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틀:원소 정보' 표준화 v1.0)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사용자:Pika/대체용 틀
{{다른 뜻 넘어옴|팬더}}
|이름     = 우라늄
{{생물 분류
|그림     =  
|이름=판다
|그림설명 =
|그림=A Panda eating.jpg
|기호    = U
|상태 = EN | 상태_기준 = iucn3.1
|번호    = 92
|= [[동물|동물계]]
|족      =
|= [[척삭동물|척삭동물문]]
|주기    =
|= [[포유류|포유강]]
|계열    =
|= [[식육목]]
|구역    =
|= [[곰과]]
|전자배치 =
|= '''판다속'''
|전자 수  =
|= '''대왕판다'''
|질량    = 238.029 Da
|학명=''Ailuropoda melanoleuca''<br /><small>[[아르망 다비드|David]], 1869</small>
|반지름  = 175 pm
|공유    =
|판데르발스=  
|산화수  =
|음성도  = 1.38
|이온화1  =
|이온화2  =
|이온화3  =
|동위원소 =
|상태    = [[고체]]
|밀도    = 19.1 g/cm<sup>3</sup>
|결정구조 = [[단순 사방정계]]
|녹는점  = 1132.2 °C
|끓는점  = 4131 °C
|융해열  = 9.14 kJ/mol
|기화열  = 417.1 kJ/mol
|몰열용량 =
|증기압력 =
|음속    =
|도전율  =
|열전도율 =
|비고    =
}}
}}
'''판다''' 또는 '''팬더'''({{영어|Panda}}, {{중국어|熊猫|xióngmāo}})는 하얀 바탕에 귀와 눈 주변, 팔다리만 검은 곰을 일컫는 말로, [[식육목]] 곰과에 속하며 주로 [[중국]]과 [[티베트]] 등지에서 서식하는 동물이다. 갓 태어나서는 전신이 흰색이었다가 점점 크면서 우리가 익히 아는 팬더의 무늬로 변해간다. 또한 [[식육목]]에 속하지만 판다는 예외적으로 초식동물이다.


== 개요 ==
== [[중국]] ==
'''우라늄'''(유레이니엄)[[화학 원소]][[원소 기호]]는 '''U''', 원자 번호는 92인 은회색의 [[방사성]] [[금속]] 원소로, 자연상태로 발견되는 원소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원소이다.
[[중국]]에서는 판다를 중국의 국보(国宝)이자 상징으로 우대해주며, 보호종이고 중국 정부에서도 철저한 관리가 들어갈 정도로 애지중지하는 동물이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아시안 게임]] 등을 [[중국]]에서 개최한다고 하면 판다 마스코트가 꼭 들어가 있기도 한다.


자연계에는 질량비로 평균 2.7ppm의 농도로 토양에 존재하지만, 우라늄 광산에서 경제성 있는 광석으로는 500ppm~ 200,000ppm까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동물원]]이나 [[에버랜드]] 등지에서 판다를 데리고 있겠다고 하면 거액을 주고 [[중국]] 정부를 통해 빌려와야 한다. 또한 유지비가 워낙 많이 들어가다보니 [[중국]]으로 반환하는 경우도 허다하다.<ref>실제로 에든버러 동물원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유지비를 감당할 수 없자 다시 반환하기도 했다.</ref> 판다를 가장 많이 임대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일본]]이다.
우라늄에서 [[핵분열]]을 발견하게 되어 세계 최초의 [[원자로]][[핵무기]]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모든 대형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얻는 에너지원으로 우라늄을 쓰고 있다. 또한 지금은 안 쓰지만 형광 유리에도 어느 정도 사용이 되었었다.


== 용도 ==
== 대중매체 ==
가장 많은 사용처는 핵분열 발전소. 그 외에도 합금이나 착색제 등의 용도로도 사용된다.
느릿느릿한 성격과 행동, 그리고 귀여운 외모로 인해 실제로 판다곰은 인기가 많고, 다양한 대중매체의 소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중국]]의 상징으로 홍보가 많이 되어서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쿵푸 팬더]]처럼...


원자력 발전을 제외하고 대중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우라늄의 사용 방법은 [[열화우라늄탄]]이다.
=== 영화 ===
* [[쿵푸 팬더]]
* [[쿵푸 팬더 2]]


== 동위원소 ==
=== 광고 ===
우라늄은 217U부터 242U까지 합성되었다.
* [[판다 치즈]]


=== 우라늄-232 ===
== 여담 ==
우라늄-232는 실험용 원자로에서 토륨이 중성자를 먹게 되면 그 중 200ppm이 형성된다. 강한 감마선을 내뿜으며 반감기도 68.9년이나 되기 때문에 핵 페기물로 분류되고 있어 극히 위험하다.
* [[중국]] 커뮤니티, 메신저에서 팬더 이모티콘을 많이 쓰는데, 영화 《김관장 대 김관장 대 김관장》에 출연한 배우 [[최성국]]의 얼굴을 붙여 만든 이모티콘을 많이 쓰고 있다.<ref>[https://news.zum.com/articles/47697358 이모티콘이 돈이다. 중국 이모티콘 경제 쌩쌩] (2018.09.18, ZUM)</ref> 그냥 표정이 웃겨서 만들어진 건데 얼굴의 주인이 한국인인지도 몰랐던 사람도 있다고. [[최성국]] 본인도 알고 있으며, 심지어 "아시아 표정대장 빅3"로 뽑히기까지 했다는 일화를 [[라디오스타]]에서 소개하기도 했다.<ref>[https://news.zum.com/articles/28961827 '라디오스타' 최성국, 표정으로 중국서 스타 "이모티콘? 저 한국사람인 줄 모를 것"] (2016.02.25, ZUM)</ref>


=== 우라늄-233 ===
우라늄-233은 토륨이 중성자를 하나 먹으면 형성되는데 대략 75%의 비율로 생성된다. 나머지 25%는 우라늄-234로 변환된다. 이유는 프로악티늄-233의 반감기가 27일로 길기 때문이다. 임계질량은 20kg이며, 반사제를 이용하면 8kg까지 줄어들어 훌륭한 핵무기의 재료이자 핵발전의 연료이다.  반감기는 15만 [[9200년]]이다.
=== 우라늄-234 ===
우라늄-234는 자연계에 0.0054% 존재하며 반감기는 24만 [[5500년]]이다. 토륨 원자로에서는 프로악티늄의 25~27%의 비율이 우라늄-234로 변환되며 이 동위체는 핵분열을 못하므로 토륨 원전에서 중성자가 부족해지게 되는 원인이다.
하지만 가속기로 중성자를 공급한다는 것은 SF에 가깝고 경제성이 마이너스가 되어 오히려 손해가 막심해진다.
따라서 토륨 원전은 경제성이 없으므로 토륨에 우라늄-235이나 플루토늄-239를 섞어 발전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 우라늄-235 ===
{{참고|우라늄-235}}
[[우라늄-235]]는 0.7204%의 비율로 자연계에 존재하며 반감기는 7억 380만년이다. 핵분열 효율이 열 중성자로에서는 78~82%, 고속중성자(자원중성자로)로에서는 66~67%에 이르므로 훌륭한 핵연료이다.
임계질량도 54kg이며 중성자 반사제를 이용할 경우 최소 10kg까지 줄일 수 있으나 보통 경제성 있는 핵무기로는 20kg으로 맞추고 있다.
반감기가 태양계의 연대와 비교시 매우 짧아 자연계에 아쉽게 0.7%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44억년전 지구 초창기 시절에는 천연 동위체에 20%나 존재했었다.
=== 우라늄-236 ===
[[우라늄-236]]은 반감기가 2342만년이며, 이미 40억년전에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지만, 우라늄-235의 자발핵분열로 인해 생성된 중성자 활동으로 인해 새로 형성된 우라늄-236은 현재 자연계에서 발견되고 있다. 워낙 극미량이라 우라늄 동위 원소들 중 1조 3000억분의 1의 비율이지만 우라늄-235가 중성자를 하나 먹으면 생성되기 때문에 의미는 있다. 원자로에서도 대량 생산되는데 핵분열을 못해 핵폐기물로 분류된다. 그 다음 동위체인 우라늄-237도 핵분열 효율이 극히 낮으며, 넵투늄-237도 핵분열을 못한다. 또 다음 동위체인 238도 핵분열 효율이 극히 낮으므로 핵분열을 못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라늄-236은 핵폐기물로 분류되지만 중성자를 2개 흡수하면 원자력 전지의 연료인 플루토늄-238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우라늄-236의 일부는 플루토늄-238을 제조하는데 쓰인다.
=== 우라늄-238 ===
{{참고|우라늄-238}}
천연 동위 원소로 자연계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데 반감기가 44억 6800만년이나 되기 때문이다. 태양계의 역사보다 1억 400만년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초의 우라늄-238의 양과 비교하면 아직도 49%나 남아 있다. 우라늄-238은 우라늄 동위체의 99.28%나 존재하며 핵연료의 희석제로 쓰인다. 고속중성자(자원중성자)를 이용하면 많은 비율을 플루토늄-239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기대되는 동위체이다. 열중성자로에서도 많은 양의 우라늄-238이 중성자를 흡수하여 대량의 플루토늄-239를 형성하고 실제로 원자로의 에너지의 26%는 플루토늄-239의 핵분열로 생성된다.
== 화학 ==
우라늄은 [[산화물]], [[플루오린화물]]등을 만든다. 우라늄 원자 두개가 결합한 분자는 [[화학결합]]중 유일하게 피 결합 (결합 축을 중심으로 방사형 마디가 6개인 결합)을 하는 분자이다.
{{각주}}
{{각주}}
{{주기율표}}
[[분류:식육목]]
 
[[분류:방사성 동위 원소]]
[[분류:핵연료]]
[[분류:우라늄| ]]

2022년 6월 17일 (금) 13:21 판

틀:생물 분류 판다 또는 팬더(영어: Panda, 중국어: 熊猫 xióngmāo)는 하얀 바탕에 귀와 눈 주변, 팔다리만 검은 곰을 일컫는 말로, 식육목 곰과에 속하며 주로 중국티베트 등지에서 서식하는 동물이다. 갓 태어나서는 전신이 흰색이었다가 점점 크면서 우리가 익히 아는 팬더의 무늬로 변해간다. 또한 식육목에 속하지만 판다는 예외적으로 초식동물이다.

중국

중국에서는 판다를 중국의 국보(国宝)이자 상징으로 우대해주며, 보호종이고 중국 정부에서도 철저한 관리가 들어갈 정도로 애지중지하는 동물이다. 올림픽이나 월드컵, 아시안 게임 등을 중국에서 개최한다고 하면 판다 마스코트가 꼭 들어가 있기도 한다.

동물원이나 에버랜드 등지에서 판다를 데리고 있겠다고 하면 거액을 주고 중국 정부를 통해 빌려와야 한다. 또한 유지비가 워낙 많이 들어가다보니 중국으로 반환하는 경우도 허다하다.[1] 판다를 가장 많이 임대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일본이다.

대중매체

느릿느릿한 성격과 행동, 그리고 귀여운 외모로 인해 실제로 판다곰은 인기가 많고, 다양한 대중매체의 소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중국의 상징으로 홍보가 많이 되어서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쿵푸 팬더처럼...

영화

광고

여담

  • 중국 커뮤니티, 메신저에서 팬더 이모티콘을 많이 쓰는데, 영화 《김관장 대 김관장 대 김관장》에 출연한 배우 최성국의 얼굴을 붙여 만든 이모티콘을 많이 쓰고 있다.[2] 그냥 표정이 웃겨서 만들어진 건데 얼굴의 주인이 한국인인지도 몰랐던 사람도 있다고. 최성국 본인도 알고 있으며, 심지어 "아시아 표정대장 빅3"로 뽑히기까지 했다는 일화를 라디오스타에서 소개하기도 했다.[3]

각주

  1. 실제로 에든버러 동물원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유지비를 감당할 수 없자 다시 반환하기도 했다.
  2. 이모티콘이 돈이다. 중국 이모티콘 경제 쌩쌩 (2018.09.18, ZUM)
  3. '라디오스타' 최성국, 표정으로 중국서 스타 "이모티콘? 저 한국사람인 줄 모를 것" (2016.02.25, Z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