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한자사전/十: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한자/문자|십]][[분류:十| ]]<onlyinclude>{{한자 정보|{{{1|}}}|기본 = {{{2|}}}
<onlyinclude>{{한자 정보|{{{1|}}}
|한자 = 十
|한자 = 十
|신자체 =  
|신자체 =  
|간체자 =
|간체자 =
|정체자 =
|정체자 =
|뜻 =열, 십
|뜻 소리 = 열 []
|소리 =
|획수 =2
|획수 =2
|신자체 획수 =
|신자체 획수 =
13번째 줄: 12번째 줄:
|간체자 부수 =
|간체자 부수 =
|음독 =
|음독 =
|오음 =ジュウ、ジッ
|오음 = ジュウ(jū)、ジッ(jiっ)
|한음 =シュウ
|한음 = シュウ(shū)
|당음 =
|당음 =
|관용음 =ジュッ
|관용음 = ジュッ(jūっ)
|훈독 =とお、と
|훈독 = とお、と(tō, to)
|병음 =shí
|병음 = shí
|중고한어 =
|중고한어 =
|급수 = 8급
}}</onlyinclude>
}}</onlyinclude>
숫자 십, 10을 나타내는 한자. 자기 자신이 [[부수]]인 [[제부수]] 한자이다.
숫자 십, 10을 나타내는 한자. 자기 자신이 [[부수]]인 [[제부수]] 한자이다.
{{한자 숫자}}
{{한자 숫자}}
{{한자 십진수}}
{{한자 십진수}}
{{한자 서체}}
 
== 한자 유래/서체 ==
{{한자 서체
|十-oracle.svg|갑골문
|十-bronze.svg|금문
|十-bigseal.svg|대전
|十-seal.svg|전서
|十-명조.svg|명조
|十-칸테이류.svg|칸테이류
}}


== 용례 ==
== 용례 ==
30번째 줄: 39번째 줄:


=== 한자성어 ===
=== 한자성어 ===
* [[권불십년]] (權不十年)
* [[권불십년]]([[權]][[不]]十[[年]])
* [[십시일반]](十[[飯]][[一]][[匙]])


[[분류:한자 수사]]
[[분류:한자 수사]]
[[분류:8급 한자]]

2024년 5월 10일 (금) 02:40 기준 최신판

열 [십]

정자[韓/臺]
신자체 [日]
간체자 [中]




CJK Unified Ideographs
U+5341
부 2획
뜻과 소리 열 [십]
어문회 급수8급
쓰는 순서
十-order.gif十-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5341
부 2획
뜻과 소리 열 [십]
훈독(訓読)とお、と(tō, to)
음독(音読)
오음(呉音)ジュウ(jū)、ジッ(jiっ)
한음(漢音)シュウ(shū)
관용음ジュッ(jūっ)
쓰는 순서
十-jbw.png
CJK Unified Ideographs
U+5341
부 2획
뜻과 소리 열 [십]
병음shí
쓰는 순서
十-order.gif十-bw.png

숫자 십, 10을 나타내는 한자. 자기 자신이 부수제부수 한자이다.

한자 숫자






















한자 십진법


101


102


103


104


108


1012


1016


1020


1024


1028

한자 유래/서체[편집 | 원본 편집]

十-oracle.svg
갑골문
十-bronze.svg
금문
十-bigseal.svg
대전
十-seal.svg
전서
十-명조.svg
명조
十-칸테이류.svg
칸테이류



용례[편집 | 원본 편집]

한자성어[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