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출입국심사: 두 판 사이의 차이

10번째 줄: 10번째 줄:


== 국가별 상세 ==
== 국가별 상세 ==
* {{국기|대만}} e-Gate
*: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여권 만료일까지 이용가능.
* {{국기|대한민국}} SeS (Smart Entry Service)
* {{국기|대한민국}} SeS (Smart Entry Service)
*: 2008년 인천국제공항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전국 7개 공항·만에서 자동 게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국적자 중 성년자는 2017년 3월부터 별도 신청없이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미성년자 및 기타 주민등록정보의 변경이 있었던 자는 사전 등록이 필요하다. 외국인은 등록 후 5년 또는 여권 만료일까지 이용할 수 있다.
*: 2008년 인천국제공항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전국 7개 공항·만에서 자동 게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국적자 중 성년자는 2017년 3월부터 별도 신청없이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미성년자 및 기타 주민등록정보의 변경이 있었던 자는 사전 등록이 필요하다. 외국인은 등록 후 5년 또는 여권 만료일까지 이용할 수 있다.
* {{국기|마카오}} APC (Automated Passenger Clearance)
*: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만11세 이상이면 등록할 수 있으며 면세 구역에 등록 창구가 있기 때문에 입국 전에 등록할 수 있다.
* {{국기|미국}} GE (Global Entry)
*: 한국에서 자동출입국심사를 사용하고 있다면 연동신청이 가능하다(유효기간 5년). 온라인 신청 창구는 있지만 외국인은 미국 현지를 방문해 인터뷰할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상용 여행자가 아니면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 {{국기|일본}} TTP (Trusted Traveler Program)
* {{국기|일본}} TTP (Trusted Traveler Program)
*: 당국에서 정하는 일정 수준을 만족하는 상용 입국자에 대해 자동출입국심사를 허용한다. 신청시 별도의 카드가 나오고, 해당 카드를 소지해야 심사대 키오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나리타, 하네다, 주부, 간사이에서 운용중.
*: 당국에서 정하는 일정 수준을 만족하는 상용 입국자에 대해 자동출입국심사를 허용한다. 신청시 별도의 카드가 나오고, 해당 카드를 소지해야 심사대 키오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나리타, 하네다, 주부, 간사이에서 운용중.


* {{국기|미국}} GE (Global Entry)
* {{국기|캐나다}} NEXUS
*: 한국에서 자동출입국심사를 사용하고 있다면 연동신청이 가능하다(유효기간 5년). 온라인 신청 창구는 있지만 외국인은 미국 현지를 방문해 인터뷰할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상용 여행자가 아니면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 캐나다, 미국 국적자 및 영주권자가 미국-캐나다 국경 통과시 절차를 간략화 한 것이다. 인터뷰 후 플라스틱 카드를 지급받으면 사용 가능.


* {{국기|홍콩}} e-Channel
* {{국기|홍콩}} e-Channel
*: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 {{국기|마카오}} APC (Automated Passenger Clearance)
*: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만11세 이상이면 등록할 수 있으며 면세 구역에 등록 창구가 있기 때문에 입국 전에 등록할 수 있다.
* {{국기|대만}} e-Gate
*: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여권 만료일까지 이용가능.

2018년 11월 14일 (수) 20:41 판

출입국 수속 중 출입국 심사(Immigration)를 대면 심사에서 바이오 정보 제공 후 통과시키는 요식 행위로 전환하는 제도이다. 전세계 40여개국에서 자동 출입국 게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여행의 즐거움 중 하나인 출입국 도장이 안 찍히기 때문에 여권을 이용한 상륙 증명은 어려워지지만, 심사대 앞에서 길게 줄 서 있는 것 보다는 나을 것이다.

주요 조건

  • 전자여권 소지자
  • 복수비자 소지(외국인에 한함)
  • 바이오 정보 제공(지문, 얼굴 사진 등)
  • 출입국 부적격 사유(예: 전과자 등)가 없을 것.
  • 법적 성년자일 것.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자동출입국심사에서 미성년자는 이용불가이다. 보호자와 동행이 반드시 필요한 영유아 및 아동의 경우에는 그 보호자(최소 1인)도 이용이 제한된다.

국가별 상세

  • 대만 e-Gate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여권 만료일까지 이용가능.
  • 대한민국 SeS (Smart Entry Service)
    2008년 인천국제공항의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전국 7개 공항·만에서 자동 게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 국적자 중 성년자는 2017년 3월부터 별도 신청없이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미성년자 및 기타 주민등록정보의 변경이 있었던 자는 사전 등록이 필요하다. 외국인은 등록 후 5년 또는 여권 만료일까지 이용할 수 있다.
  • 마카오 APC (Automated Passenger Clearance)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 만11세 이상이면 등록할 수 있으며 면세 구역에 등록 창구가 있기 때문에 입국 전에 등록할 수 있다.
  • 미국 GE (Global Entry)
    한국에서 자동출입국심사를 사용하고 있다면 연동신청이 가능하다(유효기간 5년). 온라인 신청 창구는 있지만 외국인은 미국 현지를 방문해 인터뷰할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상용 여행자가 아니면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 일본 TTP (Trusted Traveler Program)
    당국에서 정하는 일정 수준을 만족하는 상용 입국자에 대해 자동출입국심사를 허용한다. 신청시 별도의 카드가 나오고, 해당 카드를 소지해야 심사대 키오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나리타, 하네다, 주부, 간사이에서 운용중.
  • 캐나다 NEXUS
    캐나다, 미국 국적자 및 영주권자가 미국-캐나다 국경 통과시 절차를 간략화 한 것이다. 인터뷰 후 플라스틱 카드를 지급받으면 사용 가능.
  • 홍콩 e-Channel
    홍콩 현지를 방문해 신청서를 제출하고 간단한 인터뷰를 통과하면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