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영동선]]
[[분류:영동선]]
[[분류:경상북도의 철도역]]
[[분류:경상북도의 철도역]]
{{철도역 정보
 
|역명 = 석포역
|역명2 =
|배경색 =
|그림 =
|그림설명 =
|역번호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
|좌표 =
|개업일 = {{날짜/출력|1956-1-1}}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종별 = [[보통역]]
|등급 = 3급
|승강장 = 1면 2선(섬식)
|노선1 = [[영동선]]
|영업거리1 = [[영주역]] 기점 76.8
|전방면1 = [[영주역|영주]]
|전역1 = [[승부역|승부]]
|전거리1 = 7.6
|후방면1 = [[강릉역|강릉]]
|후역1 = [[동점역|동점]]
|후거리1 = 6.2
|비고 =
|주석 =
}}
==개요==
==개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위치상으로만 봐서는 아무것도 없는 시골 깡촌마을에 [[영동선]]의 모든 여객열차들이 정차하는 역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 석포역 바로 옆에 자리한 [[영풍]]의 석포제련소{{ㅈ|[[아연]] 제련소이다}} 때문인데 영주나 봉화읍내, 태백에서 출퇴근하는 통근수요가 꽤 있는지라 역세권 대비 열차의 정차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역의 기능은 여객취급은 부기능일 뿐이고, 주기능은 영풍제련소에 들어가는 [[석탄]]과 [[황산]], 그리고 여기서 생산되어 나오는 [[아연]]의 수송으로 상당규모의 화물처리를 하고 있는 역이다. 비록 중금속과 위험물을 취급하는 혐오시설이지만 이 영풍제련소는 사실 석포역과 지역을 먹여살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위치상으로만 봐서는 아무것도 없는 시골 깡촌마을에 [[영동선]]의 모든 여객열차들이 정차하는 역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 석포역 바로 옆에 자리한 [[영풍]]의 석포제련소{{ㅈ|[[아연]] 제련소이다}} 때문인데 영주나 봉화읍내, 태백에서 출퇴근하는 통근수요가 꽤 있는지라 역세권 대비 열차의 정차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역의 기능은 여객취급은 부기능일 뿐이고, 주기능은 영풍제련소에 들어가는 [[석탄]]과 [[황산]], 그리고 여기서 생산되어 나오는 [[아연]]의 수송으로 상당규모의 화물처리를 하고 있는 역이다. 비록 중금속과 위험물을 취급하는 혐오시설이지만 이 영풍제련소는 사실 석포역과 지역을 먹여살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33번째 줄: 8번째 줄:
* [[석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 - 정확히는 석포역에서가 아니라 석포역 인근의 굴현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 [[석포역 무궁화호 탈선 사고]] - 정확히는 석포역에서가 아니라 석포역 인근의 굴현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5e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폭=8em|노선명=213 영동본선|노선링크=영동선|노선거리=76.8 km
|전역폭=10em|전방면=[[영주역|영주]] 방면|전역=[[승부역|승부]]|전거리=7.6 km
|당역폭=8em|당역='''석포'''
|후역폭=10em|후방면=[[강릉역|강릉]] 방면|후역=[[동점역|동점]]|후거리=6.2 km}}
{{경유 노선/닫기}}
{{주석}}
{{주석}}

2018년 5월 4일 (금) 17:14 판


개요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석포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위치상으로만 봐서는 아무것도 없는 시골 깡촌마을에 영동선의 모든 여객열차들이 정차하는 역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 석포역 바로 옆에 자리한 영풍의 석포제련소[1] 때문인데 영주나 봉화읍내, 태백에서 출퇴근하는 통근수요가 꽤 있는지라 역세권 대비 열차의 정차횟수가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참고로 이 역의 기능은 여객취급은 부기능일 뿐이고, 주기능은 영풍제련소에 들어가는 석탄황산, 그리고 여기서 생산되어 나오는 아연의 수송으로 상당규모의 화물처리를 하고 있는 역이다. 비록 중금속과 위험물을 취급하는 혐오시설이지만 이 영풍제련소는 사실 석포역과 지역을 먹여살리는 존재이기도 하다.

사건사고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8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3 영동본선
(76.8 km)
영주 방면
승부 7.6 km
석포 강릉 방면
동점 6.2 km

각주

  1. 아연 제련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