정이였지만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후 결국 스크랩 처리될 예정이며 러시아에 남은 3척의 모스크바급들은 현대화 개수 후 다시 현역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그리고 2016년, 바랴그까지 모두 복귀하여 운용중에 있다.

함정목록

함번 함명 소속 현황
121 모스크바 흑해함대 현혁
055 마샬 우스티노프 북방함대 현역
공란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해군 해체
011 바랴그 태평양 함대 현역

각주

  1. 프로옉타 1164 《아틀란트》
  2. 북방 함대, 흑해 함대, 태평양 함대
  3. 우크라이나도 과거 소련 구성국 이였으나 소련을 승계한 것은 러시아 연방이다.
  4. 작중에선 슬라바급이라고 나온다.
  5. 대공미사일로 대함공격을 하는 경우가 잦은 편이다. 대표적인게 미군이 SM-1을 이용해 고속정을 실전에서 파괴하거나 시스패로로 구축함을 대파시킨 것이 대표적 예이다. 또한 멀리 갈것 없이 우리 해군의 함대공 미사일 해궁도 대함공격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