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곡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부역명 인수 삭제. 토론 참고)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이름    = 사곡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관할약칭 = KORAIL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역명     = 사곡역
|글자색   = white
|그림 = [[File:YA_NP_20110221_00189837_P.jpg]]
|그림     = YA NP 20110221 00189837 P.jpg
|역번호 = {{역번호/한국| |대구|광역}}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
|개업일 = {{날짜/출력|1965-12-10}}
|번호    = {{역번호/한국| |대구|광역}}
|폐지일 =  
|노선    = [[경부선]] <small>281.3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승강장 = 2면 4선 <small>(예정)</small>
|개업일  = [[1965년]] [[12월 10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경부선]] <small>281.3 km</small>
|승강장   = 2면 4선 <small>(예정)</small>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 개요 ==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를 정차시킬 계획이 있다.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를 정차시킬 계획이 있다.


대구권 광역철도 공사관계로 2020년 4월 10일부터 여객 취급을 중단했다. 전철역으로 바뀌기 때문에 다시 재개될 예정은 없으며 공사 기간 동안엔 구미역 셔틀버스를 지원해준다<ref>[https://newsis.com/view/?id=NISX20200403_0000982343&cID=10810&pID=10800 한국철도 대구본부, 구미 사곡역 철도 운행 중단], 뉴시스, 2020.04.05.</ref>.
대구권 광역철도 공사관계로 2020년 4월 10일부터 여객 취급을 중단했다. 전철역으로 바뀌기 때문에 다시 재개될 예정은 없으며 공사 기간 동안엔 구미역 셔틀버스를 지원해준다<ref>[https://newsis.com/view/?id=NISX20200403_0000982343&cID=10810&pID=10800 한국철도 대구경북본부, 구미 사곡역 철도 운행 중단], 뉴시스, 2020.04.05.</ref>.


== 역 정보 ==
== 역 정보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한국 철도 노선색|대구|광역}};opacity: 0.6; font-style: italic;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광역}};opacity: 0.6; font-style: italic;
  |왼쪽 승강장=|오른쪽 승강장=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대구권 광역철도''' [[북삼역|북삼]] · [[동대구역|동대구]] · [[경산역|경산]] 방면
  |승강장 번호=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대구권 광역철도''' [[북삼역|북삼]] · [[동대구역|동대구]] · [[경산역|경산]]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
  {{철도승강장/선로
39번째 줄: 42번째 줄:
  |왼쪽 선로 정보=← ''[[경부선]] [[구미역|구미]]'' |오른쪽 선로 정보=
  |왼쪽 선로 정보=← ''[[경부선]] [[구미역|구미]]'' |오른쪽 선로 정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한국 철도 노선색|대구|광역}};opacity: 0.6; font-style: italic;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광역}};opacity: 0.6; font-style: italic;
  |왼쪽 승강장=2번 승강장|오른쪽 승강장=|승강장 정보='''대구권 광역철도''' [[구미역|구미]] 방면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번호=|승강장 정보='''대구권 광역철도''' [[구미역|구미]] 방면
  }}
  }}
}}
}}
50번째 줄: 53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경부선|노선거리=281.3 km
|노선명=302 [[경부선]]|노선거리=281.3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구미역|구미]]|전거리=4.6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구미역|구미]]|전거리=4.6 km
|당역='''사곡'''
|당역='''사곡'''
59번째 줄: 62번째 줄: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대구권 광역철도(공사중)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광역}}|글자색=white|계통=대구권 광역철도|style=opacity: 0.6; font-style: italic}}
{{경유 계통|전방면=<del>[[구미역|구미]] 방면</del>|전역={{역번호/한국| |대구|광역}} <del>[[구미역|구미]]</del>|전거리=4.6 km
|당역={{역번호/한국| |대구|광역}} <del>'''사곡'''</del><br>{{색|#ff0000|(공사중)|배경=pink}}
|후방면=<del>[[경산역|경산]] 방면</del>|후역={{역번호/한국| |대구|광역}} <del>[[북삼역|북삼]]</del>
|후거리=km}}
{{경유 계통/닫기}}
=== 대체 셔틀버스 ===
=== 대체 셔틀버스 ===
* 사곡역은 2020년 4월 10일 부터 광역철도 개통 시 까지 영업을 중지한다. 대신 [[구미역|구미]] ~ 사곡 간 셔틀버스를 4월 10일 부터 일 3회 운행하고 있다.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운행할 예정. 승차권(정기권 포함) 제시 시 무료 이용 가능. [https://www.korailtalk.co.kr/670]
* 사곡역은 2020년 4월 10일 부터 광역철도 개통 시 까지 영업을 중지한다. 대신 [[구미역|구미]] ~ 사곡 간 셔틀버스를 4월 10일 부터 일 3회 운행하고 있다.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운행할 예정. 승차권(정기권 포함) 제시 시 무료 이용 가능. [https://www.korailtalk.co.kr/670]


==승하차량==
===대구권 광역철도===
* 대구권 광역철도에서 이용객이 상위권에 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 도시철도가 있어서 도시 내부 이동 수요 면에서 극적인 효과를 보기 힘든 대구광역시와 달리, 구미 내부 이동수요를 철도로 많이 흡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속달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
* 다만 위치가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고, 자체 상권이 미약하기 때문에 환승수요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칠곡군이 추진하고 있는, 북삼지구 재개발을 끼고 있는 북삼역이 신설된다면 이용객이 분산될 여지가 있다.
*구미 사곡지구 입주는 2020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나 사곡역 개량공사를 2020년부터 시작했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이 맞물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철도===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이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450px"
|-
| colspan="5"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사곡역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rowspan="2" |승차량
!rowspan="2" |하차량
! colspan="2" |월평균
|-
! 승차
! 하차
|-
|'''2017'''
|17,011
|17,652
|
|
|-
|'''2016'''
| 13,484
| 12,867
|
|
|-
|'''2015'''
|15,561
|15,661
|
|
|-
|'''2014'''
|11,903
|13,876
|
|
|-
|'''2013'''
|9,137
|11,932
|
|
|-
|}
* 주된 수요는 구미공단 출퇴근 수요로서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대에 열차배차가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구미공단의 경기변동이 이용객 수 변화에 제일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구미 도심에서 묘하게 접근성이 동떨어진 곳에 있기 때문에 지역주민의 이용은 미미하며, 역세권 인구에 비해 이용객 수가 대단히 부진한 편.
*2015년 까지는 인구수가 늘면서 이용객도 덩달아 상승했으나, 2015년 이후 구미산단 수출이 부진하고, LG디스플레이 공장이 파주로 이전하면서 구미시의 인구수 유출이 가속화되었다. [http://m.yeongnam.com/jsp/view.jsp?nkey=20150604.010020717430001]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6020159551]삼성전자 구미사업장이 생산기지를 이전 하는 등의 타격이 있었다.[http://realty.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29/2018042900607.html] 이후 2016년에 들어서자 다소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재개발 물량이 속속 입주하면서 2016년 초 거주인구가 다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용객수 격감을 극복하지는 못했다.
{{각주}}
{{각주}}
[[분류:경부선]]
[[분류:경부선]]
[[분류:구미시의 철도역]]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구미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6.098345479440795|128.3566403388977|12|사곡역}}

2023년 9월 20일 (수) 15:43 기준 최신판

사곡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
번호    
노선 경부선 281.3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65년 12월 10일
승강장 2면 4선 (예정)

경상북도 구미시 상사서로 173-7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를 정차시킬 계획이 있다.

대구권 광역철도 공사관계로 2020년 4월 10일부터 여객 취급을 중단했다. 전철역으로 바뀌기 때문에 다시 재개될 예정은 없으며 공사 기간 동안엔 구미역 셔틀버스를 지원해준다[1].

역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원래 경부선상에 없었던 역이었지만 사곡동 주민이 직접 공사하여 만든 청원역이다. 사곡동 주민들이 직접 시멘트를 들고와서 승강장을 만들었다. 나중에 정식 역사가 세워졌다가 2000년에 무배치간이역으로 전락하면서 역사가 철거되고 임시승강장과 비슷한 신세가 되었으나, 광역철도 개통으로 창원중앙역과 비슷한 구조가 되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근처엔 사곡동 소재의 아파트들 뿐이다. 사곡동의 중심거리까지 나가려면 꽤 걸어야한다. 역사는 구미산단 방향에 있으나, 아파트 단지 방향으로도 출구가 신설될 예정이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구미 4.6 km
사곡 부산 방면
약목 8.2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대체 셔틀버스[편집 | 원본 편집]

  • 사곡역은 2020년 4월 10일 부터 광역철도 개통 시 까지 영업을 중지한다. 대신 구미 ~ 사곡 간 셔틀버스를 4월 10일 부터 일 3회 운행하고 있다. 9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운행할 예정. 승차권(정기권 포함) 제시 시 무료 이용 가능. [1]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