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나이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3일 (금) 11:55 판 (서열은 학번, 군번 등 가입 시기에 결정나기 때문에 나이와 관계 없는 것으로 보임. 대부분은 세는 나이 문서에 있어야 할거 같은데..)

만 나이는 역법상의 1월 1일에 다 같이 나이를 먹는 세는 나이와는 달리 본인의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헤아리는 방법으로, 출생일부터 다음해 출생일까지는 0살로 본다.

대한민국에서

제도상으로는 만 나이를 쓰지만, 1980년대 이후 군대식 사병 문화가 일반 사회에 터를 잡아서 서열에 민감한 현대의 한국 사회에서는 아예 일상적으로 세는 나이를 통용하게 되어버린 덕분에 서류 기재 시에 혼란이 많이 일어나는 편. 쓸 일이 없다보니 한국 사람들은 본인의 만 나이를 거의 모른다.

구글 검색에서는 위키백과의 자료를 참고 하므로 만 나이만 표기해주지만, 네이버 등의 한국 사이트에서는 만 나이와 세는 나이를 동시에 표기하고 있다.

만 나이를 사용하자는 청원이 몇 번 나온 적 있지만, 호응이 적었고 결국 통과되지 않았다.[1] 대부분 세는 나이에 익숙해져 바뀔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각주

  1. 김서진 (2018년 3월 1일). '한국식 나이' 폐지하고 '만 나이'로 통일?,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18년 3월 28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