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제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부역명 인수 삭제. 토론 참고)
잔글 (봇:편집을 하기 쉽게 띄어쓰기를 일정하게 변경 & 이용객 삭제)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서울교통공사
|관할약칭 = 서울교통공사
|역명    = 홍제<small>(서울문화예술대)</small>역
|역명    = 홍제<small>(서울문화예술대)</small>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324|수도권|3}}
|역번호   = {{역번호/한국|324|수도권|3}}
|역코드 =
|역코드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지하440-1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지하440-1
|개업일 = {{날짜/출력|1985-7-12}}
|개업일   = {{날짜/출력|1985-7-12}}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 1면 2선
|승강장   = 1면 2선
|운임구역 =
|운임구역 =  
|이용객 =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small>7.5 km</small>
|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small>7.5 km</small>
}}
}}



2020년 8월 17일 (월) 02:25 판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지하440-1
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7.5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틀:날짜/출력
승강장 1면 2선

弘濟驛 / Hongje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사실 본래 건설 당시 가칭 역명은 홍은역이었고, 이 다음 역이 홍제역이었으나, 개통 직전인 틀:날짜/출력 이 역이 홍제역이 되고 다음역이 무악재역이 되었다.

홍제는 지역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홍제(弘濟)는 조선시대 때, 중국을 오가는 사신과 일반 여행객들이 휴식을 취하고, 사신들이 예복을 갈아입고 입궐 준비 등을 하던 국립여관 홍제원에서 붙여졌다. [1]

그리고 조선시대 반역에는 거사의 땅이었다. 홍제동은 경복궁과 인접해 있어 주로 반란군은 여기서 집결하여 경복궁으로 쳐들어갔다. 뭐 그래봤자 2번 있었으니 대표적으로 인조는 이 지역에서 병력을 모아 반란을 일으켰다.[2]

1998년에서 2000년까지 전국민적인 사랑을 받았던 시트콤 《순풍 산부인과》의 무대가 바로 홍제동이다. 물론 촬영은 홍제동에서 하지 않았지만.

역 구조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다.

역사

1985년 7월 12일 서울 지하철 3호선 1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이다. 2016년 8월 1일 병기역명으로 서울문화예술대가 추가되었다. (한시적 병기)

주변 정보

서대문구 북부 지역의 상업 중심지 및 버스 환승 거점으로 서대문구 소속의 각종 마을버스가 이 역 근처에 정차한다. 그리고 이 역 앞에 유진상가인왕시장이 있다. 하지만, 서대문구의 또 다른 중심지인 신촌과 비교하면 그저 눈물만 흐르는 규모(...) 아아 웃고 있어도 눈물이 나온다

연희동에 아직 제대로 된 지하철이나 도시철도가 없는 관계로, 이 역에서 내린 후 연희동 쪽으로 가는 사람들이 버스에 몰려든다. 특히 연희동 안쪽으로 들어가는 7738번을 이용하려는 승객들이 홍제역 가변 정류장에 몰린다.

그외 맥도날드 홍제점과 그랜드 힐튼 호텔이 역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 방면
 323  녹번
 324  홍제 오금 방면
 325  무악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