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태조|정종|태종|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중종|인종|명종|선조|인조|효종|현종|숙종|경종|영조|정조|순조|헌종|철종) \(조선\) +조선 \1))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피휘'''(避諱)는 [[휘]]를 피한다는 의미로, 군주나 자기 조상의 이름자(휘)를 피해서 표기 및 발음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행해졌다. 군주의 이름이 흔히 쓰이는 글자일 경우 해당 왕조 내내 그 글자가 봉인당해 버리기 때문에 엄청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나 중국의 통일왕조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 조공관계에 있던 국가들에까지 광역 민폐를 끼치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군주의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왕 또는 황제의 아들의 이름을 일부러 잘 사용하지 않는 벽자를 사용하여 짓기도 하였다.
'''피휘'''(避諱)는 [[휘]]를 피한다는 의미로, 군주나 자기 조상의 이름자(휘)를 피해서 표기 및 발음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행해졌다. 군주의 이름이 흔히 쓰이는 글자일 경우 해당 왕조 내내 그 글자가 봉인당해 버리기 때문에 엄청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나 중국의 통일왕조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 조공관계에 있던 국가들에까지 광역 민폐를 끼치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군주의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왕 또는 황제의 아들의 이름을 일부러 잘 사용하지 않는 벽자를 사용하여 짓기도 하였다.



2023년 1월 31일 (화) 19:23 기준 최신판

피휘(避諱)는 를 피한다는 의미로, 군주나 자기 조상의 이름자(휘)를 피해서 표기 및 발음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행해졌다. 군주의 이름이 흔히 쓰이는 글자일 경우 해당 왕조 내내 그 글자가 봉인당해 버리기 때문에 엄청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나 중국의 통일왕조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 조공관계에 있던 국가들에까지 광역 민폐를 끼치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군주의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왕 또는 황제의 아들의 이름을 일부러 잘 사용하지 않는 벽자를 사용하여 짓기도 하였다.

다만 후대에 와서 문헌 연구를 할 때 이 피휘를 통해 특정 문헌이 어느 시기에 씌어졌는지 어느 정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장점 정도는 있다. 이를테면 당 태종 이후 당나라 내내 봉인당한 世 덕분에 관세음보살을 관음보살로 적어놓은 경우 해당 문헌이 당나라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는 셈이다.

예시[편집 | 원본 편집]

  • 조선 태조의 초명은 이성계였는데, 즉위 후에 흔하게 쓰이는 성(成)자와 계(桂)자가 조선시대 내내 봉인될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도(...) 태조가 이단(李旦)으로 개명해서 두 글자가 봉인되는 일은 없었다. 하지만 '단'자를 잘 쓰지 못하게 되었다. 광진구의 아차산이 아단산에서 아차산으로 개명된 이유에 이 사람이 관련되어 있다.
  • 태종 이방원은 끝까지 이름이 방원이었는데, 각각 꽃다울 방(芳)자와 멀 원(遠)자다. 다행히 태종이 두 글자에 큰 금제를 걸지는 않은 모양이다.
  • 당나라 고조 이연(李淵)의 이름자 때문에 연개소문의 '연'자가 뜻이 같은 '천(泉)'자로 표기되었다.
    • 마찬가지로 절강성에 위치한 용연도 용천으로 바뀌었으며, 구야자가 벼린 명검 용연도 용천으로 개명되었다.
  •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 때문에 당나라 내내 세(世)자와 민(民)자가 봉인되었다. 이 때문에 관세음보살은 관음보살이 되었고 민(民) 대신 인(人)자를 쓰게 되었다. 이성계처럼 개명을 할법도 한데 그런거 없이 그냥 쭉 가는 바람에 꽤나 흔하게 쓰이는 두 글자가 봉인당하면서 엄청난 광역 민폐를 끼쳐버린 셈
  • 대구광역시의 한자는 원래 大邱가 아니라 大丘였다. 공자의 이름을 피하느라 이렇게 되었다.
  • 한반도 북쪽의 어느 나라는 사실상 왕정국가라 그런지 성씨가 무엇인지를 막론하고 일성, 정일, 정은, 설주라는 이름을 아예 쓰지 못한다. 더군다나 이들은 비슷한 이름까지 피하며, 생일까지 피하는 비범한 관습을 만들어냈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