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사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연도별 출생 제거 봇)
98번째 줄: 98번째 줄:
[[분류:프랑스의 총리]]
[[분류:프랑스의 총리]]
[[분류: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총독]]
[[분류: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총독]]
[[분류:1872년 출생]]
[[분류:1962년 사망]]
[[분류:1962년 사망]]

2023년 8월 24일 (목) 10:54 판

알베르-피에르 사로
Albert-Pierre Sarraut
Albert Sarraut.png
인물 정보
출생 1872년 7월 28일
프랑스 누벨아키텐
지롱드 현, 보르도 시
사망 1962년 11월 26일 (89세)
프랑스 파리
국적 프랑스
정당 급진당

알베르 사로(프랑스어: Albert Sarraut)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총독과 두 차례 총리직을 역임한 프랑스의 정치인이자 관료, 변호사, 기자이다.

생애

초창기

알베르 사로는 1872년 보르도에서 지역 언론사 사주인 오메르 사로(Omer Sarraut)의 아들로 태어나, 툴루즈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했고 졸업한 후로 얼마간 기자 생활을 하다가, 보르도 지역의 급진당 간부였던 아버지의 영향력과 더불어, 드레퓌스 사건불랑제 위기로 인해 발효된 1901년 결사법의 혜택에 힘입어 오드 지역의 하원의원으로 당선된다.

정계 초기

그렇게 하원의원이 된 사로는 1905년에 급진당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으로 발탁되었으며, 에밀 콩브 내각이 발의한 1905년 정교분리법의 찬성측 일원으로서 활동한다. 그리고 이듬해 1906년 7월 13일, 드레퓌스 사건의 당사자인 알프레트 드레퓌스 대위와, 조르주 피카르 중령의 복권에 대한 투표가 하원에 부의되었을 때, 사로는 당시 드레퓌스를 무고했던 오귀스트 메르시에의 일파였던 폴 푸글리시-콩티 의원에게 일방적으로 결투를 선언당했고, 콩티의 칼이 사로의 폐부를 찌른 바람에 사로는 6주 동안 입원해 있어야 했다.

1907년 랑그도크 포도주 위기에서

1907년 랑크도크 포도주 위기가 일어날 당시, 사로는 조르주 클레망소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으로 입각해 있었는데, 프랑스 남부 출신이었던 덕분에 사로는 당시 시위를 일으킨 랑그도크를 비롯한 남부 양조업자들의 비참한 상황과 그 정당성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사로는 시위의 주동자였던 마셀린 알베르와, 사실상 알베르가 이끄는 아르젤리에 위원회(Comité d'Argeliers)와의 협상을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클레망소는 사로의 협상 제안을 "내가 남부 놈들을 잘 아는데, 결국 놀자판으로 끝나기 마련이라고!"(Je connais le Midi, tout ça finira par un banquet!)라는 비웃음 섞인 농담과 함께 거부했고, 6월 10일까지 사태가 가라앉길 기다렸으나 결국 사태는 곧 전국을 휩쓸 정도로 격화되고 말았다.

그리고 6월 11일, 뒤늦게서야 클레망소는 사로를 매개로 삼아, 저명한 사회주의자이자 아르젤리에 위원회와 끈이 닿아 있던 나르본 시장 에르네스트 페룰하고의 협상을 시도했으나, 이미 전날인 10일에 클레망소 내각에 대한 항의표시로 시장직을 사임한 페룰은 "우리 뒤에 있는 300만 명은 협상하지 않을 거요."(Quand on a trois millions d'hommes derrière soi, on ne négocie pas.)란 말과 함께 거부했다.

결국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격화된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한 클레망소는 6월 17일 남부 지역에 군대를 내려보내 무자비하게 진압한 뒤, 내무차관인 사로에게 국가헌병대를 동원하여 시위 참가자들을 모조리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리나, 사로는 이를 거부하고는 내무차관직을 사임하기에 이른다.

인도차이나 총독으로서

그렇게 내무부 차관 자리에서 사임하고, 사로는 공화사회당아리스티드 브리앙 내각에 전쟁부 차관으로 입각한 뒤, 1910년까지 재직했다. 그리고 그 다음 해인 1911년 11월에 사로는 인도차이나 총독으로 발령받게 되는데, 이는 당시 조제프 카요 내각에서 인도차이나 지역의 무장봉기 가능성에 대한 염려로 행한 인사로, 당시 정부가 폴란드계 안토니 클로부코우스키 총독 이후로 제대로 된 총독 임명을 하지 않아 총독 대리들이 난무하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지역에서 오래간만에 떨어진 정식 총독 임명이었다.

그리고 사로는 왜 자신이 인도차이나 지역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는지 이해하고 있었고, 임지에 도착하자마자 유신제를 예방함으로서 식민지인을 존중하겠다는 신호를 보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실질적인 초대 총독이었던 폴 두메르의 강압적 식민통치 노선을 온건화하는 작업에 들어갔는데, 먼저 기초 교육을 널리 확대하여, 많은 식민지인들에게 교육의 혜택을 받게 하고, 베트남어의 새로운 표기법(쯔꾸옥응으)을 제정하고 널리 보급하면서 문맹률을 줄이는 데 힘썼다. 그리고 그전까지는 프랑스인 파견 관료들이 독점하고 있던 총독부의 관직의 문호 역시 개방하여, 베트남 현지 관료도 총독부 고위 관료로 출세할 수 있도록 제도에 손을 보았다.

또 박물학자인 조르주 그로슬리에(George Groslier)를 후원하여, 캄보디아 지역의 문화와 예술을 보전하는 데 크게 공헌하고, 지금의 캄보디아 국립 박물관의 설계와 건설에 총독부 예산까지 배정하는 등의 성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고 그런 사로의 개혁 결과 인도차이나 지역의 문맹률은 획기적으로 감소하고, 총독부에 고용된 현지 엘리트들은 프랑스 식민당국에 충성을 아끼지 않아, 당분간 식민지 정국은 안정될 수 있었다. 카요 내각이 의도한 그대로였다.

하지만 이런 사로의 개혁은 어디까지나 자유주의적 제국주의에 따른 사고에 근거한 것으로, 사로는 식민지인들의 사고방식이나 관습, 제도 등이 프랑스화되기 이전까지는 개화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렇게 개화되기 전까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고도 생각했다. 이런 사로의 사고방식은 1912년, 안남의 고등 판무관[1]이었던 조르주 마에(Georges Mahé)의 사원 및 황릉 도굴 사건의 처리에서 드러났는데, 사로는 마에의 폭주를 제지하면서도 자신의 훈령을 어긴 마에에게 제대로 된 처분이나 견책을 내리지 않았다. 결국 이는 일반 식민지인들은 물론, 식민당국과 협조해야 할 안남과 통킹 보호령의 유신제 조정까지 실망시키기에 이르렀고, 이는 판보이쩌우베트남 국민당 결성과, 유신제가 참여한 1916년 베트남 봉기를 초래하는 데 일조하게 된다.

하여튼 그렇게 1913년 11월에 1차 총독 임기를 마치고 돌아온 사로는, 1914년 6월에 조각된 공화사회당르네 비비아니 내각의 문교부 장관으로 입각했으나 대전쟁이 터지고, 아리스티드 브리앙을 수상으로 삼은 거국내각(Union Sacrée)이 수립되면서 사임하게 된다. 그리고 1916년 베트남 봉기 이후, 그 뒷수습을 위해 사로는 다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총독으로 임명되어, 1919년까지 다시 총독으로 재임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사로는 인도차이나 지역의 점진적 독립 계획을 발표하는 등, 2번째 총독 임기의 많은 부분을 현지 민심을 달래는 데 할애했다.

전간기 거물 정치인으로서

수많은 내각조각(組閣)과 붕괴 사이에서

식민지장관 1기

그렇게 2번에 걸친 인도차이나 총독 직책을 수행한 사로는 중앙정계에 식민지 정책 전문가로 인식되었고, 곧 알렉상드르 밀랑의 단기간 내각에서 식민지 담당 장관으로 입각한다. 이때 사로는 프랑스 식민지들에 대한 발전 및 개발 계획을 내각에 상신하게 되는데, 이는 식민지인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적인 복지 제도와 기초교육 제도의 도입을 골자로 하는 것으로, 요컨대 식민지인들을 위한 교육기관이나 기초적인 생계를 지탱할 부를 지원함으로서 식민지 산업에 통솔력과 인재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블록 경제의 파이를 키우겠다는 성질의 것이었다. 그리고 사로는 이에 대한 홍보 목적으로 1922년 마르세유 식민 박람회를 지원했다.

하지만 이런 사로의 제안은 당시 프랑스의 재정 상태로는 감당하기 다소 어려운 것이었다. 특히 정치적 측면에서는 사정이 더더욱 좋지 못했는데, 당시 프랑스 정계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던 우익 성향의 청회색 의원(Chambre bleu horizon)[2]과의 공조로 유지되던 우익 무당파 ~ 급진당 내각으로서는 사로의 식민지 지원 정책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었던 것이다. 결국 사로의 새로운 식민지 정책 제안은 내각과 의회의 비토를 받고 좌초되고 만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후 내각들은 식민지 정책 전문가인 사로를 계속 식민지 담당 장관으로 유임시켰고, 1924년에 3기 레몽 푸앵카레 내각이 붕괴되기 이전까지 사로는 식민지장관으로서의 직위를 유지하게 된다.

내무장관 1기

그리고 2년 후인 1926년 7월 18일, 사로는 현재 옥시타니 주(Région)의 오드 지역구 보궐선거에서 상원의원으로 당선되었고, 당선된 지 5일 만에 4기 레몽 푸앵카레 내각의 내무장관으로 입각하고 1928년까지 장관으로 봉직하는데, 사로가 내무장관으로 입각하고 있던 1927년 10월, 우크라이나국의 군사 독재자였던 시몬 페틀류라가 우크라이나계 유대인이자 무정부주의자였던 사무일 슈바르츠발트에 의해 암살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페틀류라 군벌이 자행했던 수많은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학살과 우크라이나 무정부주의자의 거물이자 페틀류라의 적이었던 네스토르 마흐노의 비참한 말년에 슈바르츠발트가 분노해 저지른 짓이었다. 이런 점이 참작되어 슈바르츠발트는 1년여의 재판을 걸쳐 풀려났으나, 이는 슈바르츠발트를 소련 비밀경찰로 여기고 있던 프랑스 극우세력이 준동하는 수많은 계기 중 하나가 되고 만다.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1928년, 푸앵카레 총리가 개각을 시행했을 때, 사로는 저명한 청회색 의원이자 포슈 원수의 후견인으로 알려져 있던 앙드레 타르디외에게 내무장관 자리를 내줘야 했다.

해군장관 1, 2기

이후 11기 아리스티드 브리앙 내각과, 1기 앙드레 타르디외 내각 등의 단기 내각을 걸쳐 급진당 우위의 1기 카미유 쇼탕 내각이 들어서자 사로는 해군장관으로 입각했지만, 앙드레 타르디외가 이끄는 민주동맹 등의 정당들이 급진당 내각을 비토함에 따라, 사로는 겨우 9일만에 허무하게 해군장관 자리를 내놔야 했다. 하지만 9개월 후, 2기 타르디외 내각이 붕괴하면서 다시 급진당의 테오도르 스테그를 총리로 삼는 급진당 우위 내각이 구성되었고, 사로는 다시 한번 해군장관으로 입각한다. 그 과정에서 사로는 자신의 대자인 프랑수아 다를랑 제독을 밀어주면서 해군 예산을 증액시켰지만, 또 1개월만에 내각이 다시 붕괴되면서 사로는 또 다시 자리를 내놓아야만 했다.

식민지장관 2기

단기내각의 총리

국민혁명 합류

말년

각주

  1. 한자로는 중기흠사(中圻欽使)라고 불림
  2. 청회색(Bleu horizon)은 당시 프랑스군 군복의 색으로 제1차 세계대전 참전자 출신의 의원들을 통칭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