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체

Yuma tsukumo39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4월 28일 (일) 13:53 판 (→‎특징)

커뮤체자캐 커뮤니티와 그림의 합성어로 대한민국 여성향 동인계에 많이 사용되는 그림체이다.

용어 자체는 2014년 전후에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며, 원형은 《치즈인더트랩》의 작가 순끼의 그림체로 알려져 있다.

특징

  • 위아래로 길쭉해서 눈이 얼굴의 반이나 되는 미소녀 그림체 [1]와는 달리, 커뮤체는 눈이 양옆으로 긴 편이며 속눈썹을 강조해 그린다. 눈동자는 모에체보다 간략화해서 묘사하며 삼백안이나 사백안이 많다.
  • 명암 표현은 최소 2톤, 최대 3톤을 넘기지 않는다. 심하면 밑채색만 하거나 그라데이션만 입히고 끝내기도 한다.
  • 이목구비 표현은 모에체에 비해 뚜렷한 편. 콧대 묘사는 반드시 하며 입을 보다 크게 그리는 편.
  • 등신 비율은 작으면 6, 평균은 7, 8등신 정도로 길며 슬림한 체형이 많다.
  • 전반적으로 입체감이 부족하다.

원형

커뮤체 자체는 《치즈인더트랩》에서 완성되었다. 순정만화와 BL을 위시한 여성향 컨텐츠에서 사용되는 그림체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그림체이다. 눈을 양옆으로 길게 그리는 것도 눈을 과장하는 여성 캐릭터와 달리 실사 비율을 맞추는 남성 캐릭터 묘사에서 따온 것이다.

한계점

아무리 예쁘게 그려도 매우 단순한 그림체라는 한계가 명확하여 게임라이트 노벨 삽화를 위시한 일러스트 업계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커뮤체는 주로 여성향 동인계, 혹은 그림 실력보다 스토리텔링과 연출력이 중요한 만화에서 사용된다.

일러스트레이터/게임 원화가 지망생들은 지양해야 하는 그림체. 커뮤체 같은 단순한 스타일의 포트폴리오는 회사에서 확인조차 안하고 바로 탈락 시킨다.

오해

커뮤체는 못그린 그림체이다.
그림은 미술의 기본기가 부족하면 무슨 그림체로 그리든 간에 못 그려 보인다. 단순한 그림체라 기본기가 부족한 사람들이 낮은 실력을 감추기 위해 커뮤체를 쓰는 경우가 많아 편견이 생긴 것이다. 원형이 된 치즈인더트랩을 보면 작가의 기본기가 탄탄하기 때문에 어색해 보이지 않다.
커뮤체는 몰지각한 그림쟁이들이 사용하는 그림체이다.
트위터 마이너 갤러리를 비롯해 커뮤체를 혐오하는 남초 커뮤니티에서 많이 나오는 말. 이건 저연령대가 많은 대한민국 동인계의 문제지, 커뮤체 자체의 문제가 아니다. 상기 언급한대로 부족한 실력과 기본기를 감추는 데 좋다보니 아마추어 그림쟁이들이 커뮤체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그 중 일부 저연령층이나 사회성이 부족한 그림쟁이들이 물의를 일으키는 것에 불과하다.

같이 보기

각주

  1. 통칭 모에체, 망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