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검법: 두 판 사이의 차이

4번째 줄: 4번째 줄:
[[무협 소설]], 개중에서도 [[대한민국]]의 무협 소설에 나오는 화산파는 [[매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무협 소설]], 개중에서도 [[대한민국]]의 무협 소설에 나오는 화산파는 [[매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화산파 자체는 [[와룡생]]이 쓴 대만발 무협 소설 《[[비연경룡]]》을 통해 한국에 전해졌지만, 매화검법이라는 화산파 무공은 1980년대 [[구무협]] 시절부터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그 뒤로 20~30년이 지난 시대까지 화산파의 비전절기로 매화검법이 당연시되는 한국 무협의 풍토를 보면 이만큼 성공적으로 정착한 고유 설정도 달리 없을 것이다.
화산파 자체는 [[와룡생]]이 쓴 대만발 무협 소설 《[[비연경룡]]》(1958년)을 통해 한국에 전해졌지만, 매화검법이라는 화산파 무공은 1980년대 [[구무협]] 시절부터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그 뒤로 20~30년이 지난 시대까지 화산파의 비전절기로 매화검법이 당연시되는 한국 무협의 풍토를 보면 이만큼 성공적으로 정착한 고유 설정도 달리 없을 것이다.


다만 다시 근본을 따져 보면 매화검법의 기원 또한 대만의 무협 소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왜냐하면 화산파와 매화가 엮인 최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용대운]]의 《[[마검패검]]》(1988년 발표)은, [[고룡]]의 《[[다정검객무정검]]》을 표절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다정검객무정검》 초반부에서 '매화'는 중요한 키워드로서 등장하며, 용대운이 여기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가능하다.
다만 다시 근본을 따져 보면 매화검법의 기원 또한 대만의 무협 소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왜냐하면 화산파와 매화가 엮인 최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용대운]]의 《[[마검패검]]》(1988년)은, [[고룡]]의 《[[다정검객무정검]]》(1968년)을 표절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다정검객무정검》 초반부에서 '매화'는 중요한 키워드로서 등장하며, 용대운이 여기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가능하다.


== 통속적인 묘사 ==
== 통속적인 묘사 ==

2021년 4월 16일 (금) 23:00 판

매화검법(梅花劍法)은 무협물에 나오는 검법으로, 대개 화산파무공으로 나온다. 스물네 가지 초식으로 이루어졌다고 이십사수매화검법(二十四手梅花劍法)이라고도 한다.

기원

무협 소설, 개중에서도 대한민국의 무협 소설에 나오는 화산파는 매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화산파 자체는 와룡생이 쓴 대만발 무협 소설 《비연경룡》(1958년)을 통해 한국에 전해졌지만, 매화검법이라는 화산파 무공은 1980년대 구무협 시절부터 한국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것이다. 그 뒤로 20~30년이 지난 시대까지 화산파의 비전절기로 매화검법이 당연시되는 한국 무협의 풍토를 보면 이만큼 성공적으로 정착한 고유 설정도 달리 없을 것이다.

다만 다시 근본을 따져 보면 매화검법의 기원 또한 대만의 무협 소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왜냐하면 화산파와 매화가 엮인 최초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용대운의 《마검패검》(1988년)은, 고룡의 《다정검객무정검》(1968년)을 표절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다정검객무정검》 초반부에서 '매화'는 중요한 키워드로서 등장하며, 용대운이 여기에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가능하다.

통속적인 묘사

일반적으로 매화검법은 허공에 매화 꽃무늬를 수놓는 화려한 검법으로 묘사된다.

기공과 접목된 매화검법은 신비롭게도 매화향을 풍기는 효과도 보인다. 향기를 발생시키다니 무술로서는 원리든 의미든 이해할 수 없는 특징이지만, 이 매화향은 매화검법의 트레이드마크와 같아서 웬만해선 빠트리지 않는 포인트다.

초식

출전은 알 수 없으나 이하와 같은 23개의 초식명이 한국의 웹상에 떠돌고 있으며, 많은 작품에서 이 초식명 설정을 유용하고 있다.

  • 매화노방 (梅花路傍)
  • 매화접무 (梅花蝶舞)
  • 매화토염 (梅花吐艶)
  • 매개이도 (梅開利導)
  • 매화낙섬 (梅花落暹)
  • 매화낙락 (梅花落落)
  • 매화빈분 (梅花頻紛)
  • 매화혈우 (梅花血雨)
  • 매화구변 (梅花九變)
  • 매화만개 (梅花滿開)
  • 매화인동 (梅花忍冬)
  • 매화점개 (梅花漸開)
  • 매화점점 (梅花漸漸)
  • 매화난만 (梅花爛漫)
  • 낙매분분 (落梅紛紛)
  • 낙매성우 (落梅成雨)
  • 매영조하 (梅影造河)
  • 매인설한 (梅忍雪寒)
  • 매향성류 (梅香成流)
  • 매향침골 (梅香浸骨)
  • 매향취접 (梅香醉蝶)
  • 매유청죽 (梅遊靑竹)
  • 매화만리향 (梅花萬里香)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