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Cranezyer/뻘/조선중앙3방송

조선중앙3방송
채널 정보
소유 조선중앙방송위원회
나라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언어 문화어
시작 05:00? (방송국별로 다름)
종료 22:30? (방송국별로 다름)
호출부호 없음
주파수 없음
웹사이트 없음
유선 음성방송 (외부에 방송내용 비공개)

조선중앙3방송 또는 조선중앙제3방송, 줄여서 제3방송 또는 3방송북한유선 음성방송 (케이블 라디오)이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이북에서 말하는 '제1방송'은 (조선)중앙방송, 제2방송은 평양방송[1][2], 제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과 지방별/군부대별/직장별 유선방송[3]인데, 북한의 방송원들 중에서조차도 평양방송이 중앙방송에서 분리된 것이라는 역사를 모르는 사람들은 '제2방송'이 무엇을 지칭하는 것인지를 모른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존재 이유와 방송 내용[편집 | 원본 편집]

'방송'이라는 측면에서 비효율적이기로 짝이 없는 유선 음성방송임에도 아직까지 존속중인 이유는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 보안: 북한 정권이 바깥으로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는 자신들의 입장이나 국내외 사건사고 내용을 딱 내부에서만 공유하는 데에는 제3방송만한 게 없다.[4] 이 때문에 만약 도저히 숨겨지지 않는 사건사고가 지역 내에서 발생했음에도 TV/라디오/신문 등에서 찾아볼 수 없다면 적어도 그 지방 3방송에서만큼은 어떤 형태로든 다뤘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또한 보안성이 있다는 점을 응용하여 주민 및 군인들의 동원, 훈련이나 작전 등을 비밀리에 또는 비상 시 지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고 한다.[5]
  • 주민 세뇌 및 내부 결속: 3방송에서 중대보도라고 떠드는 내용은 그 주의 생활총화에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는 게 당연하게 자리잡았기 때문에 함부로 안 들을 수가 없다. 그런 방송에서 시도 때도 없이 죽은 김일성과 김정일과 곧 죽을 김정은 찬양과 바깥 세계에 대한 적개심과 공포를 노래하는 '제사장의 시녀' 역할을 해 대니 당연하게도 주민들을 더 효과적으로 세뇌할 수 있는 것이다.
  • 수신 채널 변경 불가: 일반적인 라디오의 경우 주파수 다이얼을 돌리다 보면 반드시 (북한에서는 청취 자체가 불법인) 다른 방송들도 잡히기 마련이다. 비록 북한에서 합법적으로 판매하는 라디오 수신기는 주파수를 고정시킨 채로 나오고 그 고정 상태를 검열하기는 하지만, 중학생 수준의 전자기판 납땜 능력만 가지고도 이를 쉽게 무력화시킬 수 있다. 반면 유선 음성방송의 경우 어차피 기기에 무선 수신 기능도 없고 케이블을 끌어들여 올 다른 유선 음성방송도 없기 때문에 채널 제한 해제라는 개념이 무의미하다.
  • 알람시계(...): 농담같지만 정말로 이렇게 활용하는 사람들도 있다. 보통 새벽 5시에 요란하게 노래[6]를 틀고 인민보건체조 구령이 나오니, 북한 지도층 입장에서도 제3방송으로 인민들의 기상시간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방송 내용에 대해서도 외부에 전혀 공개가 안 되다보니 현지의 청취자에게 물어보는 방식으로밖에 알 수 없어 정보 수집 효율이 나쁜 편이며, 그마저도 조선중앙3방송의 전지역 공통 방송 시간 이외에는 지역별/군부대별/직장별 방송국이 자체적으로 편성을 꾸려나가므로 어느 한 지역의 휴민트를 통해 알아낸 내용이 타 지역의 방송 내용과 동일하다는 보장이 없는 정도가 아니라, 내용이 다를 확률이 100%이다.

수신 장치[편집 | 원본 편집]

수신을 위한 전용 스피커 및 야외 확성기가 있는데, 이러한 기기들을 그냥 '방송'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방송 스피커는 마치 한국 아파트의 안내방송 스피커마냥[7] 모든 가구마다 하나씩 무조건 배치되는데, 이게 공짜가 아니라 '세외부담'으로써 입주자 또는 건설에 직간접적으로 동원되는 누군가가 직접 사거나 돈을 바쳐야 하는 것이다.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사람에 따라 증언이 다르다. 방송 송출선이 스피커 전기 공급까지 한다는 말도 있고, 스피커 전원을 켜고 끄는 기능만 있다는 사람도 있는 반면에 음량 조절은 가능해도 전원을 끄거나 음소거를 할 수는 없다는 사람도 있다.

청취 방법[편집 | 원본 편집]

앞서 말했듯이 북한 외부에서 청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방송국[편집 | 원본 편집]

  • 중앙방송국
  • 지방별 방송국
  • 군부대별/직장별 방송국

참고자료[편집 | 원본 편집]

  •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남북 방송통신 간접교류 협력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11월
  • 한국방송통신학회. <남북 방송통신 산업 협력 활성화 정책 수립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방송통신위원회 지정 2008-02), 방송통신위원회 / 한국전파진흥원, 2008년 12월
  • 주성하TV 이연아 인터뷰
  • 북한 유선방송의 역사 (3)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주석[편집 | 원본 편집]

  1. 시작은 (당시 이북의 과한 띄어쓰기를 반영하자면) '조선 중앙 제 2 방송'이었다. 이것이 조선로동당에게 운영권이 넘어가면서 평양방송으로 분리된 것.
  2. 그러나 자유아시아방송은 조선중앙텔레비죤이 제2방송이라고 주장하였다. 해당 기사의 설명대로라면 제4방송은 외국으로 송출하는 방송 (조선의 소리 및 파견 노동자용 조선중앙방송), 제5방송은 대남방송이라고 한다.
  3. 순서가 어떻게 된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3방송은 조선중앙3방송 이외에도 까벨 (케이블)을 이용하는 음성방송 전반을 통틀어 부르는 것으로 의미가 확대되었다.
  4. 예를 들어, 탈냉전으로 구 공산권 국가들이 남한과 수교하는 일이 많아지던 때에 북한 정권은 TV/라디오/신문 등으로는 무덤덤하게 반응했던 반면 제3방송으로는 해당 소식을 전하면서 거의 욕을 퍼부었다고...
  5. 방송차를 통해서도 제3방송을 송출해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 상황에서 주민 대피 등에 썼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단순히 방송차에서 나온 생목소리 또는 녹음된 음성인지, 아니면 정말로 3방송을 중계 또는 반복 재생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6. 보통 북한 애국가와 김씨 찬양곡들. 이 노래들은 조선중앙방송위원회가 관리하는 모든 방송국들이 공통적으로 방송 개시 시 틀어제끼는 노래이다.
  7. 그러나 내장형이나 매립형은 아니고, 웬 오래된 학교 안내방송 스피커 비스무리한 상자 모양의 기기를 벽의 제일 위에 붙여놓는 방식이다.

[[분류:북한의 방송]][[분류:케이블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