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가요: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토막글}}" 문자열을 "" 문자열로)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대중가요]]
'''대중가요'''(大衆歌謠)는 [[근대]] 이후 대중매체와 상업성을 가진 공연 등을 통해 대중 사이에서 불리는 [[노래]]다. [[영어]]로 번역할 경우 포퓰러 송(Popular song)이라 불리는 [[팝송]]이 여기에 해당되겠지만, 여기에서는 [[한국]]의 대중가요에 대해서 서술한다.


==역사==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의 정확한 시작점은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우나, 한국인이 창작한 최초의 유행가는 [[1923년]] 발표된 박채선, 이류색이 부른 《이 풍진 세월》로 알려져 있다.


*大衆歌謠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 대중가요(특히 [[엔카]])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풍의 노래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퍼지기 시작했다.
==개요==
[[근대]] 이후 대중매체와 상업성을 가진 공연 등을 통해 대중 사이에서 불리는 노래. 영어로 번역할 경우 Popular song이라 불리는 [[팝송]]이 여기에 해당되겠지만, 여기에서는 한국의 대중가요에 대해서 서술한다.


==시대별 특성==
===해방 이후~한국전쟁기===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의 정확한 시작점은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우나 우리나라 사람이 창작한 최초의 유행가는 [[1923년]] 발표된 박채선, 이류색이 부른 "이 풍진 세월"로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대중가요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풍의 노래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퍼지기 시작했다.
===1960년대===


===해방이후~[[한국전쟁]]기===
===1970년대===


===[[1960년]]대===
===1980년대===


===[[1970년]]대===
===1990년대===
;초기
:[[1990년]]대 한국 대중가요의 가장 큰 획을 그은 가수는 [[서태지와 아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후기
:[[1997년 외환 위기]]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의 위축에 따른 대중가요 음악 시장의 축소 및 방송에서의 사실상의 퇴출<ref>이 시기에 기존의 가요 순위 프로그램들이 모두 다 폐지되었다. 사회적 자숙을 위한 것이라는 말도 안 되는 이유로</ref> 및 [[소리바다]]로 대표되는 [[p2p]] 프로그램으로 음반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게 된다.


===[[1990년]]대===
===2000년대===
*초기
[[1990년]]대 한국 대중가요의 가장 큰 획을 그은 가수는 [[서태지와 아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2010년대===
 
{{빈 문단}}
*후기
[[1997년]] [[외환위기]]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의 위축에 따른 대중가요 음악시장의 축소, 및 방송에서의 사실상의 퇴출<ref>이 시기에 기존의 가요 순위프로그램들이 모두 다 폐지되었다. 사회적 자숙을 위한 것이라는 말도 안되는 이유로</ref> 및 [[소리바다]]로 대표되는 p2p 프로그램으로 음반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게 된다.
 
===[[2000년]]대===


===2020년대===
2023년부터 [[ChatGPT]]의 파장에 의한 영향으로 전 세계 대중음악계에서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u2nFoqZvHijDNt1X16Ex4OtRU19Iipll 2023년 MWM 콘퍼런스]를 통하여 전 세계 음악 업계인의 인공지능과 음악의 활용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주석}}
{{주석}}
[[분류:대중가요| ]]

2023년 6월 4일 (일) 11:47 기준 최신판

대중가요(大衆歌謠)는 근대 이후 대중매체와 상업성을 가진 공연 등을 통해 대중 사이에서 불리는 노래다. 영어로 번역할 경우 포퓰러 송(Popular song)이라 불리는 팝송이 여기에 해당되겠지만, 여기에서는 한국의 대중가요에 대해서 서술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일제강점기[편집 | 원본 편집]

한국 대중가요의 정확한 시작점은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우나, 한국인이 창작한 최초의 유행가는 1923년 발표된 박채선, 이류색이 부른 《이 풍진 세월》로 알려져 있다.

일제 강점기 당시 일본 대중가요(특히 엔카)의 영향을 받은 트로트풍의 노래가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퍼지기 시작했다.

해방 이후~한국전쟁기[편집 | 원본 편집]

196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7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8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편집 | 원본 편집]

초기
1990년대 한국 대중가요의 가장 큰 획을 그은 가수는 서태지와 아이들이라고 할 수 있다.
후기
1997년 외환 위기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의 위축에 따른 대중가요 음악 시장의 축소 및 방송에서의 사실상의 퇴출[1]소리바다로 대표되는 p2p 프로그램으로 음반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되게 된다.

20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10년대[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20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23년부터 ChatGPT의 파장에 의한 영향으로 전 세계 대중음악계에서 2023년 MWM 콘퍼런스를 통하여 전 세계 음악 업계인의 인공지능과 음악의 활용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각주

  1. 이 시기에 기존의 가요 순위 프로그램들이 모두 다 폐지되었다. 사회적 자숙을 위한 것이라는 말도 안 되는 이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