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으로 나누기: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20명의 중간 판 8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s>[[이건 미친 짓이야 나는 여기서 나가겠어]]</s>
{{다른뜻|영으로 나누기 (매직 더 개더링)}}
'''0으로 나누기'''(divide by 0)는 [[산술]]에서 정의하지 않는 것들 중 하나이다.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경우 일반적인 [[수체계]]에는 모순이 생긴다.


<s>초딩: 0 나누기 0은 0이야!</s>
== 정의되지 않은 이유 ==
수학에서 0으로 나누기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곱셈]] 연산의 결과를 [[유일성|유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s>극한을 배운 고딩: 0/0꼴 극한은 계산할 있는데요? 0/0=∞</s>
초등학생 수준으로 예를 들면, 10개의 과자가 있고 그걸 사람들에게 나눠준다고 해보자. 만일 한 사람에게 2개씩 나눠준다면(÷2) 결과적으로 5명에게 나눠줄 있다. 그런데 오는 사람마다 과자를 하나도 주지 않는다(÷0)고 한다면, 제 아무리 사람이 몇 명 오던간, 과자가 줄어들리가 없으므로, 끝이 나오지 않게 된다.


<del>0/0 이 상대라면 [[로피탈 정리]]를 쓸 수밖에 없다</del> <s>[[미분가능|미분불능]]인 함수라면 어떨까?</s>
같은 예시로 일반적인 나눗셈 정리를 하면, 10에는 2가 5개 있으므로 10÷2=5이다. 하지만 같은 방법으로 10÷0을 계산하려 하면, 0은 값이 없기 때문에 계산하지 못한다.


{{ㅊ|{{학술 관련 정보}}}}
좀 더 일반적인 경우를 살펴보자. a를 b로 나눈 결과가 c라는 것은 a=b×c와 같다. 여기서 b가 0이라면 우변은 0이되고, 따라서 a 역시 0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는 c의 값을 유일하게 정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된다.
== 극한 ==
흔히 말하는 <math>\frac 1 0 = \infty</math>에서 0은 <math>\lim_{x \to \infty} \frac{1}{x}</math>이므로, 정확히 0이지만, 사실 극한 형태이며, <math>\lim_{x \to \infty} \frac{1}{\frac{1}{x}} = \infty</math>를 나타낸다. 만약 <math>\frac 1 0 = \infty</math>로 정의하면 <math>\infty = \frac 1 0 = \frac 1{-0} = -\infty</math>라는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된다. 일반적인 [[실수]] 체계에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지만, 이를 참으로 여겨 수직선(<math>\mathbb R \cup \{\infty \} </math>)을 원으로, 복소평면(<math>\mathbb C \cup \{\infty \} </math>)을 구면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를 각각 [[실사영직선]], [[리만 구]]라고 한다. [http://mathlove.kr/shop/board/view.php?id=mathsyj&tm=2&menus=story1&page=2&no=7 참고] 물론 저 체계에서 <math>\infty = -\infty</math>이라고 해서 <math>2\infty =0, \infty = 0</math>이라는 소리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이항이 성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체계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정의]]이기 때문이다.


'''0으로 나누기'''(divide by 0)는 [[산술]][[산술에서 허용되지 않는 것들|에서 허용되지 않는 것들]] 중 하나이다.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경우 [[수체계]]는 무서우리만치 빠르게 무너져 버린다.<s>애초에 성립할 수가 없어</s>
== 허용하게 되면? ==
0으로 나누는 연산이 수학에서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0으로 나누기를 허용하기 전에, 0과 [[나눗셈]]에 대해 간단히 알고 가자.


== 0으로 나누기의 무서움 ==
대수학에서 0이란, 덧셈에 대한 항등원을 뜻한다. 즉, <math>a+e=e+a=a</math>가 성립하게 만드는 원소 <math>e</math>를 0으로 정의하는 것.
{{거짓 문서|이 문서는 상당 부분이 거짓입니다.|이 틀 이하는 '''대부분이 거짓'''입니다. 이 내용을 참으로 믿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br>[[진지]]한 문서를 보시려면 조금 더 밑으로 내려가주세요.}}


{{youtube|_N37AEYPCj4}}
나눗셈이란, 어떤 수의 [[곱셈]]의 [[역원]]을 곱하는 행위를 뜻한다. 초등학교에서 말하는 "전체안에 부분이 몇 개"는 사실 정확한 비유가 아니며, 이해를 돕기위해 만든 설명일 뿐. 즉, <math>a\div b</math>는 사실 <math>a\times b^{-1}</math>을 뜻하며, <math>b^{-1}</math>는 <math>b</math>의 곱셈에 대한 역원을 뜻한다.


[[파일:DivByZero.jpg|섬네일|0으로 나누었을 때 시공간이 뒤틀린다.]]
한편, 어떤 수에 곱셈에 대한 역원을 곱하면 역원의 정의에 의해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 나온다. [[환 (수학)|환]]에서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보통 1로 정의하므로, <math>a\times a^{-1}=1</math>이 성립한다. 여기까지 알았으면 0으로 나누기, 즉 0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역원의 정의에 의해,
:<math>0\times0^{-1}=1</math>
가 성립한다. 한편, 임의의 수에 덧셈에 대한 항등원(= 0)을 곱하면 0이 나오므로,
:<math>0\times0^{-1}=0</math>
따라서, '''0=1'''이 성립한다. 이제, 환의 임의의 원소 <math>a</math>에 대해,
:<math>a=a\times1=a\times0=0</math>
이므로, 이 환에는 원소가 0밖에 없다.


0으로 나눌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다음과 같은 무서운 일이 일어난다. {{ㅊ|[[SCP 재단|SCP-0]] 등급: [[케테르]]}}
따라서, 0으로 나누기를 허용하면 수가 0 단 하나뿐인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체계를 영환(zero-ring)이라 부르며, 당연히 수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 이런 재미없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학)|]]<math>0\neq1</math>를 가정하며, 이 조건은 0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내포한다.
 
 
=== 모든 실수는 0이다 ===
임의의 실수 ''a''를 0으로 나눌 수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몫을 ''q''라 하면 ''a''=0·''q''이고, 여기서 0=2·0이므로
: ''a''=0·''q''=(2·0)''q''=2·(0''q'')=2''a''
이고, ''a''=0이다. 즉 모든 실수는 0이다.
 
=== 시공간의 [[오그리토그리|오그라듦]] ===
 
[[초끈 이론]]에 따르면 이 세계는 11차원 시공간이고, 각각의 좌표축을 ''x<sub>i</sub>''이라 하자. 이때 0으로 나눌 수 있으면 위에 의해 모든 [[실수]]가 0이 되며, 이로 인하여 시공간은 한 점([[원점]])으로 수축하게 된다.
 
이렇게 시공간이 한 점으로 수축하면 우주 초기의 상태, 즉 온도가 너무 높아 물질이 존재할 수 없고 에너지만이 있는 상태가 되며, 신기하게도 에너지가 한 곳으로 모여 [[열역학]]적 [[엔트로피]]가 줄어들게 된다! <s>[[큐베]]님이 좋아합니다</s> 이로써 [[열역학 제2 법칙]]은 깨지게 되며, 이 생각을 하기만 한 과학자들, 특히 물리화학자들의 [[멘탈]]이 [[게슈탈트 붕괴]]하고 [[뇌]][[세포]]를 이루는 [[원자]]의 [[원자핵]]이 [[알파 붕괴]], [[β+ 붕괴]]하여 전 생명체가 방사선에 노출되어 죽게 된다.
 
=== 빅뱅 이론과 0으로 나누기 ===
0으로 나누면 우주가 한 점으로 모이고, [[빅뱅 이론|빅뱅]] 후에는 우주가 팽창하는데, 이 둘이 평형을 이루어 일정한 크기의 우주를 유지한다. 우주의 엔트로피는 변하지 않으며, 이후로 우주가 점점 수축함에 따라 급격히 한 점으로 모이게 된다.
 
한 점으로 모인 우주는 역시 엔트로피의 변화 d''S''를 0으로 유지하고, 이를 '''대통일 시대'''라고 한다. 이때는 모든 힘과 에너지가 하나의 형태로 뭉쳐진다.
 
=== 이를 예견한 과학자와 수학자들의 노력 ===
위의 상상이 실제로 일어날 것을 예견하고 과학자들은 막대한 에너지로 부분적인 [[태양계]] 주위의 공간 수축을 막으려 하는데, 이 에너지를 모으려 [[마법소녀]]와 [[큐베]]를 불러들인다. 마법소녀의 힘으로 시공간을 유지하고 큐베의 능력으로 그 엔트로피를 감소시킨다. 하지만 이에도 약점이 있었는데, 그것이 [[암흑 에너지]]였다.
 
암흑 에너지는 우주의 수축을 가속시켰으며, 마법소녀로는 그를 감당할 수 없자 [[에이브러햄 로빈슨]]이라는 수학자는 [[비표준 해석학]]의 도입을 주장하고, 나누는 0을 초실수의 무한소로 바꿀 것을 제안한다. 이에 따르면 모든 실수를 0으로 나누어도 그 실수가 0이 되는 경우는 없다. 그리하여 지구는 평화로워졌다.
 
== [[세종대왕]]의 선견지명 ==
전세계가 저런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유독 한반도만이 조용하게 지나갔는데, <s>덕분에 학문의 발전이 별로 없어</s> [[조선]]의 <s>[[문명 5|궁궐에 당도한]]</s> 세종은 위의 가엾고 딱한 사정을 예상하고 0으로 나누는 글자인 [[된이응]]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분자가 없어 무용(無用)할 수가 있기에, 분자가 있는 글자인 긍(7/0), 릉(2/0), 믕(□/0) 등의 글자를 추가로 만드셨다. 이는 조선의 역사에 길이 남을 위대한 업적이다.
 
== 0으로 나누기가 <s>[[금지사항입니다|금지 사항]]</s>정의되지 않은 이유 ==
{{사실 문서|이 문서는 진실입니다.|이 이하는 거짓없이 작성되었습니다. 논리적인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심하고 읽으셔도 됩니다.}}
{{학술 관련 정보}}
 
수학에서는 0으로 나누기는 정의되어 있지 않을 뿐이다. 이는 [[곱셈]] 연산의 결과를 [[유일성|유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a''를 ''b''로 나눈 결과가 ''c''라는 것은 ''a=bc''와 완전히 같으며, 여기서 ''b''가 0이라면 ''a'' 역시 0일 수밖에 없으며, 이는 ''c''에 대한 부정형이 되어 결과가 유일할 수 없다.
 
흔히 말하는 1/0=∞는 사실 극한 형태이며, <math>\lim_{n \searrow 0} \frac{1}{n} = \infty</math>를 나타낸다. 만약 위 식대로 쓰면 ∞=1/0=1/(-0)=-∞라는 [[ㅁㄴㅇㄹ]]한 결과가 나오게 된다.
 
다만, 0으로 나누는 값을 정의할 경우 재미있는 성질을 찾아낼 수 있다. 위상수학에 관심이 있다면 [http://mathlove.kr/shop/board/view.php?id=mathsyj&tm=2&menus=story1&page=2&no=7 참고바람]


== 프로그래밍 언어의 처리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처리 ==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0으로 나누면 Divide-by-Zero 오류를 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심하면) 기기의 파손되기도 한다. <s>얼마나 만들기 귀찮았으면 오류도 안 내게 할까</s> 물론 지금 시대에 이런 기초적인 예외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는 찾아볼 수 없다.
{{youtube|mZ7pUADoo58}}<br />
 
위에 있는 0으로 나눴더니 스파크가 튀면서 칩이 손상된다는 동영상은 재미를 위해 만든 것이다. 0으로 나눈다고 스파크 튀면서 불나진 않으니 안심.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0으로 나누면 Divide-by-Zero 오류를 내고, 예외 처리가 없으면 시스템이 정지된다. 하지만 지금 시대에 이런 기초적인 예외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는 없고, 시스템이 정지되는 일 역시 없다.
{{youtube|mZ7pUADoo58}}


== 관련 작품 ==
== 같이 보기 ==
* [[테드 창]][[0으로 나누면]]
* [[0^0|0<sup>0</sup>]]
* [[0.999...=1]]


==바깥 링크==
==외부 링크==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contents_id=184 네이버캐스트 1÷0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contents_id=184 네이버캐스트 1÷0은?]


[[분류:산술]]
[[분류:산술]]

2024년 4월 18일 (목) 16:38 기준 최신판

0으로 나누기(divide by 0)는 산술에서 정의하지 않는 것들 중 하나이다. 어떤 수를 0으로 나눌 경우 일반적인 수체계에는 모순이 생긴다.

정의되지 않은 이유[편집 | 원본 편집]

수학에서 0으로 나누기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는 곱셈 연산의 결과를 유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초등학생 수준으로 예를 들면, 10개의 과자가 있고 그걸 사람들에게 나눠준다고 해보자. 만일 한 사람에게 2개씩 나눠준다면(÷2) 결과적으로 5명에게 나눠줄 수 있다. 그런데 오는 사람마다 과자를 하나도 주지 않는다(÷0)고 한다면, 제 아무리 사람이 몇 명 오던간, 과자가 줄어들리가 없으므로, 끝이 나오지 않게 된다.

같은 예시로 일반적인 나눗셈 정리를 하면, 10에는 2가 5개 있으므로 10÷2=5이다. 하지만 같은 방법으로 10÷0을 계산하려 하면, 0은 값이 없기 때문에 계산하지 못한다.

좀 더 일반적인 경우를 살펴보자. a를 b로 나눈 결과가 c라는 것은 a=b×c와 같다. 여기서 b가 0이라면 우변은 0이되고, 따라서 a 역시 0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는 c의 값을 유일하게 정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된다.

극한[편집 | 원본 편집]

흔히 말하는 [math]\displaystyle{ \frac 1 0 = \infty }[/math]에서 0은 [math]\displaystyle{ \lim_{x \to \infty} \frac{1}{x} }[/math]이므로, 정확히 0이지만, 사실 극한 형태이며, [math]\displaystyle{ \lim_{x \to \infty} \frac{1}{\frac{1}{x}} = \infty }[/math]를 나타낸다. 만약 [math]\displaystyle{ \frac 1 0 = \infty }[/math]로 정의하면 [math]\displaystyle{ \infty = \frac 1 0 = \frac 1{-0} = -\infty }[/math]라는 이상한 결과가 나오게 된다. 일반적인 실수 체계에서는 말도 안 되는 소리지만, 이를 참으로 여겨 수직선([math]\displaystyle{ \mathbb R \cup \{\infty \} }[/math])을 원으로, 복소평면([math]\displaystyle{ \mathbb C \cup \{\infty \} }[/math])을 구면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를 각각 실사영직선, 리만 구라고 한다. 참고 물론 저 체계에서 [math]\displaystyle{ \infty = -\infty }[/math]이라고 해서 [math]\displaystyle{ 2\infty =0, \infty = 0 }[/math]이라는 소리는 하지 않는 게 좋다. 이항이 성립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체계에서는 성립하지 않는 정의이기 때문이다.

허용하게 되면?[편집 | 원본 편집]

0으로 나누는 연산이 수학에서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0으로 나누기를 허용하기 전에, 0과 나눗셈에 대해 간단히 알고 가자.

대수학에서 0이란, 덧셈에 대한 항등원을 뜻한다. 즉, [math]\displaystyle{ a+e=e+a=a }[/math]가 성립하게 만드는 원소 [math]\displaystyle{ e }[/math]를 0으로 정의하는 것.

나눗셈이란, 어떤 수의 곱셈역원을 곱하는 행위를 뜻한다. 초등학교에서 말하는 "전체안에 부분이 몇 개"는 사실 정확한 비유가 아니며, 이해를 돕기위해 만든 설명일 뿐. 즉, [math]\displaystyle{ a\div b }[/math]는 사실 [math]\displaystyle{ a\times b^{-1} }[/math]을 뜻하며, [math]\displaystyle{ b^{-1} }[/math][math]\displaystyle{ b }[/math]의 곱셈에 대한 역원을 뜻한다.

한편, 어떤 수에 곱셈에 대한 역원을 곱하면 역원의 정의에 의해 곱셈에 대한 항등원이 나온다. 에서 곱셈에 대한 항등원은 보통 1로 정의하므로, [math]\displaystyle{ a\times a^{-1}=1 }[/math]이 성립한다. 여기까지 알았으면 0으로 나누기, 즉 0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역원의 정의에 의해,

[math]\displaystyle{ 0\times0^{-1}=1 }[/math]

가 성립한다. 한편, 임의의 수에 덧셈에 대한 항등원(= 0)을 곱하면 0이 나오므로,

[math]\displaystyle{ 0\times0^{-1}=0 }[/math]

따라서, 0=1이 성립한다. 이제, 환의 임의의 원소 [math]\displaystyle{ a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a\times1=a\times0=0 }[/math]

이므로, 이 환에는 원소가 0밖에 없다.

따라서, 0으로 나누기를 허용하면 수가 0 단 하나뿐인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수체계를 영환(zero-ring)이라 부르며, 당연히 수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다. 이런 재미없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math]\displaystyle{ 0\neq1 }[/math]를 가정하며, 이 조건은 0의 곱셈에 대한 역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내포한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처리[편집 | 원본 편집]


위에 있는 0으로 나눴더니 스파크가 튀면서 칩이 손상된다는 동영상은 재미를 위해 만든 것이다. 0으로 나눈다고 스파크 튀면서 불나진 않으니 안심.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0으로 나누면 Divide-by-Zero 오류를 내고, 예외 처리가 없으면 시스템이 정지된다. 하지만 지금 시대에 이런 기초적인 예외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는 없고, 시스템이 정지되는 일 역시 없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외부 링크[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