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이 때 " 문자열을 " 이때 " 문자열로)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1|新堂驛 / Sindang Station}}
{{+1|新堂驛 / Sindang Station}}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철도역 정보
|+ 신당 / 新堂 / Sindang
|역명 = 신 당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M}}
| colspan="2"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2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2호선</span>]]'''
|글자색 =  
|-
|그림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역번
|그림설명 =  
|| '''206'''
|그림2 =  
|-
|그림설명2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퇴계로 지하 431-1<br />(舊 신당동 106-1번지)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개업일
|| [[1983년]] [[9월 16일]]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운영기관
|| [[서울메트로]]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
| colspan="2"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6호선</span>]]'''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역번
|| '''635'''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다산로 지하 260<br />(舊 흥인동 162-1번지)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
|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승강장
|| [[섬식 승강장]]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관할 = [[서울메트로]]
|-
|개업일 = [[1983년]] [[9월 16일]]
| colspan="3"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2}};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2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2호선</span>]]'''
|폐지일 =
|-
|종별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br />문화공원]]<br />0.9km
|등급 =  
|| '''신 당'''
|소재지 =
||[[상왕십리역|상왕십리]]→<br />0.9km
|-
| colspan="3"  style="background: {{철도 노선색|S|6}}; color: white;" | '''[[서울 지하철 6호선|<span style="color: white;">서울 지하철 6호선</span>]]'''
|-
||←[[청구역|청 구]]<br />0.7km
|| '''신 당'''
||[[동묘앞역|동묘앞]]→<br />0.6km
|}


|노선1 = [[서울 지하철 2호선]]
|역번호1 = 206
|배경색1 = {{한국 철도 노선색|S|2}}
|글자색1 = white
|전방면1 = 외선순환
|전역1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
|전거리1 = 0.9
|전역번호1 = 205
|후방면1 = 내선순환
|후역1 = [[상왕립리역|상왕십리]]
|후거리1 = 0.9
|후역번호1 = 207
}}{{철도역 정보
|역명 = 신 당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설명2 =
|관할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개업일 =  2000년 12월 15일
|폐지일 =
|종별 =
|등급 =
|소재지 =
|노선1 = [[서울 지하철 6호선]]
|역번호 = 635
|배경색1 = {{한국 철도 노선색|S|6}}
|글자색1 = white
|전방면1 = [[응암역|응 암]]
|전역1 = [[청구역|청 구]]
|전거리1 = 0.7
|전역번호1 = 634
|후방면1 = [[봉화산역|봉화산]]
|후역1 = [[동묘앞역|동묘앞]]
|후거리1 = 0.6
|후역번호1 = 636
}}
== 개요 ==
== 개요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신당동과 흥인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의 [[환승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신당동과 흥인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의 [[환승역]].
60번째 줄: 64번째 줄:


정작 6호선과 2호선 환승통로 시공을 담당하던 업체가 부도나면서(...)<ref>사실 6호선은 어째선지 부도난 시공 업체가 많아서 제대로 된 개통이 늦었다(...) 아무래도 [[IMF]]탓인지...</ref> 당시 같은 신당역임에도 환승이 불가능했었고, 이는 [[2001년]] [[8월 3일]]에야 환승통로가 뚫려서 해결이 나게 되었다.
정작 6호선과 2호선 환승통로 시공을 담당하던 업체가 부도나면서(...)<ref>사실 6호선은 어째선지 부도난 시공 업체가 많아서 제대로 된 개통이 늦었다(...) 아무래도 [[IMF]]탓인지...</ref> 당시 같은 신당역임에도 환승이 불가능했었고, 이는 [[2001년]] [[8월 3일]]에야 환승통로가 뚫려서 해결이 나게 되었다.
== 승강장 정보 ==
=== 서울 지하철 2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퇴계로 지하 431-1(舊 신당동 106-1번지) 소재 [[상대식 승장장]]
=== 서울 지하철 6호선 ===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중구]] 다산로 지하 260(舊 흥인동 162-1번지) 소재 [[섬식 승강장]]
== 특징 ==
== 특징 ==
* 환승통로가 정말 우여곡절을 겪은 채 개통되었지만, '''정작 이 역은 [[막장환승]]'''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2호선 신당역이 사거리가 아닌 살짝 구석에 치우쳐진 모습으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ㅊ|대신 인원은 2호선 역이 더 많다.}}
* 환승통로가 정말 우여곡절을 겪은 채 개통되었지만, '''정작 이 역은 [[막장환승]]'''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2호선 신당역이 사거리가 아닌 살짝 구석에 치우쳐진 모습으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ㅊ|대신 인원은 2호선 역이 더 많다.}}

2015년 6월 11일 (목) 15:38 판

新堂驛 / Sindang Station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운영주체 서울메트로
외선순환 방면
동대문역사문화공원
205
0.9km

206
0.9km
내선순환 방면
상왕십리
207
본 틀은 {{새 철도역 정보}}로 교체중입니다. 자세한 것은 템플릿 문서를 참고하세요.


운영주체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응 암 방면
청 구
634
0.7km

635
0.6km
봉화산 방면
동묘앞
636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과 흥인동에 위치한 2호선, 6호선환승역.

연혁

1983년 9월 16일 지하철 2호선의 3단계 구간(을지로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으로, 2000년 12월 15일 지하철 6호선이 건립되면서 환승역이 되었...어야 하지만...

정작 6호선과 2호선 환승통로 시공을 담당하던 업체가 부도나면서(...)[1] 당시 같은 신당역임에도 환승이 불가능했었고, 이는 2001년 8월 3일에야 환승통로가 뚫려서 해결이 나게 되었다.

승강장 정보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지하 431-1(舊 신당동 106-1번지) 소재 상대식 승장장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 지하 260(舊 흥인동 162-1번지) 소재 섬식 승강장

특징

  • 환승통로가 정말 우여곡절을 겪은 채 개통되었지만, 정작 이 역은 막장환승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2호선 신당역이 사거리가 아닌 살짝 구석에 치우쳐진 모습으로 지어졌기 때문이다.(...) 대신 인원은 2호선 역이 더 많다.
  • 2003년 10월 13일, 2호선 역에서 한 시민이 선로를 무단횡단하다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끼이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때 승강장에 있던 승객들이 모두 전동차를 밀어 해당 피해자를 구조한 일이 있었다# 속칭 신당역의 기적이라 불리는 사건으로, 비록 해당 피해자는 병원으로 후송된 뒤 사망하고 말았으나, 대표적인 미담 사례라고 볼 수 있겠다.
  • 특히 약 9년 뒤인 2012년 12월 3일에 발생한 뉴욕 지하철 한인 추락사고로 다시 주목받은 사건이기도 했다. 당시 뉴욕 지하철 사건에서는 누군가에 등에 떠밀려서 승강장으로 떨어진 피해자가 열차에 치일 때까지 승강장의 승객들 아무도 구조하지 않았었기 때문. 이 때문에 한동안 미국 사회에서 자성론이 일기도 했다.#

참조

  1. 사실 6호선은 어째선지 부도난 시공 업체가 많아서 제대로 된 개통이 늦었다(...) 아무래도 IMF탓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