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판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역 정보
|역명 = 전동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글자색 = white


|관할 = 코레일 대전충남본부
|개업일 = {{날짜/출력|1929-5-11}}
|종별 = 신호장
|등급 =
|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청연로 601
|노선1 = [[경부선]]
|역번호 =
|배경색1 =
|글자색1 =
|전방면1 = [[서울역|서 울]]
|전역1 = [[조치원역|조치원]]
|전거리1 = 5.6
|후방면1 = [[부산역|부 산]]
|후역1 = [[부강역|부 강]]
|후거리1 = 4.2
|노선2 =
|역번호 =
|후방면2 =
|후역2 =
|후거리2 =
}}


'''내판역'''(內板驛)은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다. 현재는 모든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으며 사실상 [[신호장]]의 역할만 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직선거리는 가장 가까우나 교통 사정이 [[영 좋지 않다|영 좋지 않아]] 관련 수요는 [[부강역]]이 대부분 흡수할 듯 하다.
'''내판역'''(內板驛)은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이다. 현재는 모든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으며 사실상 [[신호장]]의 역할만 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직선거리는 가장 가까우나 교통 사정이 [[영 좋지 않다|영 좋지 않아]] 관련 수요는 [[부강역]]이 대부분 흡수할 듯 하다.
48번째 줄: 21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기|내판역}}
{{분기|내판역}}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닫기=닫기|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폭=13em|노선명=201 경부본선|노선링크=경부선|노선거리=134.9 km
|전역폭=13em|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대전역|대전]]|전거리=5.6 km
|당역폭=10em|당역='''세천'''
|후역폭=13em|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부강역|부강]]|후거리=4.2 km}}
{{경유 노선/닫기}}

2018년 5월 9일 (수) 11:50 판


내판역(內板驛)은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철도역이다. 현재는 모든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으며 사실상 신호장의 역할만 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직선거리는 가장 가까우나 교통 사정이 영 좋지 않아 관련 수요는 부강역이 대부분 흡수할 듯 하다.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상역으로, 중간 2선으로 경부본선이 통과한다. 승강장은 폭이 좁으며, 여객 열차가 정차하지 않은 이후로 관리되고 있지 않다.

역 주변

  • 연동면사무소
  • 세종연동우체국
  • 대한교과서, 교과서박물관
  • 연동초등학교

역사

각주

  1. 살인궤도를달리는교통부, 《동아일보》, 1948.09.16.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내판역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13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01 경부본선
(134.9 km)
서울 방면
대전 5.6 km
세천 부산 방면
부강 4.2 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