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역: 두 판 사이의 차이

82번째 줄: 82번째 줄:
실제로 가보면 휴가가거나 휴가에서 복귀하는 [[해병대]]원이 정말 많이 보인다.
실제로 가보면 휴가가거나 휴가에서 복귀하는 [[해병대]]원이 정말 많이 보인다.
==승하차량==
==승하차량==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이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2015년 새마을호 이용객 자료는 2015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 까지의 9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15년 새마을호 이용객 자료는 2015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 까지의 9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18년 승하차량은 2018년 1월 26일부터 4월 30일 까지 95일 간의 집계를 반영했다.
* 2018년 승하차량은 2018년 1월 26일부터 4월 30일 까지 95일 간의 집계를 반영했다.

2018년 7월 9일 (월) 14:35 판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달전로 328-71
노선 동해본선 35.1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업일 틀:날짜/출력 (구 역)
틀:날짜/출력 (현재 역)
승강장 2면 4선 (현재 사용 중인 승강장)

浦港驛 / Pohang Station

개요

영일만에 자리 잡은 동해안 도시, 포항에 있는 역이다. 원래는 시내에 구 역사가 있었으나, 동해선 고속화, 복선전철화 및 이설로 인하여 시내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에 자리잡게 되었다.

구 포항역은 한때 화물도 취급하고, 서울까지 직통 새마을호도 있었으며, 대구 - 경주 - 포항 통일호(통근열차)도 자주 다니던 곳이었으나, 무궁화 전환도 일어나고 점점 철도 이용이 쇠퇴하면서 말년에는 여객 하루 수 편만 처리하는 정도로 전락했었다. 그러던 것이 신 역사로 이설하는 대신 동해선 고속화로 서울, 대구까지 KTX가 비교적 고속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되면서 다시 부활했다.

역 구조

신 역사는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최신 트렌드인 전형적인 유선형 유리역사다.

소규모 역사였던 과거의 모습과는 달리 KTX 정차역의 위상에 걸맞는 대형역사로 탈바꿈했다.

대합실에는 기념품을 살 수 있는 상점과 스토리웨이, 먹을 것을 구할 수 있는 던킨도너츠김밥천국, 그리고 일식집이 있다.

또 중앙에는 노천카페 비슷하게 돼있는 이디야커피가 있다. 사실 노천이라기보단 그냥 지붕이 없는 카페지만...

승강장

↑ 역사 방향 (서쪽)
← 동해선 안강 방면 | 동해본선 월포 방면 →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영덕·동대구·경주·태화강·부전·순천 방면 | 5번 승강장
6번 승강장
← 동해선 안강 방면 | 동해본선 월포 방면 →
경부고속선 동대구 · 동해선 종점 방면
style="background-color: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동대구·대전·천안아산·용산·서울 방면 | 7번 승강장
8번 승강장
경부고속선 동대구 · 동해선 종점 방면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1 동해선
(35.1 km)
모량 방면
부조 10.3 km
포항 영덕 방면
월포 15.3 km

경유 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KTX/동해선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영덕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부전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동대구-포항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경북나드리열차/동대구-포항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여담

실제로 가보면 휴가가거나 휴가에서 복귀하는 해병대원이 정말 많이 보인다.

승하차량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이후 자료는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2015년 새마을호 이용객 자료는 2015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 까지의 90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2018년 승하차량은 2018년 1월 26일부터 4월 30일 까지 95일 간의 집계를 반영했다.
무궁화호
연도 승차량 하차량 승하차합
월평균
2018 47,403 52,161 99,564 24,891
2017 37,210 48,210 85,420 7,118
2016 46,278 59,131 105,409
2015 75,335 92,797 168,132
2014 125,594 147,805 273,399
2013 145,641 122,173 267,814
  • KTX 개통 이후 이용객이 수가 폭증하였다. 특히 포항의 시외버스,고속버스 노선에 엄청난 타격을 주었고 대구행 시외버스에도 타격이 갈 정도.
  • 그러나 KTX 개통과 더불어 시내에 위치했던 포항역이 시 외곽으로 이설해 버리면서 접근성이 떨어졌기 때문에 무궁화 수요가 폭락했다. 급행 노선 격인 포항 버스 210을 신설하고 기존 버스 노선 2개를 포항역을 경유하게 하였으나, 전자는 배차간격이 매우 길고, KTX 배차 타임에 맞추어진 것기 때문에 무궁화호는 시간이 맞는 노선이 별로 없다.
  • 2018년 영덕 구간 연장이 이루어져서 무궁화호 이용객 상승이 기대된다. 코레일에서 의욕적으로 배차를 1일 7회로 밀어주었고, 영덕~포항 구간은 34분으로 같은 구간을 달리는 시외버스가 60분이 걸리는 것에 비해 소요시간은 절반, 가격도 무궁화 기본요금인 2600원. 즉, 절반가로 갈 수 있다. 다만 1) 포항역이 시 외곽에 있어 시내 접근성이 떨어지고 2) 터미널이 시내에 가까이 위치하였으며 3)시외버스가 포항시내 다양한 정류소에 바로 내려주고 4)버스의 배차간격이 더 많기 때문에 영덕-포항 수요를 완전히 가져오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8년 4월에 무궁화 승하차량이 전년도 승하차량을 추월할 만큼 폭팔적인 증가량을 보여주고 있다.
  • 그러나 영덕발 무궁화호의 편성이 철저하게 포항 착발 KTX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환승 수요를 충분히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영덕에서 포항을 찾는 주요 이유인 대형병원 방문은 급행 노선 격인 포항 버스 210으로 빠르게 갈 수 있는 곳이 많기 때문에 무궁화호가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