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시리아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부산경남본부 부전관리역))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부산광역시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오시리아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역명    = 오시리아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K122|부산|동해}}
|그림설명 =  
|역코드  =
|그림alt  =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
|주소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
|개업일  = {{날짜/출력|2016-12-30}}
|번호    = {{역번호/한국|K122|부산|동해}}
|폐지일  =
|노선    = [[동해선]] <small>23.9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부산경남본부 [[부전역|부전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 [[2016년]] [[12월 30일]]
|폐지일  =
|코드    =
|승강장  = 2면 2선
|승강장  = 2면 2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동해선]] <small>23.9 km</small>
|참고     =  
|1구간범위 {{역번호/한국|K118|부산|동해}} [[센텀역|센텀]] ◁ '''오시리아''' ▷ {{역번호/한국|K124|부산|동해}} [[일광역|일광]]
|비고    =  
|하위 틀 =
}}
}}
{{+1|오시리아驛 / OSIRIA Station}}<ref>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 고시에는, 글자가 한글로만 적혀 있다.</ref>


== 개요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에 있는 [[동해선]]의 [[철도역]]이다. 이름은 천혜 절경을 간직한 오랑대(五郞臺)의 '오', 용녀(龍女)와 미랑 스님의 사랑 이야기를 간직한 장소인 시랑대(侍郞臺)의 '시',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이아'(~ia)를 합성한 명칭으로 중의적 의미로 "부산으로 오시라"라는 이니셜을 갖고 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에 있는 [[동해선]]의 [[전철역]]이다. 이름은 천혜 절경을 간직한 오랑대(五郞臺)의 '오', 용녀(龍女)와 미랑 스님의 사랑 이야기를 간직한 장소인 시랑대(侍郞臺)의 '시',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이아'(~ia)를 합성한 명칭으로 중의적 의미로 "부산으로 오시라"라는 이니셜을 갖고 있다.


원래 가칭은 '''내리역'''이었다.
원래 가칭은 '''내리역'''이었다.


== 역 구조 ==
== 시설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
  |오른쪽 승강장=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동해선''' [[기장역|기장]]  ·  [[일광역|일광]] 방면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동해선''' [[기장역|기장]]  ·  [[일광역|일광]]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동해선]] [[기장역|기장]]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동해선]] [[기장역|기장]] →
34번째 줄: 36번째 줄: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
  |왼쪽 승강장=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동해선''' [[송정역 (부산)|송정]]  ·  [[벡스코역|벡스코]]  ·  [[부전역|부전]] 방면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동해선''' [[송정역 (부산)|송정]]  ·  [[벡스코역|벡스코]]  ·  [[부전역|부전]] 방면
}}
}}
}}
}}
40번째 줄: 42번째 줄: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역 주변으로 동부산 관광단지가 조성중이다.
역 주변으로 동부산 관광단지가 조성중이다.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
* [[롯데프리미엄아울렛]] 동부산점
** [[롯데시네마]] 동부산아울렛점
** [[롯데시네마]] 동부산아울렛점
53번째 줄: 54번째 줄: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동해선|노선거리=23.9 km
|노선명=311 [[동해선]]|노선거리=23.9 km
|전방면=[[부산진역 (한국철도공사)|부산진]] 방면|전역=[[송정역 (부산)|송정]]|전거리=1.1 km
|전방면=[[부산진역|부산진]] 방면|전역=[[송정역 (부산)|송정]]|전거리=1.1 km
|당역='''오시리아'''
|당역='''오시리아'''
|후방면=[[효자역 (포항)|효자]] 방면|후역=[[기장역|기장]]|후거리=5.7 km}}
|후방면=[[영덕역|영덕]] 방면|후역=[[기장역|기장]]|후거리=5.7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광역전철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글자색=white|계통=동해선 광역전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글자색=white|계통=[[동해선]]}}
{{경유 계통|전방면=[[부전역|부전]]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21|부산|동해}} [[송정역 (부산)|송정]]|전거리=1.1 km
{{경유 계통|전방면=[[부전역|부전]] 방면|전역={{역번호/한국|K121|부산|동해}} [[송정역 (부산)|송정]]|전거리=1.1 km
|당역={{역번호/한국|K122|부산|동해}} '''오시리아'''
|당역={{역번호/한국|K122|부산|동해}} '''오시리아'''
|후방면=[[일광역|일광]]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23|부산|동해}} [[기장역|기장]]|후거리=5.7 km}}
|후방면=[[태화강역|태화강]] 방면|후역={{역번호/한국|K123|부산|동해}} [[기장역|기장]]|후거리=5.7 km}}
{{경유 계통/닫기}}
{{경유 계통/닫기}}


72번째 줄: 73번째 줄:


[[분류:동해선]]
[[분류:동해선]]
[[분류:동해선 광역전철]]
[[분류:부산광역시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부산 기장군의 철도역]]
 
[[분류:부전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5.19627792640511|129.20836508274078|14|오시리아역}}

2023년 9월 20일 (수) 15:00 기준 최신판

오시리아
주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
번호  K122 
노선 동해선 23.9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개업일 2016년 12월 30일
승강장 2면 2선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당사리에 있는 동해선철도역이다. 이름은 천혜 절경을 간직한 오랑대(五郞臺)의 '오', 용녀(龍女)와 미랑 스님의 사랑 이야기를 간직한 장소인 시랑대(侍郞臺)의 '시', 장소를 나타내는 접미사 '이아'(~ia)를 합성한 명칭으로 중의적 의미로 "부산으로 오시라"라는 이니셜을 갖고 있다.

원래 가칭은 내리역이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 주변으로 동부산 관광단지가 조성중이다.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부산진 방면
송정 1.1 km
오시리아 영덕 방면
기장 5.7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동해선
부전 방면
 K121  송정
 K122  오시리아 태화강 방면
 K123  기장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