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인: 두 판 사이의 차이

16번째 줄: 16번째 줄:
단 미소녀 연애 게임를 필두로 남성향 연애물에서는 공략 가능한 여성 주연들을 본인들 루트의 여주인공이라는 의미로 히로인으로 표기하거나, 고전작품과 일부 소년, 소녀만화 등지에서는 "고전적 여성상(남성에게 순종적이거나 우유부단하고 도움을 받는 등 수동적인 면모를 지닌 여성)을 가진 여성 인물"이 여주인공 자리를 차지했었다. 또한 이런 여주인공들은 대개 남주인공의 보조역, 파트너로 나오거나 스토리의 핵심이 되지 못하는 허울만 히로인인 경우가 많았으며, 특성상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부에서는 남주인공과 결혼/연애로 이어지는 여성 인물을 히로인으로 칭하기도 한다.
단 미소녀 연애 게임를 필두로 남성향 연애물에서는 공략 가능한 여성 주연들을 본인들 루트의 여주인공이라는 의미로 히로인으로 표기하거나, 고전작품과 일부 소년, 소녀만화 등지에서는 "고전적 여성상(남성에게 순종적이거나 우유부단하고 도움을 받는 등 수동적인 면모를 지닌 여성)을 가진 여성 인물"이 여주인공 자리를 차지했었다. 또한 이런 여주인공들은 대개 남주인공의 보조역, 파트너로 나오거나 스토리의 핵심이 되지 못하는 허울만 히로인인 경우가 많았으며, 특성상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부에서는 남주인공과 결혼/연애로 이어지는 여성 인물을 히로인으로 칭하기도 한다.


그리고 일부 만화, 소설같은 경우에는 외부사정(주로 캐릭터의 인기 등)으로 여주인공이 중간에 바뀌거나 인기 여조연이 주연급 비중을 가지거나 [[클리셰]] 깨기의 일환으로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연애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문에 《[[나루토]]》와 《[[블리치]]》는 어떤 여성 인물이 주인공하고 이어지는지를 주제로 히로인 논쟁이 매우 심각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부 만화, 소설에서 외부사정(주로 캐릭터의 인기 등)으로 여주인공이 중간에 바뀌거나(인기 여조연이 주연급 비중을 차지하거나) [[클리셰]] 깨기의 일환으로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연애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문에 《[[나루토]]》와 《[[블리치]]》는 어떤 여성 인물이 주인공하고 이어지는지를 주제로 히로인 논쟁이 매우 심각했었다.


한국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이 미연시와 일부 고전,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영향으로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되어서 '''1. 주인공의 연인인(내지는 연인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연/준주연, 2. 수동적인 역할을 하거나 (남주인공에게) 구해지는 여성 주조연'''으로 쓰이게 되었으며<ref>출처 추가바람 : 이런 오해로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재플리시 히로인(japlish heroine)이라는 은어가 있었던걸로 알려져있으나 일본에서도 히로인은 [https://ja.wikipedia.org/wiki/%E3%83%92%E3%83%AD%E3%82%A4%E3%83%B3 여주인공, 여성 영웅]이라는 의미로 쓰고 있으며 재플리시 히로인을 구글링하면 특정 작품의 여주인공 캐릭터가 뜬다.</ref> 엔하계 위키, 일본 서브컬쳐 커뮤니티에서도 히로인을 오용하는 경우가 <del>매우</del> 많다. 히로인의 원뜻을 생각하면 수동적인 남성 캐릭터나 연애 플래그만 있는 여성 조연 캐릭터에게 히로인을 쓰는 것,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무조건 칭하는건 지양해야 할 일이다.
한국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이 미연시와 일부 고전,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영향으로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되어서 '''1. 주인공의 연인인(내지는 연인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연/준주연, 2. 수동적인 역할을 하거나 (남주인공에게) 구해지는 여성 주조연'''으로 쓰이게 되었으며<ref>출처 추가바람 : 이런 오해로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재플리시 히로인(japlish heroine)이라는 은어가 있었던걸로 알려져있으나 일본에서도 히로인은 [https://ja.wikipedia.org/wiki/%E3%83%92%E3%83%AD%E3%82%A4%E3%83%B3 여주인공, 여성 영웅]이라는 의미로 쓰고 있으며 재플리시 히로인을 구글링하면 특정 작품의 여주인공 캐릭터가 뜬다. 구글 검색 결과 나무위키가 뜨는 것을 보아 나무위키발 독자연구로 보인다.</ref> 엔하계 위키, 일본 서브컬쳐 커뮤니티에서도 히로인을 오용하는 경우가 <del>매우</del> 많다. 히로인의 원뜻을 생각하면 수동적인 남성 캐릭터나 연애 플래그만 있는 여성 조연 캐릭터에게 히로인을 쓰는 것,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무조건 칭하는건 지양해야 할 일이다.


== 히로인의 세부 분류 ==
== 히로인의 세부 분류 ==

2017년 10월 10일 (화) 11:08 판

틀:넘겨주기 있음 heroine / ヒロイン

히로인(헤로인)은 1. 영웅적인 여자, 여걸 / 2. (소설, 영화, 만화 등의) 여자 주인공 / 3. 영웅같은 여자를 일컫는 영단어이다.[1] 원래 발음은 헤로인에 가깝지만 한국에서는 마약 헤로인이 연상되기도 하고 일본 서브컬쳐의 영향을 깊게 받았기때문에 히로인(ヒロイン)이라고 쓰고 있다. 단 국립국어원에서 히로인의 표기를 인정하게 되었다.

여성 영웅

영미권에서는 남성 영웅을 히어로(Hero)로 쓰는 것처럼 히로인(heroine)은 히어로의 여성형으로 2번같은 경우는 메인 캐릭터(프로타고니스트)로 많이 쓴다.

신화, 고대사에서도 나왔다시피 과거 영웅들은 전쟁 등으로 이름을 날리는 경우가 많아 여성 영웅들은 신체적 특성상 활약할 일이 적었고 기록에 남아있는 극소수의 이름난 여성 영웅들도 전쟁에 참가해 남성 영웅 못지 않은 공을 세운 경우가 많았다.(잔 다르크 등) 그러나 이런 여성 영웅들은 당시 여성이 인간취급을 받지 못한 시대상 배척을 당하거나 기록에서 평가절하를 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군인, 전투원으로 공을 세우는 것만 아니라 여성 지도자로서 국가를 이끈 경우나 계몽 및 독립 운동, 봉사 활동, 창작 활동을 통해 자신들의 삶과 사상을 알려 사회, 세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여성 인물들도 영웅으로 볼 수 있으며, (부디카, 하트셉수트 1세, 엘리자베스 1세, 빅토리아 여왕, 예카테리나 2세,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마더 테레사, 오드리 헵번, 유관순 등) 미디어 매체물의 여성 영웅들도 초인적인 힘을 지녀 앞장 서서 싸우거나 카리스마와 호소력으로 주변에 큰 영향을 주는 식으로 묘사되고 있다.

여성 주인공

주인공의 사전적 의미는 "이야기가 형성되는데 중심이 되거나 주된 역할을 하는 인물"로 히로인(여성 주인공)은 말그대로 「(연극, 영화, 소설, 만화, 게임에서) 가장 주된 역할을 하거나 중심이 되는 여성 주연」을 일컫는다.창작자에 따라 여성 주연이 단독(내지는 2인 이상)으로 이끌어나가거나 남성 주연과 함께 투톱 주연 체제로 서사의 중심이 되기도 한다.

단 미소녀 연애 게임를 필두로 남성향 연애물에서는 공략 가능한 여성 주연들을 본인들 루트의 여주인공이라는 의미로 히로인으로 표기하거나, 고전작품과 일부 소년, 소녀만화 등지에서는 "고전적 여성상(남성에게 순종적이거나 우유부단하고 도움을 받는 등 수동적인 면모를 지닌 여성)을 가진 여성 인물"이 여주인공 자리를 차지했었다. 또한 이런 여주인공들은 대개 남주인공의 보조역, 파트너로 나오거나 스토리의 핵심이 되지 못하는 허울만 히로인인 경우가 많았으며, 특성상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맺어지는 경우가 많아 일부에서는 남주인공과 결혼/연애로 이어지는 여성 인물을 히로인으로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부 만화, 소설에서 외부사정(주로 캐릭터의 인기 등)으로 여주인공이 중간에 바뀌거나(인기 여조연이 주연급 비중을 차지하거나) 클리셰 깨기의 일환으로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이 연애적으로 이어지지 않는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문에 《나루토》와 《블리치》는 어떤 여성 인물이 주인공하고 이어지는지를 주제로 히로인 논쟁이 매우 심각했었다.

한국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이 미연시와 일부 고전, 일본 미디어 매체물의 영향으로 히로인의 의미가 왜곡되어서 1. 주인공의 연인인(내지는 연인 플래그가 있는) 여성 주연/준주연, 2. 수동적인 역할을 하거나 (남주인공에게) 구해지는 여성 주조연으로 쓰이게 되었으며[2] 엔하계 위키, 일본 서브컬쳐 커뮤니티에서도 히로인을 오용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히로인의 원뜻을 생각하면 수동적인 남성 캐릭터나 연애 플래그만 있는 여성 조연 캐릭터에게 히로인을 쓰는 것, 연애 플래그가 없는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무조건 칭하는건 지양해야 할 일이다.

히로인의 세부 분류

이하 히로인의 세부 분류는 본래 의미의 히로인이 아닌 의미가 변천된 히로인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메인 히로인

작품 속 스토리의 중심이자 이끌어나가는 여성 인물로 일반적인 여성 영웅/주인공이다. 남성이 주인공인 작품일 경우에는 작품 전개에 따라 본 스토리에서 중요한 여성 주연이자 장본인, 준 주인공(내지는 서브 주인공)급으로 나오기도 한다. 예전의 메인 히로인은 남성 주인공과 연애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클리셰들을 깨뜨리는 작품이 늘어남에 따라 남성 주인공하고 친구, 동료로만 남아 다른 남성 주조연하고 이어지거나 한술 더 떠서 연애 플래그조차 없는 메인 히로인이 늘어났다. 단 여성 주인공을 메인으로 내세웠거나 남성 주인공이 없는 단독인 작품은 메인 히로인보다는 여주라는 표현을 많이 쓰고 있다.

타이틀 히로인

작품의 타이틀, 간판을 장식하는 마스코트격인 여성 주연이다. 예전에는 메인 히로인이 타이틀 히로인도 겸하기도 했었지만 최근에는 캐릭터의 반전이나 러브라이브, 아이돌 마스터등 히로인들이 많은 작품들이 등장해 대표적인 여성 인물을 타이틀 히로인으로 내세우는 경우가 많아졌다.

서브 히로인

서브 주인공의 여성 버전으로 히로인이 주인공과 이어지는 것처럼 서브 히로인도 서브 주인공과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서브라는 특성상 등장빈도와 비중 둘다 낮은 편이다. 단 서브 히로인이지만 주인공과 이어지는 히로인은 팬덤에서 진 히로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페이크 히로인

페이크 주인공에서 파생된 단어로 말그대로 가짜 히로인. 스토리상 비중이 있는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조연이거나 엑스트라, 악역인 여성 인물이거나 초반에 비중이 높았지만 갈수록 비중이 떨어져서 스토리의 중심이 못되거나 떨어져나가버린 여성 인물을 뜻하는 말이다. 반댓말은 진히로인.

진 히로인

페이크 히로인의 반댓말로 주인공과 이어지거나 메인 스토리의 진행에 있어서 복선, 반전 등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졌거나 가장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메인 히로인을 뜻한다. 반전을 넣은 작품에서는 타이틀 히로인을 페이크 히로인으로 내세우고 진 히로인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대체적으로 진 히로인은 위치 특성상 남성 주인공인 작품과 연애 게임에 많은 편이다.

히로인인 등장인물

같이보기

이 문서의 일부는 위키피디아영어 위키피디아 히어로 문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이 문서의 일부는 위키피디아일본어어 위키피디아 히로인 문서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
  1. 출처 : 네이버 영어사전
  2. 출처 추가바람 : 이런 오해로 서브컬쳐 팬덤에서는 재플리시 히로인(japlish heroine)이라는 은어가 있었던걸로 알려져있으나 일본에서도 히로인은 여주인공, 여성 영웅이라는 의미로 쓰고 있으며 재플리시 히로인을 구글링하면 특정 작품의 여주인공 캐릭터가 뜬다. 구글 검색 결과 나무위키가 뜨는 것을 보아 나무위키발 독자연구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