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M | |
---|---|
![]() |
|
소프트웨어 정보 | |
개발 | SK텔레콤 (박정호) |
종류 | 콘텐츠 통제 소프트웨어 |
출시 | 2019년 |
언어 | 한국어 |
운영체제 | 안드로이드 |
웹사이트 | ZEM 웹사이트 |
ZEM(잼, 젬)은 SK텔레콤에서 개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자녀 안심 보호 애플리케이션이다.[1] 2019년 10월에 쿠키즈에서 ZEM으로 애플리케이션명이 변경되었다.[2]
앱 설명[편집 | 원본 편집]
ZEM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이 필요하며, 부모용과 자녀용으로 나뉘어 있다. 부모용은 만 20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통신사와 관계 없이 설치 가능하며, 자녀용 ZEM 애플리케이션은 만 19세 이하의 청소년 중 SK텔레콤 가입자에 한해서만 설치가 가능하다.[3] 또한 만 19세가 지나면, 자녀용 ZEM은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 20세가 되는 해에 서비스가 종료된다. 또한 애플의 아이폰에서는 기술적 시스템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다.
비판[편집 | 원본 편집]
ZEM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대부분의 자녀 통제용 소프트웨어는 청소년 및 어린이의 자기결정권을 침해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인 자유권을 침해한다는 비판도 있다.[4]
ZEM 앱 내부에 위키백과를 접속하는 기능이 추가되면서 한국어 위키백과로 어린이 사용자들이 많이 유입되었다. 위키백과에 적응한 사용자도 있으나 위키백과와 관련된 문답 목적의 질문방에 ZEM 없애는법을 알려달라거나 위키백과와 관련 없는 질문을 올리는 등 위키백과의 규정과 사용 양식을 익히지 못한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다중 계정의 악용 등으로 차단되는 경우도 있었다.
여담[편집 | 원본 편집]
스마트폰을 통제한다는 것 덕분에 평점은 1.8을 기록했다.[5][6]
버그 및 문제점[편집 | 원본 편집]
- 아무것도 안 눌렀는데 삼성페이가 열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자유 모드인 경우 열리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집중모드일 경우 종종 열린다. [7]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편집 | 원본 편집]
각주
- ↑ SK텔레콤 상품서비스 ZEM (ko). 2020년 5월 24일에 확인.
- ↑ “SK텔레콤, 유무선 키즈 브랜드 ‘잼(ZEM)’ 출시”, 2019년 9월 30일 작성. 2019년 12월 15일 확인.
- ↑ 구글 플레이 스토어
- ↑ 채윤정 (2019년 3월 22일). 스마트폰 통제 앱, 청소년 인권 침해인가 (ko). 여성신문. 2020년 11월 21일에 확인.
- ↑ 잼(ZEM)-자녀용, SKT 전용(초등학생, 자녀안심, 교육, 학습), Google Play, (2020년 12월 04일). 2020년 12월 04일에 보존된 문서. 2020년 12월 04일에 확인.
- ↑ 대부분 학생들이 별점 테러를 한것이다.
- ↑ 집중모드일 때 이 버그가 발생하면 보던 앱이 닫혀서 불편함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