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 게임: 두 판 사이의 차이

41번째 줄: 41번째 줄:
https://www.grac.or.kr/ 국내에 배포되는 게임을 심의하는 곳. 무료 배포 게임들은 이들의 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모바일 플랫폼을 제외한 한글화가 된 유료 게임의 경우 국내에 배포되는 게임으로 간주하여 심의를 받으라고 통보를 보낸다. 현재 스팀에서 게관위의 심의를 받지 않은 국산 비한글화 스팀 게임들이 몇개 존재한다.
https://www.grac.or.kr/ 국내에 배포되는 게임을 심의하는 곳. 무료 배포 게임들은 이들의 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모바일 플랫폼을 제외한 한글화가 된 유료 게임의 경우 국내에 배포되는 게임으로 간주하여 심의를 받으라고 통보를 보낸다. 현재 스팀에서 게관위의 심의를 받지 않은 국산 비한글화 스팀 게임들이 몇개 존재한다.


PC, 콘솔 플랫폼에 용량이 큰 RPG 장르 유료 게임일 경우 개인 개발자로서는 몇십~몇백만원 상당의 부담되는 금액을 심의비로 요구한다. 예를 들어 PC 플랫폼, RPG 장르, 한글화 오프라인 게임일 경우 심의비는 1440000원+부가세 144000원=총 1584000원이다. 중소기업 감면 30퍼센트 환급 혜택을 받아도 1108800원으로 100만원이 넘어간다.
PC, 콘솔 플랫폼에 용량이 큰 RPG 장르 유료 게임일 경우 개인 개발자로서는 몇십~몇백만원 상당의 부담되는 금액을 심의비로 요구한다. 예를 들어 PC 플랫폼, RPG 장르, 한글화 오프라인 게임일 경우 심의비는 1440000원+부가세 144000원=총 1584000원이다. 중소기업 감면 30퍼센트 환급 혜택을 받아도 1108800원으로 100만원이 넘어간다. 현재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제도를 시행 중이지만 국내 인디 게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


현재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제도를 시행 중. 이 제도가 국내 인디 게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
https://somigames.com/2015/12/23/ 스팀 진출 국산 게임 replica의 개발자의 이야기. 국내 심의 과정을 잘 정리해주고 있다.


===무료 게임===
===무료 게임===

2017년 8월 21일 (월) 00:24 판

소개

개인이나 소규모의 팀이 소자본으로 개발한 게임을 칭한다. 정확하게 인디 게임의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다. 스팀의 등장과 함께 디지털 다운로드 시장의 규모가 커지자 활발하게 개발되기 시작했다.

특징

인디 게임들은 대부분이 개발사의 자본과 기술력이 메이저 게임 회사들에 비해 떨어지다보니 게임메이커RPG 쯔꾸르같은 추가 라이센스 비용이 없거나 간단히 만들 수 있는 게임 제작 툴로 많이 만들어지며 개중에는 개발사의 역량에 따라 유니티, 언리얼로도 개발되는 경우도 있다.

더 나아가 개발비 충당을 위해 킥스타터로 모금을 하거나 스팀의 얼리 액세스 시스템을 통해 베타판을 팔아 개발비를 충당한 다음 업데이트를 통해 정식 출시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픽은 도트 노가다나 플래시 2D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진 게임들이 많은데 상기 언급된 기술력과 자본 부족으로 인해 3D로 만들 여건이 안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다.

전반적 오해

동인 게임

둘다 소규모 집단이 만드는 게임이라는 점에서 동인 게임과 인디 게임을 혼용해서 쓰는 경우가 있는데 동인 게임은 「아마추어 집단이 취미로 만든 게임」에 가깝고 인디 게임은 「정식 소규모 개발사에서 팔기 위해 만든 소자본으로 만든 게임」에 가깝다. 즉 동인 게임은 인디 게임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인디 게임은 동인 게임이라고 보기 힘들다.

이렇다보니 동인 게임은 2차 창작성 팬게임들이 많은 반면 인디 게임은 패러디, 오마쥬 수준으로만 그치지 2차 창작성 게임들은 저작권 문제로 일절 나오지 않는다.

최근 일본 동인 게임 서클들이 만든 1차 창작성 동인 게임들이 스팀에서 판매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인디게임 제작 관련

관련 동영상

제작 프로그램

  • RPG 쯔꾸르 : 게임툴 중에서도 가장 가격이 싼 편. 합법적인 방법으로 툴을 구매, 사용하고 있다면 추가 라이센스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른 유저의 플러그인이나 그래픽 소스를 사용하여 유료 게임을 만들시에는 저작권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자신이 혼자 다 만든다면 문제없다. 주로 일본식 턴제 게임, 사운드 노벨, 호러 어드벤쳐 등의 장르 게임이 많다. 최신 버전은 모바일로도 이식이 가능하다.
  • 게임 메이커 : 언더테일, 핫라인 마이애미 등의 양질의 아웃풋을 배출해낸 툴. 최신 버전은 쯔꾸르보다 가격이 비싸지만 험블 번들 등을 통해 싸게 구매할수도 있다. 여러 플랫폼으로 이식이 가능하며 쯔꾸르에 비하면 액션 장르 면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안좋은 최적화가 흠.
  • 유니티 : 대중적인 3D 게임 개발 툴. 보통 게임학원가면 이거나 언리얼 엔진으로 많이 배운다.
  • 언리얼 엔진 : 엄청나게 좋은 그래픽 성능덕에 그래픽에 투자할 돈이 적은 인디 게임과는 거리가 멀어보였지만 최근 일정 수익 분기 이전에는 라이센스 비용을 청구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사실상 무료로 접할 수 있게 된 3D 툴이다. 광원 효과와 미려한 그래픽이 돋보인다. 유명한 게임들을 언리얼 엔진으로 시연하는 영상들도 많다.
  • 크라이 엔진 : 유니티, 언리얼 엔진보다 늦게 무료화 대열에 합류했다. 과거 크라이시스 3를 필두로 한 미친 그래픽으로 사람들을 놀라게 했으나 현재 언리얼 엔진의 무서운 상승세로 인해 고전중이다. 마찬가지로 일정 수익 분기 이전에는 라이센스비를 청구하지 않는다.
  • 스마일 게임 빌더 : 스팀에서 판매하고 있는 2.5D 툴. 아기자기한 색채가 장점이며 기본적인 모양새는 위저드리와 비슷한 고전 JRPG. 탑뷰, 쿼터뷰, 1인칭으로 시점을 바꿀 수 있다는게 자랑.

인디게임 배포 관련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https://www.grac.or.kr/ 국내에 배포되는 게임을 심의하는 곳. 무료 배포 게임들은 이들의 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모바일 플랫폼을 제외한 한글화가 된 유료 게임의 경우 국내에 배포되는 게임으로 간주하여 심의를 받으라고 통보를 보낸다. 현재 스팀에서 게관위의 심의를 받지 않은 국산 비한글화 스팀 게임들이 몇개 존재한다.

PC, 콘솔 플랫폼에 용량이 큰 RPG 장르 유료 게임일 경우 개인 개발자로서는 몇십~몇백만원 상당의 부담되는 금액을 심의비로 요구한다. 예를 들어 PC 플랫폼, RPG 장르, 한글화 오프라인 게임일 경우 심의비는 1440000원+부가세 144000원=총 1584000원이다. 중소기업 감면 30퍼센트 환급 혜택을 받아도 1108800원으로 100만원이 넘어간다. 현재 자체등급분류사업자 제도를 시행 중이지만 국내 인디 게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

https://somigames.com/2015/12/23/ 스팀 진출 국산 게임 replica의 개발자의 이야기. 국내 심의 과정을 잘 정리해주고 있다.

무료 게임

  • 스팀(플랫폼) : 유료 게임 외에 무료 게임이나 소프트웨어도 등록이 된다.
  • 개인 블로그 : 개인 블로그에서 압축 파일 형태로 배포하는 방식. 보통 쯔꾸르 게임들이 이런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무료 게임일 경우 심의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
  • 커뮤니티 사이트: 게임 제작 커뮤니티 외에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무료 게임을 배포할 경우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다.
  • 구글 플레이: 무료 앱을 올리고 광고로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료 게임으로 등록해둔 후 인게임 결제를 집어넣는 부분 유료화 게임들이 대다수다.

유료 게임

  • 스팀(플랫폼) : 인디 게임에 가장 관대한 시장 중 하나. PC 게임 중 비중이 높은 플랫폼이기 때문에 양질의 게임을 출시한다면 상상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시장이다. https://partner.steamgames.com/steamdirect 스팀 그린라이트가 폐쇄된 후 '스팀 다이렉트'라는 오픈 마켓 시스템을 개설했다. 자세한 사항은 링크 참조. 수익 배분은 세금을 제하기 전 개발자 7할, 스팀 3할.
  • 구글 플레이 : 모바일 시장. 수익 배분은 개발자 7할, 구글 3할. 유통사가 개입한다면 이는 달라질 수 있다. 소수의 잘나가는 게임이 시장 상당수를 독식하고 있다. 부분 유료화나 무료 게임에 비해 유료 게임 판매는 수익 창출이 좀 더 힘들수도 있다.
  • 애플 앱스토어 : 구글 플레이에 비하면 유료 어플이 꽤나 잘 나가는 편. 구글 플레이에 비해 심사 절차가 까다롭다.
  • GOG : 스팀보다 작은 PC 플랫폼 시장. 추가 수익을 얻고 싶을 경우 GOG에도 게임을 등록하는 인디 게임 회사가 대부분이다.

인디게임 목록

인디게임 개발사

제작:This War of Mine

항목참조

제작:염소 시뮬레이터

제작:Project Zombo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