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곡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1번째 줄: 51번째 줄:
*MBC 베스트 극장 중 "곰스크로 가는 기차"라는 에피소드에서 "몬트하임역"으로 이 역이 등장하였었다.
*MBC 베스트 극장 중 "곰스크로 가는 기차"라는 에피소드에서 "몬트하임역"으로 이 역이 등장하였었다.
*2017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이 역은 영업을 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있고, 미술관까지 차려놓은 상황이라 [[함백역]]처럼 허물지는 않을 듯 싶다. 아마 같은 중앙선의 [[구둔역]]과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싶다.
*2017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이 역은 영업을 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있고, 미술관까지 차려놓은 상황이라 [[함백역]]처럼 허물지는 않을 듯 싶다. 아마 같은 중앙선의 [[구둔역]]과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원주혁신도시]] 때문에 폐역하기에는 아까운 역이고 이 역을 대체할 [[남원주역]]은 접근성이 안 좋다 보니까 기존 중앙선의 [[서원주역]]~반곡역 구간을 존치하자는 떡밥이 나오고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또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을 [http://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3LY&fldid=ANm&datanum=20497 끌어오거나] 트램 형태의 [http://cafe.daum.net/kicha/ANm/19342 셔틀열차를 굴리거나] 서원주~구 원주역~반곡~남원주~서원주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311705&section=sc2 순환 철도를 구축하자]는 등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참고로 해당 구간은 이미 전철화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전철화 공사는 하지 않아도 된다.
*이 역은 [[한국전쟁]] 당시 주요 격전지 중 한 곳이기도 하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유는 단순히 역의 양식이 특이해서만이 아니라 이러한 역사성까지 함께 고려가 된 듯.
*이 역은 [[한국전쟁]] 당시 주요 격전지 중 한 곳이기도 하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유는 단순히 역의 양식이 특이해서만이 아니라 이러한 역사성까지 함께 고려가 된 듯.


{{주석}}
{{주석}}

2016년 6월 9일 (목) 20:19 판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반곡역.JPG
운영주체 한국철도공사
중앙선
청량리 방면
유교
3.4km
4.0km
경주 방면
금교

틀:문화재

개요

강원도 원주시 반곡동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등록문화재 제165호로 지정된 역이기도 하다. 역 건물은 2007년 여객취급 중지 이후 2009년 미술관으로 개관하여 지역주민들에 문화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다. 벽체는 비닐판벽의 외장이었다가 후에 흙벽에 시멘트 마감으로 변경되었으며, 지붕은 시멘트기와로 이어져 있다.

정차열차

본래 2007년에 여객취급이 중단되었으나 원주 남쪽의 혁신도시에 다시 사람들이 꾸역꾸역 유입되면서 인구가 늘게 되자 2014년 8월 18일부로 여객영업이 재게되었다. 정차패턴이 특이한 것이 아침시간대에는 제천 방향으로 2회 정차를, 저녁 시간대에는 청량리 방향으로만 2회 정차를 하는 통근수요 위주의 정차를 하고 있다.[1] 사실 혁신도시 덕분에 반곡동 일대가 완전히 갈아엎어져서 이용객이 한명도 없어서 여객취급을 중단했다가 다시 이 혁신도시 때문에 여객취급을 재개하게 되었으니 그야말로 새옹지마라고 해야 할 지경.

기타사항

  • MBC 베스트 극장 중 "곰스크로 가는 기차"라는 에피소드에서 "몬트하임역"으로 이 역이 등장하였었다.
  • 2017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이 역은 영업을 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있고, 미술관까지 차려놓은 상황이라 함백역처럼 허물지는 않을 듯 싶다. 아마 같은 중앙선의 구둔역과 비슷하게 흘러가지 않을까 싶다.
  • 이 역은 한국전쟁 당시 주요 격전지 중 한 곳이기도 하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이유는 단순히 역의 양식이 특이해서만이 아니라 이러한 역사성까지 함께 고려가 된 듯.

각주

  1. 혁신도시에 한국광물자원공사한국관광공사를 비롯한 공기업과 공단이 들어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