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이름    = 이태원
|글자색 = white
|원어이름 =
|상단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역명 = 서울교통공사 이태원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630|수도권|6}}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지하177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지하177
|개업일 = {{날짜/출력|2001-3-9}}
|번호    = {{역번호/한국|630|수도권|6}}
|폐지일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small>20.5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관할     = [[서울교통공사]]
|승강장 = 1면 2선
|개업일  = [[2001년]] [[3월 9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small>20.5 km</small>
|승강장   = 1면 2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1|이태원역}}<br />梨泰院驛 / Itaewon Station


== 개요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지하 177(舊 [[이태원동]] 127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지하 177(舊 [[이태원동]] 127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공사 도중 시공사 부도로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3월 9일까지 무정차 통과를 했다.
== 역사 ==
* 1992년 11월 6일: 역명을 '''이태원'''으로 결정<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211070023912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2-11-07&officeId=00023&pageNo=21&printNo=22162&publishType=00010 지하철(6-7호선)驛名(역명) 확정], 조선일보</ref>
* [[2000년]] [[12월 15일]]: 6호선 [[응암역|응암]]~[[상월곡역|상월곡]] 구간 개통, 하지만 시공사 부도로 무정차 통과
* 2001년 3월 9일: 개업


== 역 구조 ==
== 시설 ==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div>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녹사평]]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녹사평]] 방면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6호선''' [[삼각지역|삼각지]] · [[합정역|합정]] · [[응암역|응암]]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왼쪽 승강장=상행 승강장|승강장 정보='''6호선''' [[삼각지역|<span style="color: white;">삼각지</span>]] · [[합정역|<span style="color: white;">합정</span>]] · [[응암역|<span style="color: white;">응암</span>]]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오른쪽 승강장=하행 승강장|승강장 정보='''6호선'''  [[동묘앞역|<span style="color: white;">동묘앞</span>]] · [[석계역|<span style="color: white;">석계</span>]] · [[봉화산역|<span style="color: white;">봉화산</span>]] 방면 | '''하행 승강장'''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6호선'''  [[동묘앞역|동묘앞]] · [[석계역|석계]] · [[신내역|신내]] 방면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한강진]]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6호선]] [[한강진역|한강진]] →
|}
}}
</div>
}}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42번째 줄: 46번째 줄: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6호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글자색=white|계통=[[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응암역|응암]] 순환|전역={{역번호/한국|629|수도권|6}} [[녹사평역|녹사평]]|전거리=0.8 km
{{경유 계통|전방면=[[응암역|응암]] 순환|전역={{역번호/한국|629|수도권|6}} [[녹사평역|녹사평]]|전거리=0.8 km
|당역={{역번호/한국|630|수도권|6}} '''이태원'''
|당역={{역번호/한국|630|수도권|6}} '''이태원'''
51번째 줄: 54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서울 지하철 6호선]]
[[분류:서울 도시철도 6호선]]
[[분류:서울 용산구의 철도역]]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7.534506543762575|126.99389793284877|13|이태원역}}

2024년 1월 18일 (목) 23:40 기준 최신판

이태원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지하177
번호  630 
노선 서울 지하철 6호선 20.5 km
관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001년 3월 9일
승강장 1면 2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지하 177(舊 이태원동 127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92년 11월 6일: 역명을 이태원으로 결정[1]
  • 2000년 12월 15일: 6호선 응암~상월곡 구간 개통, 하지만 시공사 부도로 무정차 통과
  • 2001년 3월 9일: 개업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 일대가 이태원이고, 한국폴리텍1대학 정수캠퍼스, 서울중앙성원, 여러 국가의 대사관들이 있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6호선
응암 순환
 629  녹사평
 630  이태원 신내 방면
 631  한강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