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고속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69번째 줄: 69번째 줄:
| [[동대구터미널|대구]] || ↔ || [[유스퀘어|광주]] ||style=text-align:right;| 211.9 || {{날짜|2018-07-20}} ||  
| [[동대구터미널|대구]] || ↔ || [[유스퀘어|광주]] ||style=text-align:right;| 211.9 || {{날짜|2018-07-20}} ||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style=text-align:right;| 153.2 || {{날짜|2019-03}}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대전복합터미널|대전]] || style=text-align:right;| 153.2 || {{날짜|2019-03-08}} ||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경주고속터미널|경주]] || style=text-align:right;| 319.5 || {{날짜|2019-03}}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경주고속터미널|경주]] || style=text-align:right;| 319.5 || {{날짜|2019-03-08}} ||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청주고속터미널|청주]] || style=text-align:right;| 123.0 || {{날짜|2019-03}}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style=text-align:right;| 125.9 || {{날짜|2019-03-08}} ||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style=text-align:right;| 125.9 || {{날짜|2019-03}}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익산고속버스터미널|익산]] || style=text-align:right;| 194.6 || {{날짜|2019-03-08}} ||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익산고속버스터미널|대전]] || style=text-align:right;| 194.6 || {{날짜|2019-03}}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 || [[유스퀘어|광주]] || style=text-align:right;| 277.6 || {{날짜|2019-03-08}} ||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 || [[유스퀘어|광주]] || style=text-align:right;| 277.6 || {{날짜|2019-03}} ||  
| [[전주고속버스터미널|전주]]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style=text-align:right;| 280.3 || {{날짜|2019-03-08}} ||  
|-
|-
| [[전주고속버스터미널|전주]]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style=text-align:right;| 280.3 || {{날짜|2019-03}}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삼척고속버스터미널|삼척]] || style=text-align:right;| 277.7 || {{날짜|2019-03-08}} || 동해 경유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삼척고속버스터미널|삼척]] || style=text-align:right;| 277.7 || {{날짜|2019-03}} || 동해 경유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 ||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 style=text-align:right;| 362.7 || {{날짜|2019-03-08}} || 마산 경유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산]] || style=text-align:right;| 387.5 || {{날짜|2019-03}} ||  
|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인천]]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style=text-align:right;| 400.6 || {{날짜|2019-03-08}} ||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청주고속터미널|청주]] || style=text-align:right;| 123.0 || {{날짜|2019-03-15}} ||  
|-
|-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 || [[진해시외버스터미널|진해]] || style=text-align:right;| 362.7 || {{날짜|2019-03}} || 마산 경유
| [[청주고속터미널|청주]]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style=text-align:right;| 278.0 || {{날짜|2019-03-15}} ||  
|-
|-
| [[청주고속터미널|청주]]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style=text-align:right;| 278.0 || {{날짜|2019-03}} ||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서부산]] || style=text-align:right;| 387.5 || {{날짜|2019-03}} ||  
|-
|-
|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인천]] || ↔ || [[부산종합버스터미널|부산]] || style=text-align:right;| 400.6 || {{날짜|2019-03}} ||
|}
|}



2019년 3월 4일 (월) 01:13 판

프리미엄 고속버스.jpg

개요

고속버스의 최상위 등급. 우리나라 버스 중에서 가장 고급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관계법령상으로는 시외우등고속버스의 일종으로, 국토부 훈령상 할증특례를 인정받아 시외우등고속버스의 운임에서 30%까지 할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혁

  • 2016년 여름에 개최된 부산국제모터쇼에서 프리미엄 고속버스용 차량이 공개되었다. 운행은 장거리 노선 위주로, 증차로만 허가하는 식으로 가닥이 잡혔다.
  • 2016년 11월 25일부터 서울-부산·광주 노선에서 운행하기 시작했다. 한층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새벽이나 야간에는 인기가 높다. 2016년 추석부터 운행하려 했으나 현대자동차 노조 파업으로 인해 전용차량 출고가 지연되었다.
  • 2017년 6월부터는 서울-대구 등 12개 노선에 추가로 운행하게 되었다.[1] 2016년 12월 탑승률이 70% 선에 이르고, SRT 개통과 기존선 KTX의 강세로 고속버스의 경쟁력이 밀리자 고속버스 협의체에서 국토교통부에 노선 확대를 건의한 결과다.[2]
  • 2018년 7월에는 중장거리 12개 노선이 추가 투입되었고, 기존 노선 또한 증회했다. 특히 200km 규정이 삭제되면서 신규 5개 노선이 200km 미만인 것이 특징이다.[3]

노선

국토부 훈령(여객자동차 운송사업 운임·요율 등 조정요령)상 프리미엄 고속버스로서 30% 할증을 하기 위해서는 21석 이하의 차량으로 운행하여야 한다. 본래 운임거리가 200km 이상이거나 심야노선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지만, 2018년 1월에 삭제되었다.

원칙적으로 프리미엄 고속버스는 고속버스 환승정류소를 비롯한 중간 정차장에 정차하지 않으나, 일부 중간 정류장을 경유하는 경우도 있다. 2018년 7월 현재 프리미엄 고속버스가 배차되는 노선은 아래와 같다.

구간 거리 (km) 운행 개시일 비고
서울경부 부산 384.3 2016년 11월 25일
센트럴시티 광주 290.8 2016년 11월 25일
서울경부 강릉 228.7 2017년 6월 30일
서울경부 대구 282.9 2017년 6월 30일
서울경부 마산 346.6 2017년 6월 30일 내서 경유
서울경부 진주 333.5 2017년 6월 30일
서울경부 창원 351.2 2017년 6월 30일 창원역 경유
서울경부 포항 361.1 2017년 6월 30일
센트럴시티 목포 342.7 2017년 6월 30일
센트럴시티 순천 320.9 2017년 6월 30일
센트럴시티 여수 346.8 2017년 6월 30일
성남 광주 284.3 2017년 6월 30일
인천 광주 311.3 2017년 6월 30일
인천공항T1 김해 434.5 2017년 6월 30일 인천 경유
서울경부 울산 365.7 2018년 7월 20일
서울경부 대전 153.2 2018년 7월 20일
서울경부 세종 130.7 2018년 7월 20일
센트럴시티 군산 202.6 2018년 7월 20일
센트럴시티 연무대 165.2 2018년 7월 20일
센트럴시티 전주 202.6 2018년 7월 20일
동서울 광주 316.1 2018년 7월 20일
인천 대전 174.0 2018년 7월 20일
인천 전주 223.8 2018년 7월 20일
인천공항T1 양양 264.5 2018년 7월 20일
광주 울산 327.8 2018년 7월 20일
대구 광주 211.9 2018년 7월 20일
서울경부 대전 153.2 2019년 3월 8일
서울경부 경주 319.5 2019년 3월 8일
서울경부 공주 125.9 2019년 3월 8일
서울경부 익산 194.6 2019년 3월 8일
부산 광주 277.6 2019년 3월 8일
전주 부산 280.3 2019년 3월 8일
서울경부 삼척 277.7 2019년 3월 8일 동해 경유
동서울 진해 362.7 2019년 3월 8일 마산 경유
인천 부산 400.6 2019년 3월 8일
서울경부 청주 123.0 2019년 3월 15일
청주 부산 278.0 2019년 3월 15일
서울경부 서부산 387.5 2019년 3월 1일

차량

기아 그랜버드 사양(이원컴포텍 납품)

현대 유니버스기아 그랜버드가 운행한다.[4] 본래 많은 회사에서 선호하는 기아 그랜버드의 경우 암전류 문제로 1차 개통때 도입이 무산되었다. 도색은 모든 회사가 통일된 금색 도색을 쓰며 전면부의 완성차 앰블럼이 있어야 할 자리에는 운수 회사 이름이 적혀 있다.

좌석수는 21석이고 1+2 배열이다. 옛 새마을호 수준의 좌석과 각종 편의시설이 있으나, 기본 토대인 버스의 소음과 진동은 그대로다. 좌석별 AVOD가 있기 때문에 중앙TV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되느니, 와이파이가 있느니 하는 데 운수사에 따라 세부적인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

  • 좌석 (열선·통풍, 전동시트, 발 받침, 좌석별 보호쉘·커튼, 테이블)
    시트는 전동으로 움직이며, 등받이는 165도까지 넘어가는 데, 일반 차량과 달리 KTX 좌석 넘어가는 것 처럼 앞으로 슬라이딩 되기 때문에 뒷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일반 우등 차량도 뒷 사람 없으면 수평까지 넘길 수 있다.
    2연석 자리에는 중앙에 공간분리 커튼이 별도로 있다. 그랜버드 사양의 경우 테이블과 별도로 컵홀더의 연장 형태인 작은 선반이 따로 있으며, 휴대폰 무선충전대가 마련되어 있다. 독서등은 타 좌석에 방해되지 않도록 공간 내부를 비추도록 되어 있다.
    현대 유니버스 중심으로 납품한 티노스-AMP제와 기아 그랜버드 중심으로 납품한 이원컴포텍제로 나뉘는 데, 후자가 좀 더 고급스럽고 편의성이 좋다. 현대 유니버스에 이원컴포텍제를 설치해 출고되는 사례도 있을 정도.
  • AVOD (스카이라이프, 스마트폰 미러링, USB 미디어 재생 및 충전, FM라디오)
    각 좌석별로 스카이라이프 채널을 달리 시청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한 채널(성인채널 등)은 비밀번호 입력UI가 없어서 시청할 수 없다. 스마트폰 미러링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이 있는 스마트폰에 한해 가능하다. 운행정보(경유지, 남은 거리 등)를 보여주는 기능도 있지만 대개 안 나온다. 비상호출 버튼을 누르면 기사에게 화장실 들러달라고 하거나 호출할 수 있다.
  • 항공기식 수하물 수납 공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