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대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llang|en -> 영어 변환)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big>相互貸借 / Exchange; Interlibrary</big>
'''상호대차'''(相互貸借, {{영어|Exchange}}; Interlibrary)는 [[도서관]]에 독자가 원하는 [[책]]이 없을 때, 다른 도서관에서 책을 대차하여 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때 책이 없다는 말은 대출이나 열람으로 일시적으로 서가에 없는 상태가 아닌, 해당 도서관 장서 목록에 아예 없는 상태를 말한다.
== 개요 ==
[[도서관]]에 독자가 원하는 책이 없을 때, 다른 도서관에서 책을 대차하여 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커버리지는 대학 캠퍼스 간 상호대차나 지역 내 공공 도서관 간 상호대차(타관대출) 같은 공동체 단위의 상호대차에서 국가 단위 상호대차(책바다, RISS)까지 넓으며, 대학 도서관은 해외 대학 도서관의 장서를 상호대차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커버리지는 대학 캠퍼스 간 상호대차나 지역 내 공공 도서관 간 상호대차(타관대출) 같은 공동체 단위의 상호대차에서 국가 단위 상호대차(책바다, RISS)까지 넓으며, 대학 도서관은 해외 대학 도서관의 장서를 상호대차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 공공 도서관 [http://www.nl.go.kr/nill/user/index.jsp 책바다] ==
== 공공 도서관 책바다 ==
[[대한민국]] 공공 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책바다' 네트워크로 묶여서 운송료를 부담하면 타 지역 도서관의 책을 빌려볼 수 있으며, [[한국학술정보연구원]]통해 대학 도서관 ↔ 공공 도서관 간의 상호대차도 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공 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책바다' 네트워크로 묶여서 운송료를 부담하면 타 지역 도서관의 책을 빌려볼 수 있으며, [[한국학술정보연구원]]통해 대학 도서관 ↔ 공공 도서관 간의 상호대차도 가능하다.


책바다 회원 가입을 하려면 국립중앙도서관의 승인 후 자신이 소속된 공공 도서관의 승인이 필요하다. 국립중앙도서관 단계에서는 자동 승인되나 간혹 꼬여서 안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면 공공 도서관 담당 사서 들볶아봤자 소용 없으니 차분히 국립중앙도서관에 태클을 걸어주자.
책바다 회원 가입을 하려면 자신이 소속된 공공 도서관의 승인이 필요하다. 가끔 국립중앙도서관 전산이 꼬여서 넘어가지 않을 때도 있다. 여기서 승인해 준 도서관이 책바다 수령 도서관이 되므로 여러 도서관에 적을 두고 있을 때는 방문이 편한 곳을 승인 도서관으로 지정해야 한다.


책바다 서비스의 운송료는 1도서관 당 5,200원<ref>원래 공공/대학 각각 4,500원/4,900원이었으나 2020년 7월 1일자로 가격이 올랐다. [https://www.nl.go.kr/nill/user/notice/detail.do?no=13115824&page=1 책바다 서비스 비용 변경 안내], 2020년 6월 3일 작성, 2020년 10월 28일 확인.</ref>(공공 장서, 대학 장서<ref>2020년 7월 1일자 요금 인상 이후 공공 장서와 대학 장서의 운송료가 같아졌다.</ref>)이며, 여러 도서관에서 동시에 책을 당겨오면 그만큼 배수로 돈을 낸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금액의 일부를 보조해주니 지원 제도를 찾아보자. [[장애인]]은 국립중앙도서관 측에서 전액 보조해준다.
상호대차 신청시 소속 도서관에 장서가 없는 지 1차적으로 확인 후 승인이 나가면, 그때 다른 도서관에 자료확보 요청이 들어간다.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이 여러 군데면 그 중 가까운 거리의 도서관을 찍어주는 데, 택배를 거쳐서 오니 별 의미 없으므로 우선순위를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 국립중앙도서관은 순위 최하위에 고정되어 있다. ,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는 다른 공공도서관에 동일한 장서가 없을 때에 한해 상호대차가 가능하며, 수령지 외부로 반출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책이 수령지에 도착하고 나서 14일간 열람·반출할 수 있고, 7일 연장가능 하다. 상호대차 신청시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 중 가까운 거리의 도서관을 찍어주는 데, 직접 가지러 갈 것 아니면 택배 거쳐서 오니 별 의미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는 다른 공공도서관에 동일한 장서가 없을 때에 한해 상호대차가 가능하며, 수령지 외부로 반출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책이 수령지에 도착하고 나서 14일간 열람·반출할 수 있고, 7일 연장 가능하다. 책바다 서비스의 운송료는 공공·대학 도서관 구분없이 도서관 당 5,200원<ref>[https://www.nl.go.kr/nill/user/notice/detail.do?no=13115824&page=1 책바다 서비스 비용 변경 안내], 책바다 홈페이지, 2020년 6월 3일 작성, 2020년 10월 28일 확인.</ref>이며, 여러 도서관에서 동시에 책을 당겨오면 그만큼 배수로 돈을 낸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금액의 일부를 보조해주니 지원 제도를 찾아보자. [[장애인]]은 국립중앙도서관 측에서 전액 보조해준다.


== 대학 도서관 ==
== 대학 도서관 ==
대학 도서관 간의 네트워크는 [[한국학술정보연구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과학기술정보센터을 중심으로 엮인지 오래라, [[원문복사]]나 해외 장서의 상호대차 등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원화 캠퍼스 및 분교 등으로 2개 이상의 도서관을 가진 경우 교내 도서관 간의 상호대차도 가능하다.
대학 도서관 간의 네트워크는 [[한국학술정보연구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과학기술정보센터를 중심으로 엮인지 오래라, 해외 대학교에 위치한 장서의 [[원문복사]]나 상호대차 등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원화 캠퍼스 및 분교 등으로 2개 이상의 도서관을 가진 경우 교내 도서관 간의 상호대차도 가능하다.
 
== 관련 사이트 ==
* [https://books.nl.go.kr/ 공공도서관지원서비스] - 책바다 서비스 이용 포털
 
{{각주}}
{{각주}}
[[분류:도서관]]
[[분류:도서관]]

2022년 3월 6일 (일) 01:06 기준 최신판

상호대차(相互貸借, 영어: Exchange; Interlibrary)는 도서관에 독자가 원하는 이 없을 때, 다른 도서관에서 책을 대차하여 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때 책이 없다는 말은 대출이나 열람으로 일시적으로 서가에 없는 상태가 아닌, 해당 도서관 장서 목록에 아예 없는 상태를 말한다.

커버리지는 대학 캠퍼스 간 상호대차나 지역 내 공공 도서관 간 상호대차(타관대출) 같은 공동체 단위의 상호대차에서 국가 단위 상호대차(책바다, RISS)까지 넓으며, 대학 도서관은 해외 대학 도서관의 장서를 상호대차로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공공 도서관 책바다[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 공공 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책바다' 네트워크로 묶여서 운송료를 부담하면 타 지역 도서관의 책을 빌려볼 수 있으며, 한국학술정보연구원을 통해 대학 도서관 ↔ 공공 도서관 간의 상호대차도 가능하다.

책바다 회원 가입을 하려면 자신이 소속된 공공 도서관의 승인이 필요하다. 가끔 국립중앙도서관 전산이 꼬여서 넘어가지 않을 때도 있다. 여기서 승인해 준 도서관이 책바다 수령 도서관이 되므로 여러 도서관에 적을 두고 있을 때는 방문이 편한 곳을 승인 도서관으로 지정해야 한다.

상호대차 신청시 소속 도서관에 장서가 없는 지 1차적으로 확인 후 승인이 나가면, 그때 다른 도서관에 자료확보 요청이 들어간다.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이 여러 군데면 그 중 가까운 거리의 도서관을 찍어주는 데, 택배를 거쳐서 오니 별 의미 없으므로 우선순위를 적당히 변경해도 좋다. 단, 국립중앙도서관은 순위 최하위에 고정되어 있다. 즉, 국립중앙도서관의 장서는 다른 공공도서관에 동일한 장서가 없을 때에 한해 상호대차가 가능하며, 수령지 외부로 반출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책이 수령지에 도착하고 나서 14일간 열람·반출할 수 있고, 7일 연장 가능하다. 책바다 서비스의 운송료는 공공·대학 도서관 구분없이 도서관 당 5,200원[1]이며, 여러 도서관에서 동시에 책을 당겨오면 그만큼 배수로 돈을 낸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금액의 일부를 보조해주니 지원 제도를 찾아보자. 장애인은 국립중앙도서관 측에서 전액 보조해준다.

대학 도서관[편집 | 원본 편집]

대학 도서관 간의 네트워크는 한국학술정보연구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과학기술정보센터를 중심으로 엮인지 오래라, 해외 대학교에 위치한 장서의 원문복사나 상호대차 등 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원화 캠퍼스 및 분교 등으로 2개 이상의 도서관을 가진 경우 교내 도서관 간의 상호대차도 가능하다.

관련 사이트[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책바다 서비스 비용 변경 안내, 책바다 홈페이지, 2020년 6월 3일 작성, 2020년 10월 28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