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주상: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강주상은 한국의 물리학자이다. [[미국]] 유학 시절 [[이휘소]]에게 지도를 받았으며 1981년에 고려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를 연구하였다. 2006년에 고려대학교에서 퇴임하고 명예교수가 되었다.<ref name="강주상1">[http://hep.korea.ac.kr/~jbkim/jskang.pdf 강주상 교수 정년 기념 논문집]</ref> 2017년 1월에 타계했다. 제자로는 국내에서 암흑물질 탐색 책임자를 맡았던 [[김선기]] [[서울대학교]] 교수,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부소장을 지낸 [[김영기]] [[시카고 대학교]] 교수 등이 있다.
강주상은 한국의 물리학자이다. [[미국]] 유학 시절 [[이휘소]]에게 지도를 받았으며 1981년에 고려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를 연구하였다. 미국에 있던 시절에는 주로 이론물리학을 연구하였으나 1981년에 귀국한 이후로는 주로 실험물리학을 연구하였으며 2006년에 고려대학교에서 퇴임하고 명예교수가 되었다.<ref name="강주상1">[http://hep.korea.ac.kr/~jbkim/jskang.pdf 강주상 교수 정년 기념 논문집]</ref> 2017년 1월에 타계했다. 제자로는 국내에서 [[암흑물질]] 탐색 책임자를 맡았던 [[김선기]] [[서울대학교]] 교수,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부소장을 지낸 [[김영기]] [[시카고 대학교]] 교수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시절에 [[메리 보아스]]의 수리물리학, 파울스의 해석역학 교재를 번역하고 양자물리학, 수리물리학 교재를 직접 저술하기도 하는 등 후학 양성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2006년에는 이휘소 평전을 저술하여 이휘소에 대하여 대중적으로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바로잡고자 하였으며<ref>박정희 정권을 도와 핵무기를 개발하려고 했고 미국이 암살했다는 식의 음모론. [[김진명]]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같은 소설로 생긴 이미지가 사실로 받아들여져서 생긴 오해다.</ref> 2017년 6월에 개정판이 나왔으나 본인은 이휘소 서거 40주기를 앞두고 2017년 1월에 타계하여 그 개정판을 보지는 못했다.
 
{{각주}}
{{각주}}



2021년 10월 2일 (토) 16:39 판

강주상은 한국의 물리학자이다. 미국 유학 시절 이휘소에게 지도를 받았으며 1981년에 고려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여 고에너지 물리학 분야를 연구하였다. 미국에 있던 시절에는 주로 이론물리학을 연구하였으나 1981년에 귀국한 이후로는 주로 실험물리학을 연구하였으며 2006년에 고려대학교에서 퇴임하고 명예교수가 되었다.[1] 2017년 1월에 타계했다. 제자로는 국내에서 암흑물질 탐색 책임자를 맡았던 김선기 서울대학교 교수,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부소장을 지낸 김영기 시카고 대학교 교수 등이 있다.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시절에 메리 보아스의 수리물리학, 파울스의 해석역학 교재를 번역하고 양자물리학, 수리물리학 교재를 직접 저술하기도 하는 등 후학 양성에도 노력을 기울였다. 2006년에는 이휘소 평전을 저술하여 이휘소에 대하여 대중적으로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바로잡고자 하였으며[2] 2017년 6월에 개정판이 나왔으나 본인은 이휘소 서거 40주기를 앞두고 2017년 1월에 타계하여 그 개정판을 보지는 못했다.

각주

  1. 강주상 교수 정년 기념 논문집
  2. 박정희 정권을 도와 핵무기를 개발하려고 했고 미국이 암살했다는 식의 음모론. 김진명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같은 소설로 생긴 이미지가 사실로 받아들여져서 생긴 오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