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룡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김제시의 철도역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호남선]]
[[분류:호남선]]
[[분류:김제시의 철도역]]
[[분류:김제시의 철도역]]
{{철도역 정보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역명 = 와룡
File:왈용.jpg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gallery>
|글자색 = white


|그림=왈용.jpg
|그림설명=와룡역사
|관할 = 코레일 전북본부 익산관리역
|개업일 = {{날짜/출력|1955-7-11}}
|종별 = 무배치간이역
|소재지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석정로 427
|노선1 = [[호남선]]
|전방면1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전역1 = [[함열역|함 열]]
|전거리1 = 3.2
|후방면1 = [[목포역|목포]]
|후역1 = [[김제역|김 제]]
|후거리1 = 7.1
}}
==개요==
==개요==
[[호남선]]의 간이역. 전북 김제시 용지면 와룡리에 소재하고 있다. 주변에 딱히 수요처가 없어 [[2004년]]부터 여객취급을 중지했으며, 인근 [[대한석탄공사]] [[저탄장]]의 화물 취급만 하고 있다.  
[[호남선]]의 간이역. 전북 김제시 용지면 와룡리에 소재하고 있다. 주변에 딱히 수요처가 없어 [[2004년]]부터 여객취급을 중지했으며, 인근 [[대한석탄공사]] [[저탄장]]의 화물 취급만 하고 있다.  
36번째 줄: 19번째 줄:
==기타==
==기타==
저탄장으로의 화물 취급을 위한 [[도중분기]]가 본선상에 있다. 하선에서만 접근가능한데다,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전철기가 아니기 때문에 [[통표]]를 사용하는 특수한 폐색취급을 통해 열차를 출입시킨다고 한다.
저탄장으로의 화물 취급을 위한 [[도중분기]]가 본선상에 있다. 하선에서만 접근가능한데다,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전철기가 아니기 때문에 [[통표]]를 사용하는 특수한 폐색취급을 통해 열차를 출입시킨다고 한다.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4e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폭=13em|노선명=204 호남선|노선링크=호남선|노선거리=71.8 km
|전역폭=13em|전방면=[[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방면|전역=[[함열역|함열]]|전거리=3.2 km
|당역폭=10em|당역='''와룡'''
|후역폭=13em|후방면=[[목포역|목포]] 방면|후역=[[김제역|김제]]|후거리=7.1 km}}
{{경유 노선/닫기}}

2018년 5월 16일 (수) 00:31 판

개요

호남선의 간이역. 전북 김제시 용지면 와룡리에 소재하고 있다. 주변에 딱히 수요처가 없어 2004년부터 여객취급을 중지했으며, 인근 대한석탄공사 저탄장의 화물 취급만 하고 있다.

역사 벽에는 KTX 그림이 그려져 있다.

역사

기타

저탄장으로의 화물 취급을 위한 도중분기가 본선상에 있다. 하선에서만 접근가능한데다,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기전철기가 아니기 때문에 통표를 사용하는 특수한 폐색취급을 통해 열차를 출입시킨다고 한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13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04 호남선
(71.8 km)
대전조차장 방면
함열 3.2 km
와룡 목포 방면
김제 7.1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