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승저항: 두 판 사이의 차이

18번째 줄: 18번째 줄:
* 짐꾸러미
* 짐꾸러미
** 현상 : 짐을 가지고 다닐경우 한번에 목적지까지 가고 싶어한다.<ref>짐을 들고 움직이는것은 귀찮고 힘든일이다. 하지만 한번에 갈 방법이 있으면, 거기에 한번 탑승하면 목적지에 내릴때까지 짐을 들고 움직일 일이 없으니 편하다!</ref>
** 현상 : 짐을 가지고 다닐경우 한번에 목적지까지 가고 싶어한다.<ref>짐을 들고 움직이는것은 귀찮고 힘든일이다. 하지만 한번에 갈 방법이 있으면, 거기에 한번 탑승하면 목적지에 내릴때까지 짐을 들고 움직일 일이 없으니 편하다!</ref>
** 조치 : {{ㅊ|짐을 버린다}} 수하물이 많이 발생하는 공항이나 터미널 등지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을 최대한 환승없이 목적지로 갈 수 있게 짠다. [[JR 히가시니혼]]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이걸로 재미를 보고 있다.
** 조치 : {{ㅊ|짐을 버린다}} 수하물이 많이 발생하는 공항이나 터미널 등지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을 최대한 환승없이 목적지로 갈 수 있게 짠다. [[JR 히가시니혼]]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이걸로 재미를 보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 [[KTX]]도 이를 무마하기 위한 조치.
* [[귀차니즘]]
* [[귀차니즘]]
** 현상 : 환승하기 위해 움직이거나 버스가 올때까지 기다리는것이 귀찮다.
** 현상 : 환승하기 위해 움직이거나 버스가 올때까지 기다리는것이 귀찮다.

2015년 9월 2일 (수) 22:23 판

틀:토막글

Mass Transfer Resistance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환승을 하게되는데, 이 때 발생하게되는 심리적 저항을 의미한다. 대중교통 활성화의 주적

환승저항의 원인

  • 환승시간
    • 현상 : 환승을 위해 내린 다음, 그 곳에서 다른 노선이 오길 기다리거나 연결 교통수단을 타기 위해 이동하고 기다리는 시간이 소모된다.
    • 조치 : 증차를 해서 배차간격을 줄인다... 가 좋은 방법이나. 예산 문제로 증차에는 한계가 있다. 철도의 경우 직통 노선을 늘려 환승 자체를 없앨 수 있다.
  • 환승비용
    • 현상 : 환승하는데 추가비용이 소모된다.
    • 조치 : 국내에서는 지역별 통합요금제를 굴리거나 환승요금을 계산하지 않는다.
  • 정보부족
    • 현상 : 환승을 어디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른다.
    • 조치 : 스마트폰의 전자지도 보급으로 이 문제는 해결되고 있다.
  • 짐꾸러미
    • 현상 : 짐을 가지고 다닐경우 한번에 목적지까지 가고 싶어한다.[1]
    • 조치 : 짐을 버린다 수하물이 많이 발생하는 공항이나 터미널 등지에서 출발하는 노선들을 최대한 환승없이 목적지로 갈 수 있게 짠다. JR 히가시니혼 나리타 익스프레스가 이걸로 재미를 보고 있으며, 인천국제공항 KTX도 이를 무마하기 위한 조치.
  • 귀차니즘
    • 현상 : 환승하기 위해 움직이거나 버스가 올때까지 기다리는것이 귀찮다.
    • 조치 : 부지런해지면 된다
  • 막장환승
    • 현상 : 환승해야할 곳의 상태가 영 좋지않은 경우. 환승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체력이 소모되는 경우
    • 조치 : 정류장 설계부터 다시 해야한다 답이 없다

뭐든 가장 좋은 방법은 "한 번에 목적지로 갈수 있는 노선"을 타는 것이다.

각주

  1. 짐을 들고 움직이는것은 귀찮고 힘든일이다. 하지만 한번에 갈 방법이 있으면, 거기에 한번 탑승하면 목적지에 내릴때까지 짐을 들고 움직일 일이 없으니 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