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센 소수

Zhuny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11월 2일 (월) 13:56 판 (→‎성질)

틀:토막글

정의

[math]\displaystyle{ 2^n-1\; (n\ge 2) }[/math] 꼴의 정수메르센 수(Mersenne number)라고 한다. 메르센 수 중에서 소수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라고 한다. 즉, 양의 소수 \(p\)에 대해 [math]\displaystyle{ M_p=2^p-1\;(p\ge 2) }[/math]가 소수이면 \(M_p\)를 메르센 소수라고 한다. 메르센 소수라는 이름은 프랑스의 수학자인 마랭 메르센(Marin Mersenne)에게서 따온 것이다.

성질

  1. 메르센 수 [math]\displaystyle{ M_n=2^n-1 }[/math]이 소수면 [math]\displaystyle{ n }[/math]도 소수이다.
    • [math]\displaystyle{ n }[/math]이 소수가 아니라면, [math]\displaystyle{ 1\lt a\lt n }[/math][math]\displaystyle{ n }[/math]의 약수 [math]\displaystyle{ a }[/math]가 존재한다. 그럼, [math]\displaystyle{ m\equiv 0\pmod a }[/math]이고, [math]\displaystyle{ 2^m-1\equiv2^0-1\pmod{2^a-1} }[/math]임을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해 보일 수 있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2^a-1\mid2^n-1 }[/math]이고, [math]\displaystyle{ M_n }[/math]은 소수가 아니다.
  2. [math]\displaystyle{ p }[/math]가 2가 아닌 소수라면, 메르센 수 [math]\displaystyle{ M_p }[/math]의 약수는 전부 [math]\displaystyle{ 2kp+1,\,k\in\mathbb{Z}^+ }[/math]의 형태이다.
    • [math]\displaystyle{ q }[/math][math]\displaystyle{ M_p=2^p-1 }[/math]의 소인수라 가정하자. 페르마의 소정리에 의해, [math]\displaystyle{ 2^{q-1}\equiv1\pmod q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q\mid2^{q-1}-1 }[/math]이다. [math]\displaystyle{ q\mid2^p-1 }[/math]이기도 하므로, [math]\displaystyle{ q\mid\gcd\left(2^{q-1}-1,2^p-1\right) }[/math]이다. 한편, [math]\displaystyle{ \gcd\left(2^{q-1}-1,2^p-1\right)=2^{\gcd\left(q-1,p\right)}-1 }[/math]이다.[1] 따라서, [math]\displaystyle{ q\mid2^{\gcd\left(q-1,p\right)}-1 }[/math]이다. 그런데 [math]\displaystyle{ p }[/math]가 소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gcd\left(q-1,p\right) }[/math]은 1 또는 [math]\displaystyle{ p }[/math]이다. 만약 [math]\displaystyle{ \gcd\left(q-1,p\right)=1 }[/math]이라면, [math]\displaystyle{ q\mid2^{\gcd\left(q-1,p\right)}-1=2^1-1=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q }[/math]가 소수라는 가정에 모순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gcd\left(q-1,p\right)=p }[/math]이고, [math]\displaystyle{ p\mid q-1 }[/math]이다. 곧, 적당한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m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q-1=mp }[/math]이다. [math]\displaystyle{ q }[/math]가 홀수이므로,[2] [math]\displaystyle{ q-1 }[/math]은 짝수이고, [math]\displaystyle{ p }[/math]는 홀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m }[/math]은 짝수여야 한다. 즉, 적당한 양의 정수 [math]\displaystyle{ k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q=mp+1=2kp+1 }[/math]이다. 마지막으로, [math]\displaystyle{ M_p }[/math]의 약수는 [math]\displaystyle{ M_p }[/math]의 적당한 소인수들의 곱이고, 임의의 소인수는 [math]\displaystyle{ 2kp+1 }[/math]의 형태이므로, 저 형태를 가진 소인수를 곱한 임의의 약수도 같은 형태이다.
  3. [math]\displaystyle{ n }[/math]이 짝수인 완전수[3]라면 [math]\displaystyle{ n=2^{m-1}\left(2^m-1\right) }[/math]이다 (단, [math]\displaystyle{ m\geq2 }[/math]정수, [math]\displaystyle{ 2^m-1 }[/math]은 (메르센) 소수). 이 명제의 역도 성립한다.
    • [math]\displaystyle{ n=2^{m-1}\left(2^m-1\right) }[/math]이고, [math]\displaystyle{ m\geq2 }[/math]인 정수, [math]\displaystyle{ 2^m-1 }[/math]은 소수라 가정하자. [math]\displaystyle{ 2^m-1 }[/math]은 홀수인 소수이므로, [math]\displaystyle{ \gcd\left(2^{m-1},2^m-1\right)=1 }[/math]이다. 즉, [math]\displaystyle{ \sigma\left(n\right)=\sigma\left(2^{m-1}\right)\sigma\left(2^m-1\right) }[/math][4][5][math]\displaystyle{ =\frac{2^m-1}{2-1}\left(2^m-1+1\right)=\left(2^m-1\right)2^m=2n }[/math]. 따라서, [math]\displaystyle{ n }[/math]은 완전수이다.
    • 역으로, [math]\displaystyle{ n }[/math]이 짝수인 완전수라 가정하자. 일단, 적당한 홀수 [math]\displaystyle{ t }[/math]와 1이상인 정수 [math]\displaystyle{ s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n=2^st }[/math]로 나타낼 수 있다.[6] 그럼, [math]\displaystyle{ 2n=2^{s+1}t=\sigma\left(n\right)=\sigma\left(2^st\right) }[/math]. [math]\displaystyle{ \gcd\left(2^s,t\right)=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sigma\left(2^st\right)=\sigma\left(2^s\right)\sigma\left(t\right)=\left(2^{s+1}-1\right)\sigma\left(t\right) }[/math]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2^{s+1}t=\left(2^{s+1}-1\right)\sigma\left(t\right) }[/math]이고, [math]\displaystyle{ 2^{s+1}\mid\left(2^{s+1}-1\right)\sigma\left(t\right) }[/math]임을 알 수 있다. 한편, [math]\displaystyle{ \gcd\left(2^{s+1},2^{s+1}-1\right)=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2^{s+1}\mid\sigma\left(t\right) }[/math]이다. 따라서, 적당한 정수 [math]\displaystyle{ q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sigma\left(t\right)=q2^{s+1} }[/math]이고, [math]\displaystyle{ 2^{s+1}t=\left(2^{s+1}-1\right)\sigma\left(t\right)=\left(2^{s+1}-1\right)qs^{s+1} }[/math]이다. 곧, [math]\displaystyle{ t=q\left(2^{s+1}-1\right) }[/math]. 여기서, [math]\displaystyle{ t+q=2^{s+1}q=\sigma\left(t\right) }[/math]임을 알 수 있다. 한편, [math]\displaystyle{ q\mid t,\,q\neq t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q=1 }[/math]이어야만 한다. 만약 아니라면, [math]\displaystyle{ t\mid t,q\mid t,1\mid t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sigma\left(t\right)\geq1+q+t }[/math]이라 모순이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sigma\left(t\right)=t+1 }[/math]이고, 이는 곧 [math]\displaystyle{ t=2^{s+1}-1 }[/math]가 소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n=2^st=2^s\left(2^{s+1}-1\right) }[/math]. 마지막으로, [math]\displaystyle{ s\geq1 }[/math]이므로, [math]\displaystyle{ m=s+1\geq2 }[/math].
    • 이 성질은 곧 짝수인 완전수와 메르센 소수가 일대일 대응한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메르센 소수 목록

순서 \(p\) 자리수 발견 연도 및 발견자
1 2 1
2 3 1
3 5 2
4 7 3
5 13 4 1456 미상
6 17 6 1588 Cataldi
7 19 6 1588 Cataldi
8 31 10 1772 Euler
9 61 19 1883 Pervushin
10 89 27 1911 Powers
11 107 33 1914 Powers
12 127 39 1876 Lucas
13 521 157 1952 Robinson
14 607 183 1952 Robinson
15 1279 386 1952 Robinson
16 2203 664 1952 Robinson
17 2281 687 1952 Robinson
18 3217 969 1957 Riesel
19 4253 1281 1961 Hurwitz
20 4423 1332 1961 Hurwitz
21 9689 2917 1963 Gillies
22 9941 2993 1963 Gillies
23 11213 3376 1963 Gillies
24 19937 6002 1971 Tucker
25 21701 6533 1978 Noll, Nickel
26 23209 6987 1979 Noll
27 44497 13395 1979 Nelson, Slowinski
28 86243 25962 1982 Slowinski
29 110543 33265 1988 Colquitt, Welch
30 132049 39751 1983 Slowinski
31 216091 65050 1985 Slowinski
32 756839 227832 1992 Slowinski, Gage
33 859433 258716 1994 Slowinski, Gage
34 1257787 378632 1996 Slowinski, Gage
35 1398269 420921 1996 Armengaud, Woltman, et al.
36 2976221 895932 1997 Spence, Woltman
37 3021377 909526 1998 Clarkson, Woltman, Kurowski, et al.
38 6972593 2098960 1999 Hajratwala, Woltman Kurowski, et al.
39 13466917 4053946 2001 Clarkson, Woltman, Kurowski et al.
40 20996011 6320430 2003 Schafer
41 24036583 7235733 2004 Findley
42 25964951 7816230 2005 Nowak
43 30402457 9152052 2005 Cooper, Boone
44 32582657 9808358 2006 Cooper, Boone
45? 37156667 11185272 2008, Elvenich, Woltman, Kurowski, et al.
46? 42643801 12837064 2009 Odd Magnar
47? 43112609 12978189 2008 Smith, Woltman, Kurowski, et al.
48? 57885161 17425170 2013 Cooper, Woltman, Kurowski, et al.

외부 링크

각주

  1. [math]\displaystyle{ \gcd\left(2^a-1,2^b-1\right)=2^{\gcd\left(a,b\right)}-1 }[/math]임을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여 보일 수 있다.
  2. [math]\displaystyle{ M_p }[/math]는 홀수이므로 2를 소인수로 가질 수 없다.
  3.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과 같은 수
  4. [math]\displaystyle{ \sigma\left(n\right) }[/math][math]\displaystyle{ n }[/math]의 양의 약수의 합
  5. [math]\displaystyle{ \sigma\left(n\right) }[/math]은 multiplicative 함수이므로 저렇게 쪼갤 수 있다. multiplicative 함수란, [math]\displaystyle{ m, n }[/math]이 서로소일 때 [math]\displaystyle{ f\left(mn\right)=f\left(m\right)f\left(n\right) }[/math]이 성립하는 함수 [math]\displaystyle{ f }[/math]를 말한다. 만약 [math]\displaystyle{ m, n }[/math]이 서로소가 아니여도 성립한다면 completely multiplicative라 부른다.
  6. 증명은 수학적 귀납법을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