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령: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인제군을(를) 추가함)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n)*\[\[분류:태백산맥\]\]( |\n)* +\n))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미시령 (웹툰)|[[강원도]]의 고개|동명의 웹툰}}
{{다른 뜻|미시령 (웹툰)|[[강원도]]의 고개|동명의 웹툰}}
== 개요 ==
[[강원도]] [[인제군]] [[북면 (인제)|북면]]과 [[고성군 (강원도)|고성군]] [[토성면]]을 이어주는 높이 높이 767m의 고개이다. 전통적으로 [[금강산]]과 [[설악산]]을 나누는 경계선으로 인식되었으며


산맥 분류상으로는 [[태백산맥]]에 속하고, [[산경표]]상으로는 [[백두대간]]에 속하는 고갯길이다.
[[강원도]] [[인제군]] [[인제 북면|북면]]과 [[고성군 (강원)|고성군]] [[토성면]]을 이어주는 높이 높이 767m의 고개이다. 전통적으로 [[금강산]]과 [[설악산]]을 나누는 경계선으로 인식되었으며 산맥 분류상으로는 [[태백산맥]]에 속하고, [[산경표]]상으로는 [[백두대간]]에 속하는 고갯길이다.


== 도로 특성 ==
== 도로 특성 ==
*미시령 옛길 : 서쪽 사면은 4km, 동쪽 사면은 10km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양쪽 모두 7~10%에 달하는 급경사는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헤어핀도 군데군데 자리하고 있다. 이런 덕분에 겨울철 눈이 좀 왔다 싶으면 수시로 교통이 통제되어 도로기능이 상실되는 0순위 도로 중 하나였다. 이런이유로 [[미시령터널]]을 비롯한 미시령 동서관통도로를 새로 개통하게 되었다.
*미시령 옛길 : 서쪽 사면은 4km, 동쪽 사면은 10km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양쪽 모두 7~10%에 달하는 급경사는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헤어핀도 군데군데 자리하고 있다. 이런 덕분에 겨울철 눈이 좀 왔다 싶으면 수시로 교통이 통제되어 도로기능이 상실되는 0순위 도로 중 하나였다. 이런이유로 [[미시령터널]]을 비롯한 미시령 동서관통도로를 새로 개통하게 되었다.
*미시령 동서관통도로 : {{참조|미시령터널}}
*미시령 동서관통도로 : {{참고|미시령터널}}


== 기타 이야깃거리 ==
== 기타 이야깃거리 ==
*[[속초시]]와 부근에 사는 자덕들이 수시로 동네 뒷산(...) 마실삼아 가끔 가는 곳이기도 하다.
*[[속초시]]와 부근에 사는 [[자전거]] 덕후들이 수시로 동네 뒷산(...) 마실삼아 가끔 가는 곳이기도 하다.
*[[고성 미시령 힐클라임 대회]]의 코스이다.
*[[고성 미시령 힐클라임 대회]]의 코스이다.


{{주석}}
{{주석}}
[[분류:고개]][[분류:태백산맥]][[분류:백두대간]]
[[분류:고개]]
[[분류:인제군]]
[[분류:인제군]]
{{리브레 맵스 마커|38.21387285957944|128.43772888183594|8|미시령}}

2023년 11월 10일 (금) 00:55 기준 최신판

강원도 인제군 북면고성군 토성면을 이어주는 높이 높이 767m의 고개이다. 전통적으로 금강산설악산을 나누는 경계선으로 인식되었으며 산맥 분류상으로는 태백산맥에 속하고, 산경표상으로는 백두대간에 속하는 고갯길이다.

도로 특성[편집 | 원본 편집]

  • 미시령 옛길 : 서쪽 사면은 4km, 동쪽 사면은 10km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양쪽 모두 7~10%에 달하는 급경사는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으며 헤어핀도 군데군데 자리하고 있다. 이런 덕분에 겨울철 눈이 좀 왔다 싶으면 수시로 교통이 통제되어 도로기능이 상실되는 0순위 도로 중 하나였다. 이런이유로 미시령터널을 비롯한 미시령 동서관통도로를 새로 개통하게 되었다.
  • 미시령 동서관통도로 :

기타 이야깃거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