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조종사면허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7일 (일) 11:28 판 (새 문서: 분류:건설기계 분류:면허 '''건설기계조종사면허'''는 건설기계를 조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교육을 이수하였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건설기계조종사면허건설기계를 조작하기 위한 최소한의 교육을 이수하였다고 인정되는 자에게 부여하는 면허다. 기본적으로 관련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한 자에게 시·군·구의 장이 부여한다.

아래 목록에 없는 것은 국가기술자격을 따야 면허증을 받을 수 있다.

소형건설기계

일정 이하 건설기계는 지정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이수하기만 하면 자격이 부여된다. 6~8시간의 이론교육과 12시간의 실습교육이 필요하다. (건설기계관리법시행규칙 제74조)

  • 적재중량 3톤 미만 지게차(1종보통 소지 필요)
  • 적재중량 3톤 미만 타워크레인
  • 자체중량 3톤 미만 굴삭기
  • 자체중량 5톤 미만 로더
  • 자체중량 5톤 미만 불도저
  • 자체중량 5톤 미만 천공기(특수자동차 제외)
  • 콘크리트펌프(특수자동차에 한함)
  • 공기압축기
  • 쇄석기
  • 준설선

운전면허 특례

다음에 해당하는 건설기계는 특정 운전면허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자격이 있다고 본다. 도로교통법에 따라 1종대형 면허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