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사람들이 서울특별시에 모이기 때문에 붙여진 대한민국의 별명이다. 그 결과 2020년에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9063600002?input=1195m...)
 
9번째 줄: 9번째 줄:
좋은 교육기관이 서울에 몰려있다는 것은 '인서울'이라는 말로 대표된다.
좋은 교육기관이 서울에 몰려있다는 것은 '인서울'이라는 말로 대표된다.
==교통==
==교통==
[[수도권]]은 1974년 지하철이 처음 생길 때부터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이 깔리기 시작하였고 2010년대부터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라는 대규모 프로젝트까지 진행하고 있다.
[[수도권]]은 1974년 지하철이 처음 생길 때부터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이 깔리기 시작해서 2020년 기준으로 거의 다 깔린 상태다. 그런데도 서울의 인구가 넘쳐나니까 직장을 서울에 둔 채 [[경기도]], [[인천광역시]]에서 사는 사람들의 통근 수요가 늘어나서 기존의 광역철도의 포화 뿐만 아니라 [[광역버스]]의 불법 입석까지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래서 2010년대부터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라는 대규모 프로젝트까지 진행하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은 [[도시철도]]의 국비 투입은 늘어났다 하더래도 [[광역철도]]는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은 [[동해선 광역전철|2016년이 되어서야]] 생겨나기 시작했고 수도권 대비 국비 투입 비율도 뒤쳐진 상태다.<ref>{{서적 인용|저자=전현우 |제목=거대도시 서울 철도 |날짜=2020년 7월 1일 |출판사=워크룸 프레스 |ISBN=979-11-89356-33-0 03300 }}432~435쪽</ref> 중앙 정부가 [[부전마산선]]에 광역철도(통근형 전동차) 투입을 하지 않으려 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반면 비수도권은 [[도시철도]]의 국비 투입은 늘어났다 하더래도 [[광역철도]]는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은 [[동해선 광역전철|2016년이 되어서야]] 생겨나기 시작했고 수도권 대비 국비 투입 비율도 뒤쳐진 상태다.<ref>{{서적 인용|저자=전현우 |제목=거대도시 서울 철도 |날짜=2020년 7월 1일 |출판사=워크룸 프레스 |ISBN=979-11-89356-33-0 03300 }}432~435쪽</ref> 중앙 정부가 [[부전마산선]]에 광역철도(통근형 전동차) 투입을 하지 않으려 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게이한신 등 비수도권 대도시권에도 광역철도망이 많이 깔린 거랑 비교된다.
일본에서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게이한신 등 비수도권 대도시권에도 광역철도망이 많이 깔린 거랑 비교된다.
==문화==
==문화==
{{빈 문단}}
{{빈 문단}}


[[분류:서울특별시]][[분류:사회 문제]]
[[분류:서울특별시]][[분류:사회 문제]]

2020년 10월 30일 (금) 16:46 판

사람들이 서울특별시에 모이기 때문에 붙여진 대한민국의 별명이다.

그 결과 2020년에 수도권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앞지르게 될 것으로 추산되었다.

일자리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주거

사람이 몰리는 만큼 수도권 집값 폭등 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에만 3기 신도시를 짓겠다고 하는데 이는 수도권 집중 현상을 악화시킬 거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교육

좋은 교육기관이 서울에 몰려있다는 것은 '인서울'이라는 말로 대표된다.

교통

수도권은 1974년 지하철이 처음 생길 때부터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이 깔리기 시작해서 2020년 기준으로 거의 다 깔린 상태다. 그런데도 서울의 인구가 넘쳐나니까 직장을 서울에 둔 채 경기도, 인천광역시에서 사는 사람들의 통근 수요가 늘어나서 기존의 광역철도의 포화 뿐만 아니라 광역버스의 불법 입석까지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그래서 2010년대부터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라는 대규모 프로젝트까지 진행하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은 도시철도의 국비 투입은 늘어났다 하더래도 광역철도는 기존선을 활용한 광역철도망은 2016년이 되어서야 생겨나기 시작했고 수도권 대비 국비 투입 비율도 뒤쳐진 상태다.[1] 중앙 정부가 부전마산선에 광역철도(통근형 전동차) 투입을 하지 않으려 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일본에서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게이한신 등 비수도권 대도시권에도 광역철도망이 많이 깔린 거랑 비교된다.

문화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 전현우 (2020년 7월 1일). 《거대도시 서울 철도》. 워크룸 프레스. ISBN 979-11-89356-33-0 03300 432~43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