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빔밥

Jks84562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26일 (일) 00:59 판

개요

한국 요리의 상징이자 오메가인 요리이다. 반찬 위에 얹어내 으로 간을 하여 비벼낸 음식으로, 한국인이라면 '비빔밥'을 단 한 번도 먹어보지 못한 이가 없다고 할 정도로 대중적이고 지극히 가정적인 요리이다.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2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과거 백성들이 새참으로 먹던 것이 발전한 것이라는 설, 다른 하나는 제(祭)를 지낸 후 음복으로 먹던 골동반(화반)이 민간으로 퍼지는 과정에서 정착했다는 설인데, 양쪽 모두 일리가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두 설의 공통점은 그릇이 모자라서 밥 위에 모두 얹어 장과 함께 먹다보니 자연스레 비벼지며 발전했다는 것.

문헌상으로 최초 언급된 것은 19세기 말엽에 지어진 시의전서(是議全書)의 '부븸밥'이나, 기원이 기원인만큼 실제 역사는 이보다 더 길 것으로 예상된다.

상세

일반적으로 비빔밥은 여러 가지 나물, 밥과 고추장을 넣고 비벼서 달걀(생계란, 수란, 구운계란 등[1])를 얹어내 만든다. 고추장은 장독에서 바로 퍼담아 쓰기도 하지만 정성을 더 담자면 약고추장[2]으로 1차 가공을 거친다. 된장이나 초고추장을 대신 쓰는 조리법도 있으며, 외국으로 진출한 비빔밥 중에서는 자체적으로 창조한 양념장을 사용하는 레시피도 있다.

가정에서 비빔밥을 해먹을 때는 잔반을 활용하여 만드는 경우도 흔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례로 먹다 남은 된장찌개를 자글자글 더 졸여서 넣으면 강된장 비빔밥과 유사한 맛이 난다. [3]

바리에이션

  • 전주비빔밥 : 전라북도 전주의 명물 중 하나이자 비빔밥계의 얼굴마담. 육수로 밥을 지어 오방색을 살린 나물과 황포묵을 곁들이고, 약고추장을 사용하여 큰 유기그릇에 담아낸 것이 정석이다. 다만 의외로 1960년대 이후 전주 토박이들은 관광객들이나 먹는 음식이라며 비빔밥에 별로 호의적이지 않은데, 쓸데없이 화려하다는 이유가 다수이다.
  • 진주비빔밥 : 경상남도 진주의 명물 중 하나. 육회가 들어가고 선지국이 곁들여진 것이 특징이다.
  • 안동비빔밥 : =헛제사밥.
  • 해주비빔밥 : 황해도 해주의 명물인 닭고기 비빔밥.
  • 돌솥비빔밥 : 곱돌솥을 뜨겁게 달구어 담아낸 비빔밥. 열 보존력이 높은 곱돌의 특성상, 먹는 도중에도 계속 구워지는 덕에 구수한 맛이 점점 강해지는 것이 특징이다.
  • 산채비빔밥 : 산채 나물을 주재료로 한 비빔밥. 유사 요리로 봄나물비빔밥 등이 있다. 흔히 고기가 없는 비빔밥 정도의 의미로 쓰기도 하지만, 산채(山菜)가 들어가지 않으면 의미적으로 틀린 표현이다.
  • 새싹비빔밥 : 새싹 채소 및 어린 잎을 주재료로 쓴 비빔밥.
  • 멍게비빔밥 : 경상남도 통영의 명물. 멍게회와 초고추장, 김, 참기름을 이용해 회덮밥 풍으로 완성시킨 것이다. 전통음식이라 보기는 어렵고, 200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궤도를 탄 신생 비빔밥이다.
  1. 그 중에서 정석은 수란을 얹어내는 것이다.
  2. 기름에 볶은고추장. 장류는 한 차례 볶아내면 강렬한 짠맛이 다소 죽고 향이 살아난다. 특히 고급화된 비빔밥에는 다진 소고기를 넣은 소고기 약고추장을 쓰는 것이 정석이다.
  3. 그냥 맹 된장찌개를 부어서 대충 비벼먹기도 하지만, 요리의 관점에서 보면 그 음식은 된장국밥과 별반 차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