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 (화학): 두 판 사이의 차이

(에서 분리)
 
잔글 (llang|en -> 영어 변환)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막글}}
'''산'''(酸, {{영어|acid|애시드}})은 [[화학]]에서 [[염기]]에 반대되는 물질을 말한다.
'''산'''(酸)은 [[화학]]에서 [[염기]]에 반대되는 물질을 말한다. [[영어]]로는 '''애시드'''(acid).


== 아레니우스의 정의 ==
== 정의 ==
물에 녹였을 때, H<sup>+</sup>를 내놓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염기는 물에 녹여 OH<sup>-</sup>를 내놓는 물질로 정의된다.
=== 아레니우스의 정의 ===
[[스웨덴]]의 화학자 [[스반테 아우구스트 아레니우스]]는 산을 [[물]]에 녹였을 때, H<sup>+</sup>([[수소]] 양이온, [[양성자]])를 내놓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염기는 물에 녹여 OH<sup>-</sup>를 내놓는 물질로 정의했다.


==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정의 ==
===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정의 ===
다른 물질에 양성자를 주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양성자를 받는 물질, 즉 염기와 반응할 때에만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이다. 그래서 산일 때도 있고 염기일 때도 있는 물질도 존재하는데, 이것을 양쪽성 물질이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물]](H<sub>2</sub>O)이 양쪽성 물질이다.
다른 물질에 양성자를 주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양성자를 받는 물질, 즉 염기와 반응할 때에만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이다. 그래서 산일 때도 있고 염기일 때도 있는 물질도 존재하는데, 이것을 양쪽성 물질이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물]](H<sub>2</sub>O)이 양쪽성 물질이다. [[덴마크]]의 화학자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와 [[영국]]의 화학자 [[토마스 마틴 로우리]]가 각자 독립적으로 발표했다.


== 루이스의 정의 ==
=== 루이스의 정의 ===
비공유전자쌍을 받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반대로 비공유전자쌍을 주는 물질은 염기라고 한다.
[[미국]]의 물리화학자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산을 비공유전자쌍을 받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반대로 비공유전자쌍을 주는 물질은 염기라고 정의했다.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산|323561}}
[[분류:산 (화학)| ]]
[[분류:화학]]

2022년 3월 6일 (일) 00:44 기준 최신판

(酸, 영어: acid 애시드)은 화학에서 염기에 반대되는 물질을 말한다.

정의[편집 | 원본 편집]

아레니우스의 정의[편집 | 원본 편집]

스웨덴의 화학자 스반테 아우구스트 아레니우스는 산을 에 녹였을 때, H+(수소 양이온, 양성자)를 내놓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염기는 물에 녹여 OH-를 내놓는 물질로 정의했다.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정의[편집 | 원본 편집]

다른 물질에 양성자를 주는 물질을 산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양성자를 받는 물질, 즉 염기와 반응할 때에만 정의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이다. 그래서 산일 때도 있고 염기일 때도 있는 물질도 존재하는데, 이것을 양쪽성 물질이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H2O)이 양쪽성 물질이다. 덴마크의 화학자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와 영국의 화학자 토마스 마틴 로우리가 각자 독립적으로 발표했다.

루이스의 정의[편집 | 원본 편집]

미국의 물리화학자 길버트 뉴턴 루이스는 산을 비공유전자쌍을 받는 물질로 정의하였다. 반대로 비공유전자쌍을 주는 물질은 염기라고 정의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