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 크로네

Jks84562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월 27일 (수) 00:07 판 (나무위키 편집자 본인입니다. (일부 발음수정 및 단어수정 편집부준 미해당 / 일부 IP사용자는 포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페로어 : Føroyar króna (푀르야르 크로나) / 영어 : Faeroe (Islands) Krona (페로 크로나)

소개

페로 제도의 법정 통화...이지만 현 지위는 덴마크 크로네의 파생통화이다. 따라서 ISO 4217코드는 없지만 또다른 파생통화인 그린란드 크로네와는 달리 거의 자율적으로 돈이 움직이기 때문에 인플레는 산정된다. 2009년 기준으로 덴마크 크로네보다 낮은 -1.1%.

페로 제도에서 법적으론 덴마크 크로네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있지만 파운드 스털링 체계와 마찬가지로 덴마크 국립은행[1]에서 수수료 완전면제로 덴마크 크로네와 페로 크로네의 상호교환이 가능하기도 하고, 어차피 1:1이므로 그냥 그려려니 하며 사용한다. 그러나 반대로 덴마크에서 페로 크로나는 인지도가 밑바닥 수준 미만이라 대개는 '이게 뭥미?'라는 반응을 보일 뿐이니 유의.

복수형은 크로누르(krónur). 이 표기법에서도 알 수 있지만 덴마크보다는 아이슬란드쪽에 가까운 언어패턴이다. 그만큼 외부의 유입이 없어 스칸디나비아제어 중에서도 변형이 무척이나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는 서로 글로 써 놓으면 알아들을 수 있지만 직접 들으면 못 알아듣는다고 한다.) 보조단위로는 오랴(Orya, 복수형 Oyrur)가 있다.

첨언하면, "Føroyar"의 발음은 "푀르야르"에 가까우므로 엄밀히는 "푀르야르 크로나"라고 해야 하나, 영어명인 Faeroes로 더 알려져 있는 관계로 본 문서에서는 "페로"로 서술한다.

2차 크로네

2001년 ~ 2005년에 걸쳐 도입된 시리즈. 특별히 이유는 없고, 2차 시리즈가 너무 오랫동안 통용되느라 최신보안에 약해졌다라는 단순한 이유로 교체되었다. 그러니까 업데이트

위에서도 보듯 동양화같은 질감이 가장 큰 특징. 더군다나 테두리가 없는 전면인쇄방식이라 얼핏 보면 그냥 추상화나 정물화에 가까울 수준의 그림이다. 처음보는 사람이라면 그냥 그림에다가 숫자만 박아넣은 것 처럼 보일 정도. 도안은 주로 페로제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물(앞면)과 특정지역의 풍경(뒷면)을 소재로 삼은 그림을 갖다 넣은 것이다. 그림 맞네.

(표2)

1차 크로나

그리고 나치가 망하고 덴마크가 주권을 찾자 영국의 입김에서 벗어나 다시 덴마크 자치령으로 복귀했고, 아래와 같은 시리즈를 탄생시켰다. 유통량이 워낙에 적기도 하고 공급이 불안정했기 때문에 본격적으론 1970년대에 도입된 것이나 다름없었지만, 표기는 첫 도입기인 1949년으로 되어있다. 초기엔 5, 10, 50, 100크로나 4종류만 도입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후반에 50, 100크로나 개정판과 20, 500, 1000크로네(1994년)를 새로 도입하였다. (동시에 10크로네가 동전으로 교체되면서 잘렸다. 5크로네가 짤린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디자인의 베이스가 비슷하기 때문에 따로 구분하지는 않는다.

특징이라면 뒷면 도안들 자체의 화풍이 독특하다. 어떤건 수묵화인 마냥 그려진 것도 있고, 어떤건 대충 선을 휘갈겨 형태만 잡아준 것도 있는 반면, 어떤건 스케치에 가까운 도안이라 여러가지 의미로 충공깽.

(표1)

긴급발행권

그러다가 영국이 자기네 바로 옆에 있는 페로제도를 나치에게 점령당할 것을 두려워해, 바로 보호국 선언을 하고 군대를 파견하였다. 어디까지나 식민지가 목적이 아닌 방패의 역할이 목적이니 이렇다할 사건을 일으키지는 않았다. 도리어 페로제도는 영국이 대신 공항이나 항구등을 지어준 덕에 가만히 앉아서 이득만 봤다.[2] 그리고 임시용인 도장찍은 덴마크 크로나 대신 군표에 가까운 통화를 발행해 주었는데, 실질적으로는 이것이 페로제도의 첫 시리즈에 해당한다. 몰론 지폐의 질은... 시망.

첨쇄권

아이러니하게도 페로 크로네는 덴마크가 나치 독일에게 백기를 흔든 시점부터 시작되었다. 페로 제도는 한때 노르웨이의 영토였다가 19세기 중반에 도로 덴마크의 영토로 편입되었었는데[3], 이때 사용하던 덴마크 크로네가 덴마크 본토의 크로네와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페로섬 전용"이라는 도장을 찍어놓은 것이 시초다.[4]


이야기거리

  • 덴마크에서 페로 크로네에 대해 알고있냐고 물어본다면 십중팔구는 "그게 뭐임?"라고 답한다고(...). 심지어 자기네 땅인 주제에 페로 제도 자체가 어디있는지도 모르는 경우도 태반이다. 그저 자치령이라 무관심한 듯.
  • 위같은 이유로 페로 사람이 덴마크로 올 때는 배 위에서 미리 공지한다고 한다. "하선하면 먼저 은행가서 환전부터 하세요!"라고.
  • 흔치않은 동양화 같은 질감과 원본 자체로도 아름다운 풍경도안 덕분에 은근히 --양덕-- 수집가들에게 인기있는 권종이다. 한때 덴마크 은행이 페로 크로나를 취급하지 않았을 적엔 페로 우체국(Postverk Føroya)에서 취급했었는데, 세트로 모아다가 기념품으로 팔기도 했었다고.

각주

  1. 및 시중은행에서도 가능한지는 추가바람
  2. 일본이 조선 점령기를 정당화 시키는 장점요소들이 모두 적용되었다고 보면 된다.
  3. 이는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시조가 똑같은 노르만족인 바이킹이고, 역사도 서로 은근하게 얽혀있기 때문.
  4. 나라가 점령당하면 경제 시스템 중에서도 가장 먼저 불안정해지는 것이 바로 통화 시스템이다. 애초에 현대에서 말하는 "통화"라는 것 자체가 나라가 그 가치를 보장하는 재화이니...

틀:통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