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千: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43번째 줄: 43번째 줄:
=== 한자성어 ===
=== 한자성어 ===
* 일사천리([[一]][[瀉]]千[[里]]) : 한 번에 천리(400~500km)를 나아감. 어떤 일을 수행하는 것이 순식간이고 거침이 없음.
* 일사천리([[一]][[瀉]]千[[里]]) : 한 번에 천리(400~500km)를 나아감. 어떤 일을 수행하는 것이 순식간이고 거침이 없음.
* 일인당천(一人[[當]]千) : 한 사람이 천 명을 상대할 수 있는 [[호걸]]. 일기당천(一騎當千) 혹은 일당천(一當千)이라고도 하며, [[일당백]](一當白)의 상위호환.
* 일인당천(一人[[當]]千) : 한 사람이 천 명을 상대할 수 있는 [[호걸]]. 일기당천(一騎當千) 혹은 일당천(一當千)이라고도 하며, [[일당백]](一當百)의 상위호환.
* 일일천추(一日千[[秋]]) : 하루하루가 천 년<ref>가을 추(秋)는 해를 마무리하는 개념으로서 세는 단위로 자주 인용됨. 비슷한 용례가 만고천추(萬古千秋).</ref>처럼 길게 느껴짐. 심적 초조함이 심하여 시간이 가는 것 같지 아니함.
* 일일천추(一日千[[秋]]) : 하루하루가 천 년<ref>가을 추(秋)는 해를 마무리하는 개념으로서 세는 단위로 자주 인용됨. 비슷한 용례가 만고천추(萬古千秋).</ref>처럼 길게 느껴짐. 심적 초조함이 심하여 시간이 가는 것 같지 아니함.
* 일확천금(一[[攫]]千金)) : 한 번 쥐어서(= 한 번의 행동) 천금(= 아주 많은 재산)을 얻음. 우연보다는 인과가 있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함.
* 일확천금(一[[攫]]千金)) : 한 번 쥐어서(= 한 번의 행동) 천금(= 아주 많은 재산)을 얻음. 우연보다는 인과가 있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함.

2023년 7월 18일 (화) 18:49 판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5343
부 3획
뜻과 소리
어문회 급수7급
쓰는 순서
千-order.gif千-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5343
부 3획
뜻과 소리
훈독(訓読)
음독(音読)
오음(呉音)セン
한음(漢音)セン
쓰는 순서
千-j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5343
부 3획
뜻과 소리
병음qiān
쓰는 순서
千-order.gif千-bw.png

숫자 1000을 나타내는 한자. 오로지 숫자만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 중에서는 가장 큰 숫자인 까닭에, 별개의 의미로 '아주 많다'를 뜻하기도 한다.[1]

한자 숫자






















한자 십진법


101


102


103


104


108


1012


1016


1020


1024


1028

한자 유래/서체

용례

  • 천년(千年) : 문자 그대로 "1,000년"을 뜻하기도 하지만, 고문(古文)에서는 주로 "(인간이) 헤아릴 수 없도록 아주 긴 세월"을 가리킬 때 쓰였다. 비슷한 용례로 '만년(萬年)'은 '온 세월'을 의미한다.
  • 천리안(千里眼) : 천 리를 바라보는 눈(안목). 감지 혹은 예측, 예지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남.
  • 천자문(千字文) : 제각기 모두 다른 천 글자로 쓰여진 글(작자 미상).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한문 기초 학습서로 활용되었다.

한자성어

  • 일사천리() : 한 번에 천리(400~500km)를 나아감. 어떤 일을 수행하는 것이 순식간이고 거침이 없음.
  • 일인당천(一人千) : 한 사람이 천 명을 상대할 수 있는 호걸. 일기당천(一騎當千) 혹은 일당천(一當千)이라고도 하며, 일당백(一當百)의 상위호환.
  • 일일천추(一日千) : 하루하루가 천 년[2]처럼 길게 느껴짐. 심적 초조함이 심하여 시간이 가는 것 같지 아니함.
  • 일확천금(一千金)) : 한 번 쥐어서(= 한 번의 행동) 천금(= 아주 많은 재산)을 얻음. 우연보다는 인과가 있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함.
  • 천군만마(千) : 아주 많은 군대와 가득한 말(=차량). 매우 든든한 뒷심, 혹은 그러한 정황.
  • 천근만근(千斤) : 아주 무거움, 혹은 그 아주 무거움의 감각을 가리킴. 1근(斤)은 400 ~ 600g 내외.
  • 천만다행(千萬) : 온전히 매우 많은 '다행(多幸, 운수가 좋음)'. 어떤 일이나 사건에 운수가 완벽히 따라주었음을 의미함.
  • 천신만고(千) : 온갖 고생에 쓰라림이 가득함. 몸과 마음이 지칠 정도로 고생함.
  • 천재일우(千) : 천 년에 한 번 있을 기회. 여기서 천재(千載)는 천세(千歲)=천년(千年)을 가리킨다.
  • 천차만별(千) : 천태만상(千態萬狀)이라고도 함. 모든 것이 제각기 다 차이가 있고 별남.
  • 천파만파(千萬波) : 많은 물결이 이리저리 퍼짐. 갖은 파장 등이 사방에서 어지럽게 마구잡이로 퍼지고 퍼져 나옴.
  • 천편일률(千) : 수많은 책(글귀)들이 하나같이 똑같다. 이렇다 할 특색(特色)이 없음을 뜻함.
  • 일언천금(一言千金) : 말 한 마디는 천금(아주 많은 재화)과도 같다. 말 한 마디가 아주 귀하게 작용하기도 하고, 그만큼 짊어지게 한 무게(책임)도 크다는 뜻을 비유적으로 표현함.
  • 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 : 약칭은 삼천세계(三千世界) 혹은 대천세계(大天世界). 불교계에서 우주(宇宙) 세계관을 표현하는 어휘이다. 대천(大天, =삼천(三千))은 천(千) 개의 중천(中天, =이천(二千))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천은 다시 천 개의 소천(小天, 일천(一千))이라 불리는 세계(世界)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여기서 말하는 삼천(三千)이란 숫자 "3,000 (3千)"이 아니고, 숫자 "1,000,000,000 (千3, 십억)"을 나타내며, 우주는 현세와 같은 '세상'이 십억개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이다.

지명

대한민국

일본

  1. 비슷한 개념으로서 '만(萬)'은 아주 많은 것을 넘어서 '모든 것 (꽉참)'을 의미한다.
  2. 가을 추(秋)는 해를 마무리하는 개념으로서 세는 단위로 자주 인용됨. 비슷한 용례가 만고천추(萬古千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