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

Pectus Solentis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8월 3일 (월) 22:45 판 (→‎개요)

위 첨자== 개요 == 皇帝, Emperor.

제국군주를 지칭한다. 쉽게 풀이하자면 왕중왕 즉 여러 국왕들을 신하로 거느리는 왕중왕.나는 관대하다.

개념

휘하로 수많은 제후들, 이하 왕들을 두는 봉건형식을 채택하는 국가의 총 원수를 황제로 부르기도한다. 일반적으로 민주주의에선 잘 사용되지 않는 개념으로 전제주의나 왕권국가에서 주로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경향이 짙은데, 사실상 제3제국인 나치독일을 분기로 찾아보기 힘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1].

같은 개념이지만, 황제라는 개념이 창시된 곳은 동양과 서양이 제각각 다르며 그런 만큼 어원, 특성 등도 꽤 다르다.

동양

동양의 황제는 의 건국자이자 통치자였던 시황제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동양권에서 으레 황제라고 칭하는 존재는 주로 중국의 '천자'[2]를 뜻한다. 하지만 동양의 경우 서양처럼 많은 지역이 하나의 제국 아래 강력하게 복속된 적이 전혀 없어서 각 국가들은 자신들만의 황제를 지니기도 했다. 일례로 한반도는 고려 시대에 제국[3]으로 거듭났으며, (비록 허울 좋은 간판 뿐이었지만) 조선고종 시기에 대한제국으로 제국이 되었고 고종 자신도 황제가 되었다. 일본은 아예 '하늘의 자손'이라는 중국의 황제를 가볍게 뛰어넘는 '덴노(天皇 - 하늘의 황제)'[4]라는 호칭을 사용하였다. 다만 덴노는 고려 황제나 대한제국 황제보다도 힘이 없었다

참고로 사실 조선 역시 시호는 왕으로 했으나 실질적으로 외왕내제 비스무리한 걸 했다.[5]

서양

서양의 황제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따라서 서양권에서 으레 황제라고 칭하는 존재는 주로 고대 로마 제국의 황제를 뜻한다. 특히 서양 언어권의 경우 황제라는 어원은 전부 카이사르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유럽에서 황제란 개념을 제공한 카이사르는 정작 죽는 순간까지 '황제'였던 적이 단 한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카이사르가 실권을 잡았을때, 로마 제국이 원로원에서 시작했기 때문에 원로원의 존재를 부정하고 자신이 유일한 지배자로 올라서면 많은 로마인들의 반발이 불을 보듯 뻔했기 때문에, 최고 지도자라는 간판만 원로원에게 남겨 살려두고 카이사르 자신은 원래 직함만 그대로 유지한 채 모든 권한만 자기 앞으로 챙기는 식으로 제국을 지배하였으며, 후대 지배자들도 눈치가 보여(...) 그냥 '나는 카이사르의 뒤를 이었다'는 식으로만 스스로를 호칭하다보니 아예 카이사르라는 이름 자체가 황제를 뜻하는 명사화가 된 것이다. 우선 Emperor 라는 호칭은 카이사르의 군 계급이었던 임페라토르(Imperator) - 최고 사령관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Empress - 여제는 Emperor 라는 호칭이 만들어지고 난 후 여성 명사로 후대에 창작된 것이다)

또한 더불어 후대 황제들의 경우 앞서 서술했듯 스스로를 호칭할 때 독자적인 호칭을 만들기보다는[6] '나는 카이사르(의 뒤를 이은 자)다'라는 뜻에서 스스로를 '카이사르'로 칭하였다. (예: 네로 황제 -> 네로 카이사르) 이것이 이후 여러 문화권으로 넘어가면서 현지 언어에 맞게 변하였는데 일례로 비잔티움 제국(동로마 제국)을 타고 제정 러시아로 건너가 짜르(Char)가 되었고, 신성로마 제국을 타고 독일로 건너가 카이저(Kaiser)가 되었다.

각주

  1. 나치독일의 수장은 스스로를 황제라고 부르지는 않았지만, 독일을 신성 로마 제국(제 1제국)과 독일 제국(제 2제국)에 이은 제 3제국으로 부르긴 했었다.
  2. 이 천자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왕조는 주나라 때 부터이다.
  3. 다만 주의할 점은 고려 제국은 일반 제국과는 달리 중국에게 조공을 바치는 등 킹왕짱 독립 구조가 아니라 중국에 어느 정도 복속되어 있었던 구조였다는 점이다. 즉 중국에게 복종은 하되 자국 내에서는 황제로 칭해졌었다. 이런 관행은 원에게 복속당하면서 '왕'으로 내려앉은 뒤 그대로 이어져 내려왔다. (호칭만 바뀐거지 구조는 동일했지만)
  4. 현재도 유효한 호칭이기는 하나, 주변국들의 경우 어차피 자신들의 지배자가 아니라는 점, 게다가 제2차 세계대전동안 일본에게 시달려 일본을 향한 반감의식이 생긴 점을 고려해 그냥 '일왕 - 일본 왕'으로 부른다.
  5. 애초에 묘호라는 것 자체가 황제한테나 붙이는 건데 조선은 자기나라 왕한테 그걸 신명나게 가져다 붙였다. 고려도 원에게 복속되기 전까진 묘호를 쓰다가 원에게 복속된 이후에야 묘호를 안쓴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6. 예외로 카이사르의 뒤를 이은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을 Princeps 라는 독자적인 호칭으로 부르긴 했다만, 이 역시 '1등 시민(로마 법상으로는 평범한 시민 중 한사람이지만 각종 특권을 지닌 '특별한' 시민이라는 뜻)'이라는 뜻으로 절대로 왕이라는 뜻을 내포하지 않고 있었다. 이 호칭 또한 여러 언어로 퍼지면서 변형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영국의 Prince, 왕자...가 아니라 군주라는 뜻이다. (프린스가 왕자라는 뜻을 갖게 된 건 왕을 뜻하는 King 이 추가되면서 프린스가 격하되어 생긴 의미이다. 참고로 Princess는 Empress와 마찬가지로 후대에 생겨난 여성 명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