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천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승강장 번호 *= *(\d*)번 승강장 +|승강장 번호=\1번))
잔글 ('틀:새 철도역 정보' 표준화 v2.0)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역이름  = 대천역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역명    = 대천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그림설명 =  
|역코드  =  83
|주소    = [[충청남도]] [[보령시]] 대해로 116<br />(내항동 336-2)
|주소    = [[충청남도]] [[보령시]] 대해로 116<br />(내항동 336-2)
|개업일  = [[1929년]] [[12월 1일]]  
|번호    =
|폐지일  =
|노선    = [[장항선]] <small>87.6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대전충청본부 [[대천역|대천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대전충청본부 [[대천역|대천관리역]]
|승강장  =
|개업일  = [[1929년]] [[12월 1일]]
|운임구역 =  
|폐지일  =
|노선     = [[장항선]] <small>87.6 km</small>
|코드    = 83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
}}



2022년 1월 11일 (화) 07:34 판

{{{이름}}}

개요

충청남도 보령시내에 위치한 장항선의 역.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현재는 보령시외버스터미널 바로 근처에 고가 형태의 멋드러진 복선철도로 운영되고 있다. 보령머드축제대천해수욕장 때문에 매 여름마다 이용객이 상당한 수준이며, 보령 시내와 대천해수욕장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이 상시 운행되고 있기도 하다.

구 대천역

여기 말고, 동대동 시가지 기준으로 정반대쪽에, 단선철도 시절의 구 대천역이 위치해 있었다. 단선철도이며 역내에만 여러 개의 홈이 있는 방식이었는데, 보령시의 시가지가 구 대천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대천역이 이설되고 구 대천역이 폐업하면서 구 대천역의 위치엔 문화회관이 생겼고, 단선철도 시절 장항 방면으로 대천천을 넘어가던 단선철교는 보행자들을 위한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승강장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천안 방면
주포 8.3km
대천 익산 방면
남포 3.1 km

경유 열차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새마을호 장항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무궁화호 장항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도고온천 - 신례원 - 예산 - 삽교 - 홍성 - 광천 - 청소 - 대천 - 웅천 - 판교 - 서천 - 장항 - 군산 - 대야 - 익산
서해금빛열차 용산 - 영등포 - 수원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장항 - 군산 - 익산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승하차량

대천역
연도 승차량 하차량 월평균
승차량 하차량
2017 581,447 595,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