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시| +시|))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태조|정종|태종|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성종|중종|인종|명종|선조|인조|효종|현종|숙종|경종|영조|정조|순조|헌종|철종) \(조선\) +조선 \1))
5번째 줄: 5번째 줄:


== 예시 ==
== 예시 ==
*[[조선]] [[태조 (조선)|태조]]의 초명은 [[이성계]]였는데, 즉위 후에 흔하게 쓰이는 성(成)자와 계(桂)자가 조선시대 내내 봉인될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도(...) 태조가 이단(李旦)으로 개명해서 두 글자가 봉인되는 일은 없었다. 하지만 '단'자를 잘 쓰지 못하게 되었다. 광진구의 [[아차산]]이 아단산에서 아차산으로 개명된 이유에 이 사람이 관련되어 있다.
*[[조선]] [[조선 태조|태조]]의 초명은 [[이성계]]였는데, 즉위 후에 흔하게 쓰이는 성(成)자와 계(桂)자가 조선시대 내내 봉인될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도(...) 태조가 이단(李旦)으로 개명해서 두 글자가 봉인되는 일은 없었다. 하지만 '단'자를 잘 쓰지 못하게 되었다. 광진구의 [[아차산]]이 아단산에서 아차산으로 개명된 이유에 이 사람이 관련되어 있다.
*[[태종 (조선)|태종]] [[이방원]]은 끝까지 이름이 방원이었는데, 각각 꽃다울 방(芳)자와 멀 원(遠)자다. 다행히 태종이 두 글자에 큰 금제를 걸지는 않은 모양이다.
*[[조선 태종|태종]] [[이방원]]은 끝까지 이름이 방원이었는데, 각각 꽃다울 방(芳)자와 멀 원(遠)자다. 다행히 태종이 두 글자에 큰 금제를 걸지는 않은 모양이다.
*[[당나라]] [[당고조|고조]] [[이연]](李淵)의 이름자 때문에 [[연개소문]]의 '연'자가 뜻이 같은 '천(泉)'자로 표기되었다.
*[[당나라]] [[당고조|고조]] [[이연]](李淵)의 이름자 때문에 [[연개소문]]의 '연'자가 뜻이 같은 '천(泉)'자로 표기되었다.
** 마찬가지로 절강성에 위치한 용연도 [[룽취안시|용천]]으로 바뀌었으며, 구야자가 벼린 명검 용연도 [[용천검|용천]]으로 개명되었다.
** 마찬가지로 절강성에 위치한 용연도 [[룽취안시|용천]]으로 바뀌었으며, 구야자가 벼린 명검 용연도 [[용천검|용천]]으로 개명되었다.

2022년 8월 28일 (일) 22:37 판

개요

피휘(避諱)는 를 피한다는 의미로, 군주나 자기 조상의 이름자(휘)를 피해서 표기 및 발음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중국을 비롯한 한자문화권에서 행해졌다. 군주의 이름이 흔히 쓰이는 글자일 경우 해당 왕조 내내 그 글자가 봉인당해 버리기 때문에 엄청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나 중국의 통일왕조에서 이런 일이 발생할 경우 조공관계에 있던 국가들에까지 광역 민폐를 끼치기도 하였다. 이런 이유로 군주의 자리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왕 또는 황제의 아들의 이름을 일부러 잘 사용하지 않는 벽자를 사용하여 짓기도 하였다.

다만 후대에 와서 문헌 연구를 할 때 이 피휘를 통해 특정 문헌이 어느 시기에 씌어졌는지 어느 정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장점 정도는 있다. 이를테면 당 태종 이후 당나라 내내 봉인당한 世 덕분에 관세음보살을 관음보살로 적어놓은 경우 해당 문헌이 당나라 시기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는 셈이다.

예시

  • 조선 태조의 초명은 이성계였는데, 즉위 후에 흔하게 쓰이는 성(成)자와 계(桂)자가 조선시대 내내 봉인될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도(...) 태조가 이단(李旦)으로 개명해서 두 글자가 봉인되는 일은 없었다. 하지만 '단'자를 잘 쓰지 못하게 되었다. 광진구의 아차산이 아단산에서 아차산으로 개명된 이유에 이 사람이 관련되어 있다.
  • 태종 이방원은 끝까지 이름이 방원이었는데, 각각 꽃다울 방(芳)자와 멀 원(遠)자다. 다행히 태종이 두 글자에 큰 금제를 걸지는 않은 모양이다.
  • 당나라 고조 이연(李淵)의 이름자 때문에 연개소문의 '연'자가 뜻이 같은 '천(泉)'자로 표기되었다.
    • 마찬가지로 절강성에 위치한 용연도 용천으로 바뀌었으며, 구야자가 벼린 명검 용연도 용천으로 개명되었다.
  •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 때문에 당나라 내내 세(世)자와 민(民)자가 봉인되었다. 이 때문에 관세음보살은 관음보살이 되었고 민(民) 대신 인(人)자를 쓰게 되었다. 이성계처럼 개명을 할법도 한데 그런거 없이 그냥 쭉 가는 바람에 꽤나 흔하게 쓰이는 두 글자가 봉인당하면서 엄청난 광역 민폐를 끼쳐버린 셈
  • 대구광역시의 한자는 원래 大邱가 아니라 大丘였다. 공자의 이름을 피하느라 이렇게 되었다.
  • 한반도 북쪽의 어느 나라는 사실상 왕정국가라 그런지 성씨가 무엇인지를 막론하고 일성, 정일, 정은, 설주라는 이름을 아예 쓰지 못한다. 더군다나 이들은 비슷한 이름까지 피하며, 생일까지 피하는 비범한 관습을 만들어냈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