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극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60번째 줄: 60번째 줄:
#<math>g</math>가 <math>x=c</math>에서 수렴하므로, 적당한 <math>\delta_1>0</math>에 대해 <math>g</math>는 <math>N^*_{\delta_1}\left(c\right)</math>에서 [[유계]]이다. 즉, 적당한 <math>M>0</math>에 대해 <math>\left|g\left(x\right)\right|< M,\,\forall x\in N^*_{\delta_1}\left(c\right)</math>. 또한, 적당한 <math>\delta_2>0</math>이 존재하여 <math>0<\left|x-c\right|<\delta_2</math>이면 <math>\left|f\left(x\right)-L_1\right|<\frac{\varepsilon}{2M}</math>이다. 그리고 적당한 <math>\delta_3>0</math>이 존재하여 <math>0<\left|x-c\right|<\delta_3</math>이면 <math>\left|g\left(x\right)-L_2\right|<\frac{\varepsilon}{2\left|L_1\right|+1}</math>이다. 이제 <math>\delta=\min\left(\delta_1,\delta_2,\delta_3\right)</math>로 정의하자. 그럼 <math>0<\left|x-c\right|<\delta</math>이면, <math>\left|f\left(x\right)g\left(x\right)-L_1L_2\right|=\left|f\left(x\right)g\left(x\right)-L_1g\left(x\right)+L_1g\left(x\right)-L_1L_2\right|\leq\left|f\left(x\right)g\left(x\right)-L_1g\left(x\right)\right|+\left|L_1g\left(x\right)-L_1L_2\right|</math><br/><math>=\left|g\left(x\right)\right|\left|f\left(x\right)-L_1\right|+\left|L_1\right|\left|g\left(x\right)-L_2\right|< M\cdot\frac{\varepsilon}{2M}+\left|L_1\right|\cdot\frac{\varepsilon}{2\left|L_1\right|+1}<\frac{\varepsilon}{2}+\frac{\varepsilon}{2}=\varepsilon</math>이다.
#<math>g</math>가 <math>x=c</math>에서 수렴하므로, 적당한 <math>\delta_1>0</math>에 대해 <math>g</math>는 <math>N^*_{\delta_1}\left(c\right)</math>에서 [[유계]]이다. 즉, 적당한 <math>M>0</math>에 대해 <math>\left|g\left(x\right)\right|< M,\,\forall x\in N^*_{\delta_1}\left(c\right)</math>. 또한, 적당한 <math>\delta_2>0</math>이 존재하여 <math>0<\left|x-c\right|<\delta_2</math>이면 <math>\left|f\left(x\right)-L_1\right|<\frac{\varepsilon}{2M}</math>이다. 그리고 적당한 <math>\delta_3>0</math>이 존재하여 <math>0<\left|x-c\right|<\delta_3</math>이면 <math>\left|g\left(x\right)-L_2\right|<\frac{\varepsilon}{2\left|L_1\right|+1}</math>이다. 이제 <math>\delta=\min\left(\delta_1,\delta_2,\delta_3\right)</math>로 정의하자. 그럼 <math>0<\left|x-c\right|<\delta</math>이면, <math>\left|f\left(x\right)g\left(x\right)-L_1L_2\right|=\left|f\left(x\right)g\left(x\right)-L_1g\left(x\right)+L_1g\left(x\right)-L_1L_2\right|\leq\left|f\left(x\right)g\left(x\right)-L_1g\left(x\right)\right|+\left|L_1g\left(x\right)-L_1L_2\right|</math><br/><math>=\left|g\left(x\right)\right|\left|f\left(x\right)-L_1\right|+\left|L_1\right|\left|g\left(x\right)-L_2\right|< M\cdot\frac{\varepsilon}{2M}+\left|L_1\right|\cdot\frac{\varepsilon}{2\left|L_1\right|+1}<\frac{\varepsilon}{2}+\frac{\varepsilon}{2}=\varepsilon</math>이다.
#<math>L_2\neq0</math>이므로, 적당한 <math>\delta_1>0</math>에 대해 <math>0<\left|x-c\right|<\delta_1</math>이면 <math>\left|g\left(x\right)-L_2\right|<\frac{\left|L_2\right|}{2}</math>이다. 이를 삼각부등식을 활용해 잘 전개해 주면, <math>\left|g\left(x\right)\right|>\frac{\left|L_2\right|}{2}</math>를 얻는다. 이제 임의의 <math>\varepsilon>0</math>에 대해 적당한 <math>\delta_2>0</math>이 존재하여 <math>0<\left|x-c\right|<\delta_2</math>이면 <math>\left|g\left(x\right)-L_2\right|<\frac{\left|L_2\right|^2}{2}\varepsilon</math>이다. 이제 <math>\delta=\min\left(\delta_1,\delta_2\right)</math>라 하자. 그럼 <math>0<\left|x-c\right|<\delta</math>이면, <math>\left|\frac{1}{g\left(x\right)}-\frac{1}{L_2}\right|=\frac{1}{\left|L_2g\left(x\right)\right|}\left|g\left(x\right)-L_2\right|\leq\frac{2}{\left|L_2\right|^2}\frac{\left|L_2\right|^2}{2}\varepsilon=\varepsilon</math>이다.
#<math>L_2\neq0</math>이므로, 적당한 <math>\delta_1>0</math>에 대해 <math>0<\left|x-c\right|<\delta_1</math>이면 <math>\left|g\left(x\right)-L_2\right|<\frac{\left|L_2\right|}{2}</math>이다. 이를 삼각부등식을 활용해 잘 전개해 주면, <math>\left|g\left(x\right)\right|>\frac{\left|L_2\right|}{2}</math>를 얻는다. 이제 임의의 <math>\varepsilon>0</math>에 대해 적당한 <math>\delta_2>0</math>이 존재하여 <math>0<\left|x-c\right|<\delta_2</math>이면 <math>\left|g\left(x\right)-L_2\right|<\frac{\left|L_2\right|^2}{2}\varepsilon</math>이다. 이제 <math>\delta=\min\left(\delta_1,\delta_2\right)</math>라 하자. 그럼 <math>0<\left|x-c\right|<\delta</math>이면, <math>\left|\frac{1}{g\left(x\right)}-\frac{1}{L_2}\right|=\frac{1}{\left|L_2g\left(x\right)\right|}\left|g\left(x\right)-L_2\right|\leq\frac{2}{\left|L_2\right|^2}\frac{\left|L_2\right|^2}{2}\varepsilon=\varepsilon</math>이다.
위 세 기본 연산을 사용하면 아래 세 따름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증명은 생략한다.
#<math>\lim_{x\to c}kf\left(x\right)=kL_1,\,k\in\mathbb{R}</math>
#<math>\lim_{x\to c}f\left(x\right)-g\left(x\right)=L_1-L_2</math>
#<math>\lim_{x\to c}\frac{f\left(x\right)}{g\left(x\right)}=\frac{L_1}{L_2},\text{ if }L_2\neq0</math>


=== 크기 비교 ===
=== 크기 비교 ===

2015년 8월 17일 (월) 11:13 판

틀:학술

역사

극한 항목에도 설명이 되어있지만, 극한이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시절 부터 존재해 왔다. 특히, 함수의 극한은 뉴턴이 미적분학을 만들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당시에는 엄밀한 수학적 증명보다는 직관에 의존하였다. 이는 물리학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진 않았을지 몰라도, 수학에서는 상당한 문제가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극한의 수학적인 엄밀한 정의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는 볼자노, 코시, 바이어슈트라우스에 의해 완성되었다.

정의

직관적인 정의

[math]\displaystyle{ x }[/math]에 관한 함수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 }[/math]가 어떤 값 [math]\displaystyle{ c }[/math]에 가까워 지면 함숫값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도 어떤 값 [math]\displaystyle{ L }[/math]에 가까워진다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math]\displaystyle{ L }[/math]수렴한다고 하며,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L }[/math]

로 표기한다. 만약 수렴하지 않으면 발산한다.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직관에 의존하는 정의. 앞서 말했듯이 이 정의는 엄밀하지 않다. 디레클레 함수 같은 경우에는 함숫값이 뭘로 다가가는지 어떻게 아는가?

엄밀한 정의

수열과 비슷하게 [math]\displaystyle{ \varepsilon\text{-}\delta }[/math] 논법을 사용한다.

모든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게하는 [math]\displaystyle{ \delta\gt 0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L }[/math]로 표기한다.

위에서 중요한 것은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인데, [math]\displaystyle{ \left|x-c\right|\lt \delta }[/math]이 아닌 이유는 [math]\displaystyle{ x=c }[/math]에서 함숫값이 존재하지 않아도 극한값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math]\displaystyle{ 0\lt \left|f\left(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는 안된다.

한쪽 극한

함수에 따라서는 [math]\displaystyle{ x }[/math]가 왼쪽에서 다가오냐, 오른쪽에서 다가오냐에 따라 극한값이 다를 수도 있다. [math]\displaystyle{ x/ }[/math]가 왼쪽에서 다가올 때의 극한값을 좌극한, 오른쪽에서 다가올 때의 극한값을 우극한이라 부른며,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c\lt x\lt c+\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delta\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math]\displaystyle{ x=c }[/math]에서의 우극한이 존재하며, 기호로는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L }[/math]로 표기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c-\delta\lt x\lt c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delta\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 }[/math][math]\displaystyle{ x=c }[/math]에서의 좌극한이 존재하며, 기호로는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L }[/math]로 표기한다.

극한값이 존재한다는 명제와 좌극한, 우극한이 존재하며, 그 값이 같다는 명제는 서로 동치이다. 엡실론-델타를 사용하면 각각 한 줄 짜리 증명이므로 생략한다.

무한

극한값이 무한대인 경우는 어떻게 정의할까? 마찬가지로 엡실론-델타를 쓰긴하나 살짝 변형된 형태를 사용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gt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delta\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infty }[/math]로 정의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lt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delta\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infty }[/math]로 정의한다.

한쪽 극한에 대한 경우는 생략한다.

[math]\displaystyle{ x }[/math]가 무한대로 가는 경우의 극한값도 변형된 엡실론-델타 논법을 사용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gt M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M\gt 0 }[/math]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lim_{x\to\infty}f\left(x\right)=L }[/math]로 정의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lt -M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M\gt 0 }[/math]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lim_{x\to -\infty}f\left(x\right)=L }[/math]로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math]\displaystyle{ x }[/math]가 무한대로 갈 때 극한값도 무한대로 가는 경우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gt K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gt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K\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infty}f\left(x\right)=\infty }[/math]로 정의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lt -K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gt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K\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 -\infty}f\left(x\right)=\infty }[/math]로 정의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gt K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lt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K\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infty}f\left(x\right)=-\infty }[/math]로 정의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x\lt -K }[/math]이면 [math]\displaystyle{ f\left(x\right)\lt -M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K\gt 0 }[/math]이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x\to -\infty}f\left(x\right)=-\infty }[/math]로 정의한다.

다변수 함수

다변수 함수에서도 일변수 함수와 비슷하게 엡실론-델타 논법으로 극한을 정의한다.

[math]\displaystyle{ f:A_{A\subset\mathbb{R}^n}\mapsto\mathbb{R}^m }[/math]로 정의하고, [math]\displaystyle{ \mathbf{{x_0}} }[/math]를 정의역 [math]\displaystyle{ A }[/math]의 내부, 혹은 경계의 원소라 하자. 그럼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0\lt \left\|\mathbf{x}-\mathbf{{x_0}}\right\|\lt \delta,\,\forall\mathbf{x}\in 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mathbf{x}\right)-L\right\|\lt \varepsilon }[/math]을 만족하는 [math]\displaystyle{ \delta\gt 0 }[/math]가 존재하면, [math]\displaystyle{ \lim_{\mathbf{x}\to\mathbf{{x_0}}}f\left(\mathbf{x}\right)=L }[/math]로 정의한다.

성질

유일성

"함수의 극한값이 두 개가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박살내주는 성질. 고등학교에서도 증명은 하지 않고 배우겠지만, 함수의 극한값은 유일하다.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L_1,\,\lim_{x\to c}f\left(x\right)=L_2 }[/math]라 하자. [math]\displaystyle{ L_1=L_2 }[/math]임을 증명하면 된다.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1\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_1\right|\lt \frac{\varepsilon}{2} }[/math]이다. 또한,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2\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2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_2\right|\lt \frac{\varepsilon}{2} }[/math]이다. [math]\displaystyle{ x_0\in N^*_{\delta_1}\left(c\right)\cap N^*_{\delta_2}\left(c\right) }[/math][math]\displaystyle{ x_0 }[/math]를 고른다. 그럼, 삼각부등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left|L_1-L_2\right|=\left|L_1-f\left(x_0\right)+f\left(x_0\right)-L_2\right|\leq\left|L_1-f\left(x_0\right)\right|+\left|f\left(x_0\right)-L_2\right|\lt \frac{\varepsilon}{2}+\frac{\varepsilon}{2}=\varepsilon }[/math]

이다. 이는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성립하므로, 이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math]\displaystyle{ L_1=L_2 }[/math]이어야 한다.

기본 연산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L_1,\,\lim_{x\to c}g\left(x\right)=L_2 }[/math]라 하자. 그럼 다음이 성립한다.

  1.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g\left(x\right)=L_1+L_2 }[/math]
  2.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g\left(x\right)=L_1L_2 }[/math]
  3. [math]\displaystyle{ \lim_{x\to c}\frac{1}{g\left(x\right)}=\frac{1}{L_2},\text{ if }L_2\neq0 }[/math]

각각의 증명은 다음과 같다. 수열의 극한과 대체로 비슷하다.

  1.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1\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_1\right|\lt \frac{\varepsilon}{2} }[/math]이다. 또한,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2\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2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L_2\right|\lt \frac{\varepsilon}{2} }[/math]이다. 이제 [math]\displaystyle{ \delta=\min\left(\delta_1,\delta_2\right) }[/math]라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g\left(x\right)-L_1-L_2\right|\leq\left|f\left(x\right)-L_1\right|+\left|g\left(x\right)-L_2\right|\lt \frac{\varepsilon}{2}+\frac{\varepsilon}{2}=\varepsilon }[/math]이다.
  2.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x=c }[/math]에서 수렴하므로,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1\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g }[/math][math]\displaystyle{ N^*_{\delta_1}\left(c\right) }[/math]에서 유계이다. 즉, 적당한 [math]\displaystyle{ M\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right|\lt M,\,\forall x\in N^*_{\delta_1}\left(c\right) }[/math]. 또한,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2\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2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L_1\right|\lt \frac{\varepsilon}{2M} }[/math]이다. 그리고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3\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3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L_2\right|\lt \frac{\varepsilon}{2\left|L_1\right|+1} }[/math]이다. 이제 [math]\displaystyle{ \delta=\min\left(\delta_1,\delta_2,\delta_3\right) }[/math]로 정의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left(x\right)g\left(x\right)-L_1L_2\right|=\left|f\left(x\right)g\left(x\right)-L_1g\left(x\right)+L_1g\left(x\right)-L_1L_2\right|\leq\left|f\left(x\right)g\left(x\right)-L_1g\left(x\right)\right|+\left|L_1g\left(x\right)-L_1L_2\right| }[/math]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right|\left|f\left(x\right)-L_1\right|+\left|L_1\right|\left|g\left(x\right)-L_2\right|\lt M\cdot\frac{\varepsilon}{2M}+\left|L_1\right|\cdot\frac{\varepsilon}{2\left|L_1\right|+1}\lt \frac{\varepsilon}{2}+\frac{\varepsilon}{2}=\varepsilon }[/math]이다.
  3. [math]\displaystyle{ L_2\neq0 }[/math]이므로,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1\gt 0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1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L_2\right|\lt \frac{\left|L_2\right|}{2} }[/math]이다. 이를 삼각부등식을 활용해 잘 전개해 주면,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right|\gt \frac{\left|L_2\right|}{2} }[/math]를 얻는다. 이제 임의의 [math]\displaystyle{ \varepsilon\gt 0 }[/math]에 대해 적당한 [math]\displaystyle{ \delta_2\gt 0 }[/math]이 존재하여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_2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g\left(x\right)-L_2\right|\lt \frac{\left|L_2\right|^2}{2}\varepsilon }[/math]이다. 이제 [math]\displaystyle{ \delta=\min\left(\delta_1,\delta_2\right) }[/math]라 하자. 그럼 [math]\displaystyle{ 0\lt \left|x-c\right|\lt \delta }[/math]이면, [math]\displaystyle{ \left|\frac{1}{g\left(x\right)}-\frac{1}{L_2}\right|=\frac{1}{\left|L_2g\left(x\right)\right|}\left|g\left(x\right)-L_2\right|\leq\frac{2}{\left|L_2\right|^2}\frac{\left|L_2\right|^2}{2}\varepsilon=\varepsilon }[/math]이다.

위 세 기본 연산을 사용하면 아래 세 따름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 증명은 생략한다.

  1. [math]\displaystyle{ \lim_{x\to c}kf\left(x\right)=kL_1,\,k\in\mathbb{R} }[/math]
  2. [math]\displaystyle{ \lim_{x\to c}f\left(x\right)-g\left(x\right)=L_1-L_2 }[/math]
  3. [math]\displaystyle{ \lim_{x\to c}\frac{f\left(x\right)}{g\left(x\right)}=\frac{L_1}{L_2},\text{ if }L_2\neq0 }[/math]

크기 비교

수열과 함수

샌드위치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