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만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정의 ==
== 정의 ==
[[의사]], 수술, 건강, 제약 등 의약학 및 의료 활동 전반을 테마로 삼은 만화 작품을 의료 만화라고 분류한다.
[[의사]], 수술, 건강, 제약 등 의약학 및 의료 활동 전반을 테마로 삼은 만화 작품을 의료 만화라고 분류한다. 이 중에는 의사들이 의료 사고로 인해 환자를 떠나보내 죄책감을 갖게 되거나 끔찍한 사고를 당한 환자들을 마주하고 슬퍼하며 좌절하는 경험담을 담은 [[드라마]] 장르 내용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또 [[개그]]장르처럼 진지하지 않은 작품에는 그냥 [[병맛]]을 섞어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 역사 ==
== 역사 ==
9번째 줄: 9번째 줄:
== 특징 ==
== 특징 ==
만화 장르 가운데 [[전문가 만화]]에 속하는데, 의료 만화는 전문가 만화 중에서도 유달리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어느 정도 허구의 지식을 섞어도 용인되는 다른 전문가 만화에 비해 의료 만화는 잘못된 지식을 전파하면 사람의 목숨에 관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화 장르 가운데 [[전문가 만화]]에 속하는데, 의료 만화는 전문가 만화 중에서도 유달리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어느 정도 허구의 지식을 섞어도 용인되는 다른 전문가 만화에 비해 의료 만화는 잘못된 지식을 전파하면 사람의 목숨에 관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의료 만화는 작가가 의사 본인인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내용이 각색이 가미된 [[자서전]]처럼 흘러가기도 한다. 이런 의료 만화의 경우 [[내과 박원장]]을 그린 장봉수와 [[닥터프렌즈]]의 [[이낙준]] 역시 의료를 소재로 한 작품인 [[A.I. 닥터]]를 만들어 이것이 [[A.I. 닥터 (웹툰)|만화화되기도 했다.]] {{ㅊ|내과의사 웹툰의 빛과 어둠}}
물론 의료 만화가 무조건 현실이 배경이 아니고, 무조건적으로 사실만을 전달하지 않는다는 선에서 허구의 지식을 섞어 폭을 넓힐수도 있다. 이 경우 [[판타지]], [[이세계물]]도 포함될 수 있고 [[화타]]나 [[히포크라테스]], [[나이팅게일]] 같은 인물을 다루는 [[학습 만화]]라면 [[역사물]]이나 [[위인전]] 등으로 다양하게 넓혀 볼 수 있다.
아주 넓게 잡아서 주인공의 직업이 [[의사]]나 [[간호사]]이며 그 주인공이 종종 의학 지식을 조금 나열하기만 해도 의료 만화로 쳐주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사람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루는 것도 의료 만화에 포함된다. 그래서 인체를 소재로 한 학습 만화라든가, 비슷한 애니메이션인 [[오스모시스 존스]], [[일하는 세포]]도 넓은 의미의 의료 만화로 볼 수 있다.


== 목록 ==
== 목록 ==
* [[A.I. 닥터 (웹툰)]]
* [[내과 박원장]]
* [[헬로우 블랙잭]]
* [[헬로우 블랙잭]]


{{각주}}
{{각주}}
[[분류:의료 만화| ]]
[[분류:의료 만화| ]]

2023년 5월 21일 (일) 23:58 판

의료 만화(醫療漫畫)는 만화장르 중 하나로, 의학·약학의료 행위가 주제인 만화 작품을 가리킨다. 의학 만화라고도 부르지만, 의학이라고만 하면 다소 의미가 협소해진다. 의학이라는 단어는 약학이나 간호·보건·위생 등의 주제와 구분되기 때문이다.

정의

의사, 수술, 건강, 제약 등 의약학 및 의료 활동 전반을 테마로 삼은 만화 작품을 의료 만화라고 분류한다. 이 중에는 의사들이 의료 사고로 인해 환자를 떠나보내 죄책감을 갖게 되거나 끔찍한 사고를 당한 환자들을 마주하고 슬퍼하며 좌절하는 경험담을 담은 드라마 장르 내용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또 개그장르처럼 진지하지 않은 작품에는 그냥 병맛을 섞어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역사

의료 만화의 시초는 1973년에 연재를 시작한 데즈카 오사무의 《블랙 잭》으로 비정된다.

특징

만화 장르 가운데 전문가 만화에 속하는데, 의료 만화는 전문가 만화 중에서도 유달리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어느 정도 허구의 지식을 섞어도 용인되는 다른 전문가 만화에 비해 의료 만화는 잘못된 지식을 전파하면 사람의 목숨에 관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의료 만화는 작가가 의사 본인인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내용이 각색이 가미된 자서전처럼 흘러가기도 한다. 이런 의료 만화의 경우 내과 박원장을 그린 장봉수와 닥터프렌즈이낙준 역시 의료를 소재로 한 작품인 A.I. 닥터를 만들어 이것이 만화화되기도 했다. 내과의사 웹툰의 빛과 어둠

물론 의료 만화가 무조건 현실이 배경이 아니고, 무조건적으로 사실만을 전달하지 않는다는 선에서 허구의 지식을 섞어 폭을 넓힐수도 있다. 이 경우 판타지, 이세계물도 포함될 수 있고 화타히포크라테스, 나이팅게일 같은 인물을 다루는 학습 만화라면 역사물이나 위인전 등으로 다양하게 넓혀 볼 수 있다.

아주 넓게 잡아서 주인공의 직업이 의사간호사이며 그 주인공이 종종 의학 지식을 조금 나열하기만 해도 의료 만화로 쳐주기도 한다. 등장인물들이 사람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다루는 것도 의료 만화에 포함된다. 그래서 인체를 소재로 한 학습 만화라든가, 비슷한 애니메이션인 오스모시스 존스, 일하는 세포도 넓은 의미의 의료 만화로 볼 수 있다.

목록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