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궁견환전

후궁견환전》(后宫甄嬛传)은 중국의 류렴자(流潋紫)[1]가 지은 인터넷 소설이다.

이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정효룡 감독에 의하여 제작된 동명의 드라마[2][3]도 존재한다. 이 드라마의 후속작으로는 후궁여의전(后宫如懿传)[4]이 있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장르는 로맨스이며, 가상 역사 소설이다.
  • 작중 배경은 가상의 나라인 나라(大朝)[5]이다.
  • 작품 시작 시점의 시간대는 건원(乾元) 12년 이다.
  • 1인칭 주인공 시점[6]으로 전개된다.[7]
  • 작품에 등장하는 비빈들의 품계는 《황후→(황귀비)→정1품 귀비, 숙비, 현비, 덕비→종1품 부인→정2품 비→종2품 소의, 소원, 소용, 숙의, 숙원, 숙용, 수의, 수원, 수용→정3품 귀빈→종3품 첩여→정4품 용화→종4품 완의, 방의, 분의, 덕의, 순의→정5품 빈→종5품 소의, 소원, 양원, 양제→정6품 귀인→종6품 재인, 미인→정7품 상재, 낭자→종7품 선시→정8품 채녀→종8품 경의》 순서이다.
  • 중국의 고전소설인 홍루몽(紅樓夢)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중국의 팬들 사이에서는 1938년에 출간되었고, 영국의 소설가 뒤 모리에가 집필한 레베카[8]와의 유사점도 자주 지적된다.

등장인물[편집 | 원본 편집]

  • 견환
    甄嬛
    [9]
완(莞)귀인→완빈→견완의→견첩여→완귀빈→견소의→폐비→완비→완숙비→황귀비[10]→명의(明懿)황태후
작품의 주인공이자 히로인(여주인공)이다.
초명은 견옥환(甄玉嬛)이다. 옥(玉)자는 원래 견(甄)씨 가문 여자들의 돌림자인데, 견환이 7살 때 스스로 세속적이고 평범한 여자애들이 써서 싫다고 자신의 이름에서 옥자를 빼버렸다. 그리고 환(嬛)자는 채신(蔡伸)[11]이 지은 일전매(一剪梅)라는 시문 중에서 나긋하기가 초나라 궁녀의 허리로다[12]라는 구절에서 따온 글자이다.
견부(甄府)에서 태어났으며, 생일은 음력 4월 17일 이다.
황제인 현릉의 후궁이므로 남편은 현릉이지만,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이자 애인으로 현청을 두었다.
가족으로는 친아버지 견원도, 친어머니 운신라(云辛萝)와 친오빠인 견형과 견옥요라는 이름의 두 친여동생들[13]이 있다. 그리고 완벽이라는 이복 여동생도 있다.
자녀로는 여함(予涵), 롱월(胧月), 령서(灵犀), 설백(雪魄)이 있다.
물욕이 없고[14] 활달한 성격이다. 한편으론 계산적이고 자부심이 매우 강하며 거만하지만 겉으론 드러내지 않는다.
고인인 주유칙과 외모가 매우 닮았다. 덕분에 후궁으로 간택될 수 있었고 이후 현릉에게 (유칙의 대용품으로서) 가장 사랑받는 여자가 된다. 이 사실을 알고 현릉에 대한 마음을 접고 절로 들어가나 현릉이 결국 견환을 사랑하게 되어 다시 불러들인다.
특기는 경홍무(惊鸿舞), 퉁소, 쟁, 금, 서예, 자수 등이 있다.
후궁으로 간택된 후, 그 전까지 가장 총애받던 세란보다도 더한 사랑을 받자 주위의 주목과 공격을 받고 점점 독하게 변해간다.
좋아하는 꽃이자 상징화는 해당화.
  • 심미장
    沈眉庄
    [15]
심소의→혜(惠)빈→심용화→심선시→심용화→심첩여→혜귀빈→심숙용→혜비→덕비→혜의(惠儀)귀비→소혜의안(昭惠懿安)태후
황허강 중하류 지역인 제주(济州)부에서 태어났고, 건원(乾元) 22년 4월에 사망했다.[16]
아버지는 제주의 군사령관(도독)인 심자산(沈自山)이다.
자녀로는 현릉의 4번째 아들인 여윤(予润)[17]이 있다.
황제인 현릉의 후궁이므로 남편은 현릉이지만, 친한 친구인 견환처럼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이자 애인을 두었는데, 바로 온실초다.
예의바르고, 차분하고, 품위있고, 우아한 성격이다.
권세있는 좋은 집안의 딸이며, 사서 등의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한다.
숙적으로는 안릉용[18], 모용세란, 주의수 등이 있다.
상징하는 꽃은 국화이다.[19]
안선시→안미인[22]→안소원[23]→안빈→안분의→안용화→안귀빈→안소원→리(鸝)비→리음(鸝音)귀빈
송양(松阳)에서 선제 치세 말년 때 태어났고, 건원(乾元) 23년 10월 1일에 26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유언은 “황후(주의수)가 황후(주유칙)를 죽였어요”[24]이다.
아버지는 안비괴(安比槐)[25]이고, 어머니는 임씨(林秀)이다.
황제인 현릉의 후궁[26]이므로 남편은 현릉이지만, 현릉을 사랑하지 않는다. 릉용이 사랑하는 사람은 견형이다.
후궁간택에서 하씨와 시비가 붙어 곤경에 처했을 때 견환이 도와주었고, 그 일을 계기로 견환과 견환의 친구인 미장과 친해진다. 그러나 릉용은 황후 의수의 수족으로 행동하면서 견환, 미장과 대립하게 된다.
유순하고, 온화하고, 부드러우나 지나치게 신중하고, 소심한 성격이다.
매우 다재다능하다. 자수, 노래[27][28], 향료 제작 실력은 궁에서 제일로 뛰어나며, 춤[29]도 특기이다. 그 중에서도 금루의(金缕衣)와 경홍무(惊鸿舞)가 뛰어나다. 원작엔 나오지 않으나 드라마에서 나온 것으로 특기라고 부를 정도는 아니지만 월금[30]도 연주할 줄 안다. 하지만 자수는 여자의 일이니 칭찬 받을 수 있어도 총애받는데 쓸모가 없고, 노래로는 총애를 받을 수 있으나 다른 비빈들의 비난을 받고, 향료 제조는 여자에게 권장받는 일이 아니라 떳떳하게 칭찬받을 재주는 아니고, 경홍무는 건강을 대가로 얻은 재주이나 순원황후를 따라한 것이라 재주가 많아도 본인은 자랑스러워 하지 않는다.
집안이 미천하고 형편도 좋지 않은[31] 탓에 다른 후궁들이 자주 업신여긴다.
숙적으로는 견환, 심미장, 모용세란, 관문원 등이 있다.
상징하는 꽃은 협죽도이다.
북풍아, 매화의 마음을 안다면 더는 흔들지 말아다오...
황후→순원황후(纯元皇后)
후궁견환전의 시작 시점에서는 이미 수 년 전에 죽은 고인이다.[34] 그렇기 때문에 작중에서는 단 한번도 직접적으로 등장하지는 않고, 등장인물들의 대화를 통해서만 언급된다. 하지만 주인공 견환을 비롯한 이 작품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후궁들의 삶에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15살에 13살의[35] 황제인 현릉과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고, 그로부터 5년 후인 건원 7년 6월에 20살의 젊은 나이로 사망하였다. 사후 순원황후(纯元皇后)[36]라는 시호를 받았다.
주의수의 이복 언니이며[37], 첩의 딸이여서 서출인 의수와는 달리 정실부인인 도부인(陶夫人)의 소생이라서 적출이다.
현릉의 어머니인 태후 주성벽의 조카이며, 유칙과 의수에게 성벽은 고모이자 시어머니가 된다.
황제인 현릉의 첫사랑이며[38], 현릉이 평생에 걸쳐서 집착한 대상이기도 하다. 유칙도 살아생전에 남편인 현릉을 사랑했었기 때문에 이 둘의 금슬은 매우 좋았었다.
용모가 매우 아리따웠다고 하며, 그 아름다움은 마치 속세의 음식을 먹지 않는 천상의 선녀와 같았다고 비유된다. 또한 성품도 완벽해서 순수하면서도 선량하며, 부드럽고 상냥하고 온순한 성격이여서 흠잡을 데가 없었다고 한다. 다만 너무 순해서 후궁들의 다툼을 조정하고 황후로써 다스리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받았다. 후궁들에게는 은혜를 배풀었으며, 노비들을 대할 때는 관대하고 너그러웠다고 한다.
춤 솜씨가 매우 뛰어났다고 하며, 그 중에서도 당 현종의 후궁인 매비(梅妃)[39]가 만든 경홍무(惊鸿舞)라는 춤을 약간 바꿔서 더욱 아름답게 바꾸었고 가장 잘 췄다고 한다. 그리고 노래 솜씨도 매우 뛰어났다고 하며, 궁에서 가장 노래를 잘 부른다는 안릉용조차도 그녀보다 노래를 잘 부르지는 못하며, 릉용의 노래 솜씨는 겨우 유칙의 노래 솜씨의 6, 7할 정도밖에 안 된다고 한다. 또 비파 연주 솜씨도 매우 뛰어났다고 하며, 제월빈의 비파 연주 솜씨가 매우 훌륭한데, 월빈은 유칙에게 비파 연주 솜씨를 전수받았다고 한다. 거기에다가 학식도 높아서 자주 시를 써서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었다. 그리고 퉁소도 연주할 줄 알았다고 한다.
상징하는 꽃은 매화이다.
  • 주의수
    朱宜修
한비(娴妃)→한귀비→황후→온유황후(溫裕皇后)
의수는 남편인 현릉을 깊이 사랑하지만 언니인 유칙과는 다르게 현릉에게 사랑받지 못한다.
주유칙의 이복 여동생이며 적출인 유칙과는 달리 세 번째 첩의 소생이여서 서출이다.
다소곳하고, 차분하고, 침착하고, 점잖고, 조용하며, 경망스럽지 않고, 신중하고, 사려깊고 참을성있는 성격이다. 주성벽은 그녀의 이러한 성격을 유약하고, 여리고, 무른 유칙보다 마음에 들어해서[40] 자신의 아들인 현릉의 후궁으로 들였다. 성벽이 의수를 황후가 아닌 후궁으로 입궁시킨 이유는 의수가 서출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중에 의수가 아들을 낳으면 황후로 책봉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이 약속은 지켜지지 못했는데, 의수가 입궁 1년 후 아들을 낳자 의수를 돌본다는 명목으로 궁에 들어온 언니 유칙에게 현릉이 첫눈에 반했기 때문이다. 결국 유칙이 황후가 되고 의수의 아들[41]은 3살 때 요절한다.
남을 몰래 모해하는 것에 능숙하다. 술수를 부리는 것에도 능해서 다른 사람[42]을 자신의 장기말로 이용하기도 잘하며 이에 전혀 죄책감이 없다.
의술에 정통하며 서예와 회화도 잘한다.
외모는 부드럽고 단정하다.
주인공인 견환이 현릉의 후궁으로 입궁한 후 황후인 의수와 대립하고[43] 둘은 작품 내내 지독하게 싸운다. 결국에는 견환이 승리하고 의수는 몰락한다. 그 이후 의수는 건원(乾元) 32년에 사망한다.
탕정언의 친아들이자 현릉의 살아남은 아들들 중 가장 나이가 많은 제왕(齐王) 여리를 양자로 두었다.
그녀의 충복으로는 회춘(绘春), 수하(绣夏), 전추(剪秋), 염동(柒冬), 강복해(江福海)가 있다.
상징하는 꽃은 모란이다. 모란은 화중왕이라 예로부터 황후를 상징하는 꽃으로 온화하고 점잖으며 귀한 티가 나는 꽃이라서 만백성의 어머니나 다름없는 황후에게 어울린다. 그리고 유칙을 상징하는 꽃인 수선화가 빙기옥골[44]에 비유되는 것이 의수를 상징하는 꽃인 모란이 천향국색[45]에 비유되는 것과 비교된다.
후궁여의전의 주인공이자 조카인 오라나랍 여의와 같이 청나라 건륭제의 계황후 오라나랍씨가 모티브이다.
  • 제월빈
    齐月宾
조금묵이 죽은 후 온의공주를 양육한다.
  • 탕정언
    汤静言
  • 풍약소
    冯若昭
  • 서연의
    徐燕宜
  • 여영풍
    吕盈风
  • 조금묵
    曹琴默
    [46]
매우 총명하고 교활하다.
온의(温宜)공주의 어머니이다.
모용세란의 수족이다. 머리가 좋지 않은 세란을 대신해서 계략을 꾸미는 참모 역할이다.
세란이 총애를 잃었을 때, 다시 현릉에게 사랑받기 위해서 온의공주를 도구로 이용하자 이에 분노한다.
건원(乾元) 15년 12월에 견환이 온실초를 이용해서 독살하였다.
  • 방순의
    方淳意
  • 두패균
    杜佩筠
  • 모용세란
    慕容世兰
화(华)빈→모용용화→화귀빈→화비→석화(晳華)부인→모용비→화비→순(順)선시->순성(順成)귀빈
황제 현릉의 총애받는 후궁[47]이며 17살 때 입궁했다. 견환이 입궁했을 당시의 나이는 20~21살이다.
건원(乾元) 15년 12월 28일에 23~24의 나이로 사망했다.
가족으로는 아버지 모용형(慕容迥), 어머니 황씨(黄氏)와 남자 형제인 모용세송(慕容世松), 모용세백(慕容世柏), 여동생 모용세작이 있다.
거만하고, 교만한 성격이며, 항상 변함없이 제멋대로에, 독하고, 잔인하고, 방종하고, 방탕하다. 그리고 머리가 좋은 편이 아니라서 스스로 계략을 세우질 못한다. 담력이 세며,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분명하다. 독자들의 평가는 미우면서도 한편으로는 가련한 여자라고 한다.
부드럽고 하얀 살결에 눈가가 붉은 느낌이고, 눈초리가 살짝 위로 올라가 있어서 날아오르는 봉황같은 느낌의 외모이다. 전체적으로 세보이는 느낌이며, 말로 다 표현하기 힘들 정도로 아름답고, 사람들의 눈길을 끄는 편이라고 한다. 그리고 몸매는 매우 가냘프고 농염한 느낌이 든다. 손가락도 가늘고 예쁘다. 후궁들 중에서 가장 의복과 장신구가 화려하고 매우 사치스럽다.
좋아하는 꽃이자 상징화는 작약.
  • 여귀빈
    丽贵嫔
    [48]
  • 주패
    周佩
  • 유령한
    刘令娴
  • 부여음
    傅如吟
  • 엽란의
    叶澜依
  • 모용세작
    慕容世芍
  • 사이운
    史移芸
  • 위균
    卫筠
  • 호온용
    胡蕴蓉
현릉의 총애받는 후궁이자 6촌 여동생이다. 그리고 외할머니는 무양대장공주(舞阳大长公主)[49]이며, 어머니는 진강(晋康)옹주이다. 즉, 매우 고귀한 출신이다.
상징하는 꽃은 부용.
  • 관문원
    管文鸳
  • 현릉
    玄凌
의수, 당신은 너무 상심하지 마시오. 하늘이 당신의 아이가 없어졌는지 아시고 완완이 아이를 가지게 해주셨으니 그녀의 아이는 당신의 아이일 것이오.
주나라의 황제로 묘호는 헌종(宪宗)이고, 시호는 성신장무효황제(圣神章武孝皇帝)이며, 연호는 건원(乾元)이다. 후대에는 외척의 횡포가 심했던 때로 기억된다.
아버지 융경제가 가장 사랑했던 아들은 현청이였기에 현릉이 황제가 될 가능성은 미미했었으나, 어머니 주성벽이 자신의 가문의 영욕을 위해서 세력을 모아서 자신의 아들인 현릉을 황제로 만들었다.
황후인 의수가 자신의 언니인 순원을 독살한 것처럼 현릉도 자신의 남동생인 현청을 독살했다.
생일은 음력 3월 9일이고, 기일은 음력 7월 11일이다.
전대 주나라 황제인 융경제(隆庆帝)의 네 번째 아들이고, 주성벽의 유일한 아들이다. 이복 형제로는 현순(玄洵), 현제(玄济), 현분(玄汾), 현청이 있다.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은 자녀로는 여리(予漓), 여패(予沛), 숙화(淑和), 온의(温仪), 롱월(胧月), 화목(和睦)이 있다.
키가 크고, 눈빛이 깊고 날카로우며, 용모가 매우 깨끗하고 출중하다. 체온이 낮은 편이나 손만은 따스하다고 한다. 목소리는 마치 깊고 푸른 바다같다고.
예민하고 냉담한 성격이다. 아주 적은 수의 사람들에게만 진심으로 대하며, 그나마 진심으로 대하는 사람들도 완전히 신뢰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터놓지는 못한다. 자존심 또한 강하다.
시, 서예, 그림에 조예가 깊다. 가끔씩 현청과 바둑도 둔다.
유칙이 죽은지 수 년이 지난 후에도 유칙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릉은 자신의 후궁들을 진심으로 사랑하지 않으며 유칙과 닮은 후궁들만을 유칙의 대용품으로서 총애한다. 유칙과 닮은 구석이 없는데도 총애하는 후궁들은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잘 대해주는 것이거나 마치 애완동물을 귀여워하듯이 아낄 뿐이다. 그리고 유칙 사후 황후가 된 의수 역시 사랑하지 않는다.
온순하고 부드러운 성격에 다재다능한 여자를 좋아한다. 그리고 자신의 후궁들에게 관대한 편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후궁들을 한 명의 사람이자 인격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자신의 장기말이나 장난감 정도로 취급한다. 당연히 자신의 황후인 의수처럼 이러한 대우를 하는 것에 아무런 죄책감이 없으며, 웃는 낯짝으로 이런 비참한 취급을 아무렇지도 않게 행한다.
사치스럽고 화려하고 정교한 물건을 좋아한다.
심복으로는 이장(李长)을 두었다. 그러나 후에 이장은 현릉이 아닌 견환에게 충성하게 된다.
  • 현청
    玄清
청하왕(清河王)
기일은 건원(乾元) 27년 5월 17일이다.
전대 주나라 황제인 융경제(隆庆帝)의 여섯 번째 아들이다. 융경제가 자신의 아들들 중에서 가장 사랑했었다.
첩실로 완벽과 우정한을 두었으나 현청이 사랑하는 연인은 견환이다.
  • 최근석
    崔槿汐
  • 유주
    流朱
  • 완벽
    浣碧
  • 견옥요
    甄玉姚
  • 견옥요
    甄玉娆
  • 주성벽
    朱成璧
소성태후(昭成太后).
후궁 출신이다.
서출이다.
  • 완언연
    阮嫣然
  • 옥액부인
    玉厄夫人
    [50]
  • 하면면
    何绵绵
  • 우정한
    尤静娴
  • 진혜생
    陈慧生
  • 막언
    莫言
  • 보견
    宝鹃
  • 비문
    斐雯
  • 견형
    甄珩
  • 견원도
    甄远道
  • 온실초
    温实初
  • 위림
    卫临

각주

  1. 본업은 고등학교 교사이다.
  2. 총 76부작으로, 중국 현지에서 2010년 9월 18일부터 2011년 1월 30일까지 방영되었다.
  3. 한국에서는 옹정황제의 여인이라는 제목으로 번안되었다.
  4. 드라마 후궁견환전의 주인공 견환은 등장하지 않으며 후궁여의전에 등장하는 숭경황태후 뉴호록씨는 견환과 다른 인물이다. 그러나 중국의 팬들은 드라마 후궁견환전의 견환의 모티브가 숭경황태후 뉴호록씨였으니 편의상 견환이라고 부르고 있다. 그리고 청나라 건륭제의 두 번째 황후인 계황후 오라나랍씨를 모티브로 하는 오라나랍 여의가 새로운 주인공이다.
  5. 한족이 세웠다는 설정이다.
  6. 견환의 시점
  7. 번외편 중에서 내하천(奈何天), 리음성성 불여귀거(鸝音聲聲 不如歸去), 안능전미여초(安能展眉如初), 야심침(夜深沈), 저제전설(猪蹄傳說), 후궁옥점추(後宮玉簟秋)는 각각 견환이 아닌 현청, 안릉용, 심미장, 주의수, 견옥요(甄玉嬈), 설백제희 천우의 이야기를 다룬다.
  8. 1940년에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이 영상화하여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9. 환환(嬛嬛)이나 환아(嬛儿)라는 애칭으로도 불리어진다.
  10. 원래는 귀비가 후궁 중에서 가장 높은 품계였었다. 그러나 의수가 유칙을 죽였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의수가 사실상 황후 자리에서 폐위된 후에 현릉이 의수를 대신해서 견환을 황후로 맞이하려 하였지만 성벽의 반대로 그러지 못하였고, 현릉은 대신에 부황후의 대우를 받는 황귀비란 품계를 새로 만들어서 견환을 황귀비로 책봉한다.
  11. 중국 남송 때의 시문 작가. 자는 신도(伸道)고, 호는 우고거사(友古居士)이다. 흥화군(興化軍) 선유(仙遊) 출신이다.
  12. 환환일뇨초궁요(嬛嬛一袅楚宫腰)
  13. 한자 표기가 서로 다르다. 언니인 옥요는 玉라고 쓰고, 동생인 옥요는 玉라고 쓴다.
  14. 단 먹는 것과 쓰는 물건들은 최상품을 좋아하는 편.
  15. 미언니(眉姐姐)나 미아(眉儿)라는 애칭으로도 불리어진다.
  16. 사랑하는 사람이자 임신한 아이(여윤)의 친아버지인 온실초가 자신의 생식기를 자해하는 것을 보게 되고, 그 충격으로 난산하여 죽고 말았다.
  17. 사실 여윤의 친아버지는 현릉이 아니다. 여윤의 친아버지는 온실초다.
  18. 한때는 친한 사이였다.
  19. 미장이 가장 좋아하는 꽃이기도 하다.
  20. 나중에 현릉이 견환의 의견에 따라서 릉용의 이름을 안리용(安鹂容)으로 바꾼다.
  21. 용아(容儿)라는 애칭으로도 불리어진다.
  22. 건원 13년 6월에 노래를 불러서 현릉의 총애를 받게 되었고 동시에 금실로 짠 옷을 하사받으면서 선시에서 미인이 되었다.
  23. 건원 14년 7월에 미인에서 소원이 되었다.
  24. “皇后杀了皇后”
  25. 송양의 현승(县丞)이다.
  26. 건원 12년 8월에 후궁으로 간택되었다. 이 때 당시(작품 시작 시점)의 나이는 15세이다.
  27. 취미이기도 하다.
  28. 때문에 황제의 애완용 꾀꼬리에 비유되어서 조롱당하기도 한다.
  29. 이건 나중에 익힌 것으로 경홍무는 어릴 때부터 익히지 않으면 안 되나 식기환을 써서 익혔디.
  30. 중국 진(晋)나라 사람 완함(阮咸)이 만든 현악기이다. 보름달처럼 둥글게 생겼다.
  31. 그녀에 대한 묘사는 가난한 집의 고운 딸(小家碧玉)이다.
  32. 아명은 완완(宛宛)이다.
  33. 아유(阿柔)라는 애칭으로도 불리어진다.
  34. 의수의 계락으로 인해 난산으로 죽었다. 유산된 아이는 아들이였으며, 태어나자마자 죽었기에 이름은 없다.
  35. 유칙과 의수는 현릉보다 2살이 많다.
  36. 순은 '마음이 바르고 정신이 순수하다'는 뜻이고, 원은 '몸소 어진 것을 보여 백성을 잘 다스렸다'는 뜻이다.
  37. 유칙은 의수보다 겨우 몇 시간 먼저 태어났다.
  38. 현릉은 유칙에게 첫눈에 반했다.
  39. 본명은 강채평(江采萍)이다.
  40. 유칙을 더 좋아하긴 했으나 황후로는 의수가 적합하다고 보았다.
  41. 현릉의 첫 아이이다. 어린 나이에 요절했기에 이름은 없다.
  42. 주로 안릉용, 탕정언, 관문원.
  43. 의수는 모용세란, 호온용과도 숙적 관계이다.
  44. 冰肌玉骨, 살결이 희고 윤기가 도는 미인을 뜻하며, 역시 유칙을 상징하는 꽃인 매화의 고결함을 비유할 때 쓰이기도 한다.
  45. 天香國色, 고상한 향기와 제일가는 색깔이라는 뜻이다.
  46. 성씨인 ‘조(曹)’는 삼국지의 유명한 간웅 조조의 성과 같다. 그리고 한자 '曹'는 '초두머리(艹)'가 위에 있고, '날 일(日)'이 아래에 있는데, 찬란한 빛을 겉으로 뽐내며 자랑하지 않고 숨기고 있는 모습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녀가 자신의 능력(우수한 두뇌)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숨기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름인 '금묵(琴默)'에서 '잠잠할 묵(默)'은 '검을 흑()'과 '개 견(犬)'이 합쳐진 형태인데, 이 검은 개(犬)를 사냥개라고 한다면 재미있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에는 '사냥하러 가서 토끼를 잡으면, 사냥하던 개는 쓸모가 없게 되어 삶아 먹는다'는 속담이 있다.
  47. 견환이 입궁하기 전에는 가장 총애받던 후궁이였다.
  48. 이름이 아니다.
  49. 현릉의 고모할머니이기도 하다.
  50. 이름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