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마산 나들목: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도로 시설물 정보
{{나들목 정보
|이름    = 동마산 나들목
|구조물번호 = 4
|원어이름 =  
|나들목이름 = 동마산 나들목
|배경색  = #169442
|위치 = {{대한민국 고속도로 노선|남해고속도로제1지선}} {{-1| km}}
|글자색  = white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그림    =
|사용개시 = {{날짜/출력|1973-11-14}}
|그림설명 =
|통행량 =  
|소재지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본선구조물 =  
|노선    = {{대한민국 고속도로 노선|102}}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small> km</small>
|접속구조물 = 부정형  
|번호    = {{구조물 번호|4}}
|접속도로 = [[국도 제14호선]] (3·15대로)·팔용로
|관할    = [[한국도로공사]]
|개통일  = [[1973년]] [[11월 14일]]
|해제일  =  
|형태    = 부정형
|연결도로 = [[14번 국도]] (3·15대로)·팔용로
|비고    =
}}
}}


25번째 줄: 30번째 줄:
동마산 나들목은 괴상했던 남해고속도로 나들목 중에서도 상당히 오랫동안 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위의 사진은 남해고속도로 개통 당시와 현대의 나들목인데, 아래에서 위로 가는 방향이 순천 방향이다. 초기 사진은 잘 보면 도로를 따라 직진하면 마산 시내로 빠져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s>잘도 이런 미친 설계를!</s>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한 지금도 여전해서 가장 아랫쪽의 쭉 뻗은 2차선 도로가 '''진출로'''이고 그 위의 2차선 도로가 본선이다. 그래서 <del>[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7296 역주행 사고가 잦은 편이다.]</del>역주행 사고는 이것과는 별개로 고속도로와 일반도로가 만나는 [http://dmaps.kr/qury 고속도로입구교차로]의 형태가 매우 아름다워 발생한다.
동마산 나들목은 괴상했던 남해고속도로 나들목 중에서도 상당히 오랫동안 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위의 사진은 남해고속도로 개통 당시와 현대의 나들목인데, 아래에서 위로 가는 방향이 순천 방향이다. 초기 사진은 잘 보면 도로를 따라 직진하면 마산 시내로 빠져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s>잘도 이런 미친 설계를!</s>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한 지금도 여전해서 가장 아랫쪽의 쭉 뻗은 2차선 도로가 '''진출로'''이고 그 위의 2차선 도로가 본선이다. 그래서 <del>[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17296 역주행 사고가 잦은 편이다.]</del>역주행 사고는 이것과는 별개로 고속도로와 일반도로가 만나는 [http://dmaps.kr/qury 고속도로입구교차로]의 형태가 매우 아름다워 발생한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 (고속도로)/열기|style=width: 54em;}}
{{경유 노선 (고속도로)/열기}}
{{경유 노선 (고속도로)|배경색=#169442|글자색=white
{{경유 노선 (고속도로)|배경색=#169442|글자색=white
|노선폭=12em|노선명=남해고속도로제1지선|기점거리=  
|노선명=남해고속도로제1지선|기점거리=  
|전구조물폭=15em|전구조물={{구조물 번호|3}} [[서마산 나들목]]|전거리= km
|전구조물={{구조물 번호|3}} [[서마산 나들목]]|전거리=3.7 km
|구조물폭=15em|구조물={{구조물 번호|4}} 동마산 나들목
|구조물={{구조물 번호|4}} 동마산 나들목
|후구조물폭=15em|후구조물={{구조물 번호|TG}} [[마산 요금소]]|후거리= km}}
|후구조물={{구조물 번호|TG}} [[마산 요금소]]|후거리=3.6 km}}
{{경유 노선 (고속도로)/닫기}}
{{경유 노선 (고속도로)/닫기}}
{{각주}}
[[분류:남해고속도로제1지선]][[분류:나들목]]

2023년 11월 10일 (금) 06:27 기준 최신판

동마산 나들목
도로 시설물 정보
소재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구암동
노선 102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km
번호  4 
관할 한국도로공사
개통일 1973년 11월 14일
형태 부정형
연결도로 14번 국도 (3·15대로)·팔용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4번 나들목.

1973년 남해고속도로 본선상의 나들목으로 개통하였다. 이름은 동마산 나들목이지만 실질적으로 서창원 나들목 역할을 하고 있다. 옛 창원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나들목.그 분은 왜 창원에 나들목을 놓지 않았을까

East-masan-old.png East-masan-now.png
73년 11월 13일자 경향신문 구글 지도 : 동마산 나들목

동마산 나들목은 괴상했던 남해고속도로 나들목 중에서도 상당히 오랫동안 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위의 사진은 남해고속도로 개통 당시와 현대의 나들목인데, 아래에서 위로 가는 방향이 순천 방향이다. 초기 사진은 잘 보면 도로를 따라 직진하면 마산 시내로 빠져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잘도 이런 미친 설계를! 왕복 4차선으로 확장한 지금도 여전해서 가장 아랫쪽의 쭉 뻗은 2차선 도로가 진출로이고 그 위의 2차선 도로가 본선이다. 그래서 역주행 사고가 잦은 편이다.역주행 사고는 이것과는 별개로 고속도로와 일반도로가 만나는 고속도로입구교차로의 형태가 매우 아름다워 발생한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Korea Expressway No.102.svg
남해제1지선
 3  서마산 나들목
3.7 km
 4  동마산 나들목  TG  마산 요금소
3.6 km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