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고성-속초 산불: 두 판 사이의 차이

19번째 줄: 19번째 줄:
불길을 잡기 위해 광역지원을 요청해 수도권 및 충북 등지에서 인력을 지원했으나 턱없이 모자라 전국을 범위로 하는 광역지원체제로 전환됐으며<ref>[https://www.yna.co.kr/view/AKR20190404180500004?section=news 소방청, 고성 산불 진화 위해 전국에 소방차 출동 지시], 연합뉴스, 2019-04-04 21:56</ref>, 차량 73대와 2천여명의 인력이 동원되었다(군 인력 별도). 오후 22시경에는 시가지의 최외각인 속초고등학교까지 산불이 도달해 도시 지역으로 불이 옮겨붙었다.  
불길을 잡기 위해 광역지원을 요청해 수도권 및 충북 등지에서 인력을 지원했으나 턱없이 모자라 전국을 범위로 하는 광역지원체제로 전환됐으며<ref>[https://www.yna.co.kr/view/AKR20190404180500004?section=news 소방청, 고성 산불 진화 위해 전국에 소방차 출동 지시], 연합뉴스, 2019-04-04 21:56</ref>, 차량 73대와 2천여명의 인력이 동원되었다(군 인력 별도). 오후 22시경에는 시가지의 최외각인 속초고등학교까지 산불이 도달해 도시 지역으로 불이 옮겨붙었다.  


23시 50분 경에는 시가지 북쪽(의료원)과 서쪽(교동) 부근으로 화재가 확대되었으며, 산불이 인접한 북부 시가지는 연기로 자욱했으며 폭발 방지를 위한 [[도시가스]] 및 전기 차단으로 일대가 정전되었다.
23시 50분 경에는 시가지 북쪽(의료원)과 서쪽(교동) 부근으로 화재가 확대되었으며, 산불이 인접한 북부 시가지는 연기로 자욱했으며 폭발 방지를 위한 [[도시가스]] 및 전기 차단으로 일대가 정전되었다. 속초기상대는 저녁부터 온도가 올라가면서 20.1ºC를 기록했다.


* 19:17 화재 발생
* 19:17 화재 발생

2019년 4월 5일 (금) 11:02 판

틀:사건사고

{{{사건이름}}}
속초산불.jpg
사건 정보

진행

2019년 4월 4일 오후 7시 16분경, 대한민국 강원도 고성군 원암리에 위치한 일성콘도 부근에 있는 변압기가 폭발하면서 불씨를 만들었고[1], 강한 바람에 의해 영랑호 북쪽 능선 10여km를 순식간에 타들어가 속초 시가지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저녁 늦게 산불이 시작돼 야간 진화를 할 수 없는 헬기는 진화에 동원되지 못했다.

불길을 잡기 위해 광역지원을 요청해 수도권 및 충북 등지에서 인력을 지원했으나 턱없이 모자라 전국을 범위로 하는 광역지원체제로 전환됐으며[2], 차량 73대와 2천여명의 인력이 동원되었다(군 인력 별도). 오후 22시경에는 시가지의 최외각인 속초고등학교까지 산불이 도달해 도시 지역으로 불이 옮겨붙었다.

23시 50분 경에는 시가지 북쪽(의료원)과 서쪽(교동) 부근으로 화재가 확대되었으며, 산불이 인접한 북부 시가지는 연기로 자욱했으며 폭발 방지를 위한 도시가스 및 전기 차단으로 일대가 정전되었다. 속초기상대는 저녁부터 온도가 올라가면서 20.1ºC를 기록했다.

  • 19:17 화재 발생
  • 19:52 속초IC 부근 마을 대피령
  • 20:15 학사평 일대 대피령
  • 20:33 영랑동 일대 대피령(영랑초)
  • 22:40 이목리 일대 대피령(온정초)
  • 22:52 교동택지지구 일대 대피령(교동초)
  • 23:32 의료원 일대 대피령(중앙초)
  • 23:48 중앙초 포기(감리교, 동명동성당)
  • 23:56 속초MBC 철수
  • 02:55 도리원 일대 대피령(온정초)

바람이 매우 강해 불씨가 영랑호를 건너 영랑호리조트 및 보광사에 옮겨붙기도 했으나, 새벽 3시쯤 바람이 잦아들면서 호수를 끼고 한 시가지 방어전은 성공했으며, 동이 트자 헬기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화재는 5일 오전 8시 30분 경에 큰 불을 잡았으며, 잔불 진화로 방향을 바꿨다. 정부는 9시부로 일대에 국가재난사태를 선포했다.

피해

  • 보광사 2채 전소
  • 영랑동 북부 전소(속초고등학교, 극동방송 등)
  • 속초소방서 전소
  • 참빛속초도시가스 집결지 전소
  • 경동대학교 고성캠퍼스 기숙사 전소
  • 인근 주둔 군부대 전소. 워낙 불길이 빠르게 옮겨붙어 일부 부대는 탄약고 조치를 하지 못한채 대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 지역 통신망 장애[3]
  • 국도 7호선 통제(속초 교동 삼환아파트∼고성군 토성면 봉포리)
  • 진화 당일 관내 모든 학교 휴교

기타

  • 이 와중에 국가 재난의 컨트롤 타워인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국회 질의에 붙잡혀서 제 일을 못하고 있었다. 더불어민주당 측은 이석을 주장했지만 자유한국당이 거부했다고[4],
  • 지상파 3사 중 제대로 된 속보를 하는 곳은 MBC 뿐이었다.
  • 같은날에는 강릉과 동해, 부산, 포항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산불이 발생했다. 부산은 낮에 진화했으나 잔불이 새벽에 다시 들고일어나기 까지 했었다.
  • 화재 면적 자체만 봐선 2000년 동해안 산불에 비하면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러나 이례적으로 도심지 인근에서 발화한데다 시가지 일부게 불에 휩싸인 것은 산불이 자주 발생하는 동해안에서도 매우 이례적인 상황이다. 재산피해 규모나 대응 단계, 동원장비 면에서는 사상 최악의 산불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 보통 원인 미상 또는 밭두렁 태우기나 담뱃불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산불과 다르게 전기화재가 산불로 연결된 드문 사례이다. 거기다 최초 발화 장면이 사진으로 남았는데 이 또한 매우 보기 드문 장면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