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역 (대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왼쪽 승강장|승강장 정보= +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교대역||다른 지역의 교대역}}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도시철도}}
|이름    = 교대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
|역명 = 대구도시철도공사 교대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128|대구|1}}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대구)|남구]] [[중앙대로]] 지하 194
|주소     = [[대구광역시]] [[대구 남구|남구]] [[중앙대로]] 지하 194
|개업일 = {{날짜/출력|1997-11-26}}
|번호    = {{역번호/한국|128|대구|1}}
|폐지일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small>9.1 km</small>
|관할 = [[대구도시철도공사|DTRO]] 1고객센터 [[송현역|송현관리역]]
|관할     = [[대구교통공사]]
|승강장 = 2면 2선
|개업일  = [[1997년]] [[11월 26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small>9.1 km</small>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big>敎大驛 /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ation</big>


== 개요 ==
[[대구광역시]] [[대구 남구|남구]] [[중앙대로]] 지하 194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이름은 [[대구교육대학교]]의 준말이다.
[[대구광역시]] [[남구 (대구)|남구]] [[중앙대로]] 지하 194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이름은 [[대구교육대학교]]병원에서 따왔다.


[[2003년]] [[3월 15일]], [[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 제4차 시민대회에 참가한 유가족 20여명이 대곡역 방향으로 운행할 예정이던 1255호 전동차를 점거한 뒤, 수동으로 출입문을 열어 지하철 운행이 1시간 30분 정도 중단되었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30315101514189 전동차 점거로 지하철 운행 중단(종합)] 연합뉴스</ref>
[[2003년]] [[3월 15일]], [[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 제4차 시민대회에 참가한 유가족 20여명이 대곡역 방향으로 운행할 예정이던 1255호 전동차를 점거한 뒤, 수동으로 출입문을 열어 지하철 운행이 1시간 30분 정도 중단되었다.<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30315101514189 전동차 점거로 지하철 운행 중단(종합)] 연합뉴스</ref>
== 역사 ==
== 역사 ==
* [[1997년]]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1997년 11월 26일: 1호선 [[진천역|진천]]~[[중앙로역 (대구)|중앙로]]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2003년]] [[2월 19일]] : [[대구 지하철 참사]]로 임시로 시종착역 수행<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30219093101806</ref>
* [[2003년]] [[2월 19일]]: [[대구 지하철 참사]]로 10월 20일까지 임시로 시종착역 수행<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30219093101806</ref>
* [[2003년]] [[10월 21일]] : 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시킴으로서 중간역으로 재전환<ref>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31023090836617</ref>
 
== 역 구조 ==
== 시설 ==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대합실을 통해 횡단 가능하다. 유치선이 있어 운전 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 종착역으로 쓰인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대합실을 통해 횡단 가능하다. 유치선이 있어 운전 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 종착역으로 쓰인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성당못역|성당못]] ·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1호선''' [[성당못역|성당못]] ·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영대병원역|영대병원]]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영대병원역|영대병원]]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명덕]]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명덕]] →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1호선''' [[명덕역|명덕]] · [[반월당역|반월당]] · [[동대구역|동대구역]] · [[안심역|안심]]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1호선''' [[명덕역|명덕]] · [[반월당역|반월당]] · [[동대구역|동대구역]] · [[안심역|안심]] 방면
}}
}}
}}
}}
</div>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 대구 도시철도==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글자색=white|계통=대구 도시철도 1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글자색=white|계통=[[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전역={{역번호/한국|127|대구|1}} [[영대병원역|영대병원]]|전거리=0.9 km
{{경유 계통|전방면=[[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전역={{역번호/한국|127|대구|1}} [[영대병원역|영대병원]]|전거리=0.9 km
|당역={{역번호/한국|128|대구|1}} '''교대'''
|당역={{역번호/한국|128|대구|1}} '''교대'''
55번째 줄: 55번째 줄:


[[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
[[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
[[분류:대구 남구의 철도역]]
[[분류:대구광역시에 있는 철도시설]]

2024년 1월 19일 (금) 12:09 기준 최신판

교대
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지하 194
번호  128 
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9.1 km
관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1997년 11월 26일
승강장 2면 2선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지하 194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이름은 대구교육대학교의 준말이다.

2003년 3월 15일, 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 추모 제4차 시민대회에 참가한 유가족 20여명이 대곡역 방향으로 운행할 예정이던 1255호 전동차를 점거한 뒤, 수동으로 출입문을 열어 지하철 운행이 1시간 30분 정도 중단되었다.[1]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대합실을 통해 횡단 가능하다. 유치선이 있어 운전 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중간 종착역으로 쓰인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설화명곡 방면
 127  영대병원
 128  교대 안심 방면
 129  명덕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