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무선전화: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종류)
(자동 찾아 바꾸기: 「수 밖에」(을)를 「수밖에」(으)로)
4번째 줄: 4번째 줄:


== 특징 ==
== 특징 ==
철도무선전화가 등장하기 전에는 기관사 및 승무원이 철도사령(관제)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은 각 역의 [[역무원]](로컬관제)을 만나거나 선로변의 사령전화를 사용하는 것 뿐이었다. 특정 거점에서만 사령 전파가 가능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느릴 수 밖에 없었고, 선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데 애를 먹었다.
철도무선전화가 등장하기 전에는 기관사 및 승무원이 철도사령(관제)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은 각 역의 [[역무원]](로컬관제)을 만나거나 선로변의 사령전화를 사용하는 것 뿐이었다. 특정 거점에서만 사령 전파가 가능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느릴 수밖에 없었고, 선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데 애를 먹었다.


* 통화권역
* 통화권역

2020년 10월 9일 (금) 12:00 판

Zugfunkanlage MESA .jpg

철도무선전화는 철도에서 사용하는 무선통신으로, 철도 관제, 철도 기관사, 열차 차장, 역무원이 무선으로 소통하기 위해 구축한 통신망이다.

특징

철도무선전화가 등장하기 전에는 기관사 및 승무원이 철도사령(관제)와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은 각 역의 역무원(로컬관제)을 만나거나 선로변의 사령전화를 사용하는 것 뿐이었다. 특정 거점에서만 사령 전파가 가능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느릴 수밖에 없었고, 선로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데 애를 먹었다.

  • 통화권역
    일반 무선통신망과 달리 선로변을 따라 구축되기 때문에 기지국을 격자형으로 배치할 수 없어 배치를 잡는 데 다소 애를 먹는다. 그래서 대형 기지국 보다 소형 기지국을 다수 세우는 방향으로 설치한다.
  • 신뢰성
    필요할 때 항상 통화가 가능해야 한다. 기지국 1개가 죽더라도 주변 기지국에서 비는 통화권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어야 하고, 명료한 통화를 보장해야 한다.

종류

  • VHF
    1세대 무선통신망으로, 평범한 무전기다. 단문 메시지는 커녕 디지털화도 되어 있지 않은 아날로그 통신망으로 통화가 명료하지 못하고 통달거리도 짧으며, 지하 등 음영지역도 많아 운용에 애로사항이 많다. 전파를 방수하는 것도 가능하여 보안성도 거의 없는거나 마찬가지. 하지만 지정된 주파수를 사용하는 기기라면 자유롭게 망에 들어갈 수 있으며, 통달거리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TRS처럼 통화자가 지역 전체를 점유하여 다른 이용자가 쓰지 못하는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지하구간 등에서는 전파가 제대로 통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구간 전체에 걸쳐 누설동축케이블(LCX)를 적용하여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지하구간 전체에 걸쳐서 통신이 가능하다.
  • TRS
    VHF를 디지털화하여 조금 발전한 것으로 기지국 개념이 생겨서 인접한 열차 2대가 동시에 키를 잡아서 혼선이 빚어지는 일은 없다. 대신 한 무선국이 통신중에는 다른 무선국이 개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긴 하다. 간단한 단문 송수신도 가능. 한국의 경우 고속철도에 도입되어 있으며 도입 시기에 따라 모토롤라 ASTRO와 TETRA 2가지 시스템으로 나뉜다.
  • GSM-R
    UIC가 처음으로 표준화를 주도한 무선통신망으로 GSM에 기반한 통신망이다. 간단한 단문도 전송할 수 있으며 유럽 철도의 표준 통신망으로 채택되어 CBTC(ETCS)의 기반이 되었다.
  • LTE-R
    LTE에 기반한 통신망으로 GSM을 도입하지 않았던 대한민국에서 처음 개발했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