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이미 있는 원작을 재구성하거나 캐릭터, 세계관을 빌려만든 동인지로 아마추어 동인지, 팬활동한해서 수가 많은 동인지이다.  
이미 있는 원작을 재구성하거나 캐릭터, 세계관을 빌려만든 동인지로 아마추어 동인지, 팬활동한해서 수가 많은 동인지이다.  


저작권으로 많이 논란이 있는데 그나마 팬아트나 무료 공개 창작물은 상업적으로 이익을 보는게 없어서 묵인이 가능하지만 돈을 받고 파는 동인지같은 경우는 원작자에게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았거나 허락을 받은 것이 아니기 때문. 그러나 동인시장이 매우 활성화된 일본은 저작권으로 매우 엄격한 곳이 아니라면 이런 상업적 2차 창작 동인지 활동도 원작 홍보 및 팬활동 목적으로 적당히 눈감아주고 있는 상황이다.  
2차 창작 동인지는 저작권으로 많이 논란이 있는데 그나마 무료 공개 창작물은 상업적으로 이익을 보는게 없어서(비영리적 목적) 원작자가 대놓고 금지시킨게 아닌 이상 허용을 하지만 돈을 받고 파는 동인지같은 경우는 염연한 영리목적이기 때문에 원작자에게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았거나 허락을 받은 것이 아니라면 법을 어긴 것이기 때문. 그러나 동인시장이 매우 활성화된 일본은 저작권으로 매우 엄격한 곳이 아니라면 이런 상업적 2차 창작 동인지 활동도 원작 홍보 및 팬활동 목적으로 적당히 눈감아주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공식 로고를 그대로 가져다 썼거나 공식 굿즈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매우 흡사하게 만들었을 경우에는 해적판으로 보고 처벌을 하는데 이건에 대해서는 각 회사마다 기준이 다르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디즈니와 마블 사례때문에 국내에서는 미국 2차 창작 동인지 시장에 대한 오해가 매우 퍼져있는데 디즈니와 마블이 저작권에 엄격한건 맞고 미국의 2차 창작 시장은 한국/일본의 2차 창작 시장과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는건 맞지만 원저작권을 명백히 침범하는 것만 처벌을 하지 2차 창작은 내비두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디즈니 주제의 2차 창작 동인지가 미국 현지에서 팔린 적이 있으며 미국 최대 규모의 만화/동인 행사인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도 원작자들의 허가없이 2차 창작 동인지, 팬 일러스트집을 내고 파는 작가들이 있다고 한다.<ref>출처 : [http://blog.naver.com/kjh6908/120172629552 코믹콘에 가다] 작성일 : 2012년 11월 5일, 작성자  : Taylor Kim</ref>
참고로 디즈니와 마블 사례때문에 국내에서는 미국 2차 창작 동인지 시장에 대한 오해가 매우 퍼져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은 저작권이 매우 엄격해서 2차 창작 자체를 금지하거나 영리적 목적 2차 창작은 개인안가리고 무조건 처벌한다." 이다. 이에 대해 해명을 하자면 디즈니와 마블이 저작권에 엄격한건 맞고 미국의 2차 창작 시장은 한국/일본의 2차 창작 시장과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는건 맞지만 원저작권을 명백히 침범하는 것만 처벌을 하지 2차 창작은 내비두고 있는 상황이다.<ref>출처 : [http://rasillmh.tistory.com/1 블리자드 IP에 대한 2차적 저작물에 대해] 작성자 : 라시루 2016.07.08 해당 블로그의 포스팅은 블리자드 엔터테이먼트 사의 2차 창작물에 대한 것만 다루고 있으나 블리자드는 '''미국''' 게임 회사에 포스팅 내용도 블리자드를 중심으로 2차 창작에 대한 저작권적 쟁점 및 간접적으로나마 2차도 어느정도 알려주고 있다보니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ref> 실제로 디즈니 주제의 2차 창작 동인지가 미국 현지에서 팔린 적이 있으며 미국 최대 규모의 만화/동인 행사인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도 원작자들의 허가없이 2차 창작 동인지, 팬 일러스트집을 내고 파는 작가들이 있다고 한다.<ref>출처 : [http://blog.naver.com/kjh6908/120172629552 코믹콘에 가다] 작성일 : 2012년 11월 5일, 작성자  : Taylor Kim</ref>


=== 에로 동인지 ===
=== 에로 동인지 ===

2017년 5월 28일 (일) 22:52 판

동인지(同人誌)는 같은 취미를 가진 사람, 즉 동인(동호인)끼리 향유하기 위해 발행하는 이다. 여러 사람이 모여서 만드는 합동지도 있지만 개인이 배포하는 개인지가 일반적이다.

역사

본래 동인지의 시초는 문예 동인지였다. 그러나 차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동인지의 대세는 만화 동인지가 되고 말았다.

유형

동인지라고 하면 곧 만화책이라는 선입관이 있을 수 있는데, 사실 학교의 클럽이나 동아리, 동호회 등에서 내는 회지 따위도 엄연히 동인지의 범주에 들어간다. 동인 행사에서 배포되는 동인지의 주류는 확실히 만화가 많지만, 소설을 수록한 동인지나 사설·작품의 고찰 등을 엮은 동인지도 존재한다.

오리지널 동인지

다른 말로 1차 창작 동인지라고 하는데 말그대로 동인 작가가 자신이 직접 창작한 세계관과 스토리, 캐릭터로 만든 동인지이다. 프로로 정식 연재할 짬이 안되는 아마추어 작가나 극히 일부로 프로 작가가 외부사정으로 정식 연재를 못할 때 동인지 형태로 내는 경우가 많다.

2차 창작 동인지

이미 있는 원작을 재구성하거나 캐릭터, 세계관을 빌려만든 동인지로 아마추어 동인지, 팬활동한해서 수가 많은 동인지이다.

2차 창작 동인지는 저작권으로 많이 논란이 있는데 그나마 무료 공개 창작물은 상업적으로 이익을 보는게 없어서(비영리적 목적) 원작자가 대놓고 금지시킨게 아닌 이상 허용을 하지만 돈을 받고 파는 동인지같은 경우는 염연한 영리목적이기 때문에 원작자에게 로열티를 지불하지 않았거나 허락을 받은 것이 아니라면 법을 어긴 것이기 때문. 그러나 동인시장이 매우 활성화된 일본은 저작권으로 매우 엄격한 곳이 아니라면 이런 상업적 2차 창작 동인지 활동도 원작 홍보 및 팬활동 목적으로 적당히 눈감아주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공식 로고를 그대로 가져다 썼거나 공식 굿즈와 구분이 안될 정도로 매우 흡사하게 만들었을 경우에는 해적판으로 보고 처벌을 하는데 이건에 대해서는 각 회사마다 기준이 다르니 주의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디즈니와 마블 사례때문에 국내에서는 미국 2차 창작 동인지 시장에 대한 오해가 매우 퍼져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은 저작권이 매우 엄격해서 2차 창작 자체를 금지하거나 영리적 목적 2차 창작은 개인안가리고 무조건 처벌한다." 이다. 이에 대해 해명을 하자면 디즈니와 마블이 저작권에 엄격한건 맞고 미국의 2차 창작 시장은 한국/일본의 2차 창작 시장과 세부적으로 차이가 있는건 맞지만 원저작권을 명백히 침범하는 것만 처벌을 하지 2차 창작은 내비두고 있는 상황이다.[1] 실제로 디즈니 주제의 2차 창작 동인지가 미국 현지에서 팔린 적이 있으며 미국 최대 규모의 만화/동인 행사인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도 원작자들의 허가없이 2차 창작 동인지, 팬 일러스트집을 내고 파는 작가들이 있다고 한다.[2]

에로 동인지

사실 한국에서 '동인지'라고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1차/2차 창작 에로 만화일 것이다. 그 이유는 사람들 심리상 야하고 자극적인 것에 이끌리다보니 이런 성인물을 자주 찾게 되는 것인데 에로 동인지도 그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일단 2차 창작 에로 동인지는 불법과 합법 사이에 있는 회색지대라 원 작가들도 불법 공유로 적극적으로 고소를 하지 않다보니[3] 온라인 유통망으로 에로 동인지의 불법 공유가 성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다보니 동인지를 모르는 사람들은 아예 에로 만화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작 실제 동인지 시장에서는 전연령 동인지가 더 많고 19금 동인지는 기껏해야 20% 안팎밖에 되지 않는다.

개인 단위로 제작하는 경향이 많으며 합동지라도 내용 특성상 썩 분량이 많은 편은 아니기에 두께가 얇아지기 일쑤다. 덕분에 얇은 책(薄い本)이라는 별명도 붙어있다.

동인지 시장

코믹 마켓을 비롯해서 각종 동인지 즉매회 등, 동인 행사를 통해 막대한 수의 동인지가 배포되고 있다. 토라노아나멜론북스 등의 동인 샵에서는 판매 대행도 하고 있다.

같이보기

각주

  1. 출처 : 블리자드 IP에 대한 2차적 저작물에 대해 작성자 : 라시루 2016.07.08 해당 블로그의 포스팅은 블리자드 엔터테이먼트 사의 2차 창작물에 대한 것만 다루고 있으나 블리자드는 미국 게임 회사에 포스팅 내용도 블리자드를 중심으로 2차 창작에 대한 저작권적 쟁점 및 간접적으로나마 2차도 어느정도 알려주고 있다보니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2. 출처 : 코믹콘에 가다 작성일 : 2012년 11월 5일, 작성자  : Taylor Kim
  3. 이 역시 사람들이 오해하는 것으로 "2차 창작은 저작권이 없다"인데 저작권법에 따르면 생겨난 저작물은 1차,2차 관계없이 무조건 인격저작권이 생기기때문에 2차 창작도 저작권은 있다. 단 원저작권에 비해 권리는 약한 편에 원작자가 저작권 침해로 고소하면 불법으로 인정되어 저작권이 사라지는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