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일역 (한국철도공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동해남부선분류:부산광역시의 철도역분류:가야선 {{철도역 정보 |역명 = 범일 |배경색 = {{철도 노선색|BTC}} |글자색 = white |관...)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동해남부선]][[분류:부산광역시의 철도역]][[분류:가야선]]
[[분류:동해남부선]][[분류:부산광역시의 철도역]][[분류:가야선]]
{{철도역 정보
|역명 = 범일
|배경색 = {{철도 노선색|BTC}}
|글자색 = white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71번길 94
|노선1 = [[동해남부선]]
|역번호 =
|배경색1 =
|글자색1 =
|전방면1 = [[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부산진]]
|전역1 = [[부산진역|부산진]]
|전거리1 = 2.1
|전역번호1 =
|후방면1 = [[효자역 (포항)|효 자]]
|후역1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 전]]
|후거리1 = 2.5
|후역번호1 =
|노선2 = [[가야선]]
|역번호 =
|배경색2 =
|글자색2 =
|전방면2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사 상]]
|전역2 = [[가야역|가 야]]
|전거리2 = 3.2
}}


== 개요 ==
== 개요 ==
36번째 줄: 7번째 줄:


참고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범일역 (도시철도)|범일역]]과는 멀리 떨어져있다. 가장 가까운건 [[범내골역]]이니 한번쯤 답사해보고 싶으면 [[범내골역]]에서 내리자. 물론 [[경부고속선]]이 개통하면서 승강장을 죄다 뜯어가버려서 아무것도 없지만...
참고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범일역 (도시철도)|범일역]]과는 멀리 떨어져있다. 가장 가까운건 [[범내골역]]이니 한번쯤 답사해보고 싶으면 [[범내골역]]에서 내리자. 물론 [[경부고속선]]이 개통하면서 승강장을 죄다 뜯어가버려서 아무것도 없지만...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5e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폭=9em|노선명=211 동해선|노선링크=동해선|노선거리=2.1 km
|전역폭=12em|전방면=[[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부산진]] 방면|전역=[[부산진역|부산진]]|전거리=2.1 km
|당역폭=8em|당역='''부전'''
|후역폭=12em|후방면=[[효자역 (포항)|효자]] 방면|후역=[[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후거리=2.5 km}}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명=2022 가야선|노선링크=가야선|노선거리=8.3 km
|전방면=[[사상역 (한국철도공사)|사상]] 방면|전역=[[가야역|가야]]|전거리=3.2 km
|당역='''부전'''
|후역=(종점)}}
{{경유 노선/닫기}}

2018년 5월 8일 (화) 17:03 판


개요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71번길 94에 위치한 동해남부선의 역이자 가야선의 종점인 철도역

과거에 통근열차가 다니고 동해남부선 열차들의 종점이 부산진역이었을 당시엔 통근열차가 정차했었으나. 통근열차의 운행이 종료되고 모든 동해남부선 열차들이 부전역에서 시종착하게되면서 자연스레 열차도 사라졌다.

참고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범일역과는 멀리 떨어져있다. 가장 가까운건 범내골역이니 한번쯤 답사해보고 싶으면 범내골역에서 내리자. 물론 경부고속선이 개통하면서 승강장을 죄다 뜯어가버려서 아무것도 없지만...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class="tp_link" style="width: 9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11 동해선
(2.1 km)
부산진 방면
부산진 2.1 km
부전 효자 방면
부전 2.5 km
class="tp_link" style="width: 12em; background: 틀:한국 철도 노선색2; color: white;" | 2022 가야선
(8.3 km)
사상 방면
가야 3.2 km
부전 (종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