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체

오타크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7월 14일 (토) 11:46 판 (새 문서: File:성체.PNG|400px|섬네일|그놈의 뿅뿅사건 일어나기 하루 전의 네이버에 성체를 검색했을 시의 출력되는 결과물. 고작 하루 뒤부터 지금...)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파일:성체.PNG
그놈의 뿅뿅사건 일어나기 하루 전의 네이버에 성체를 검색했을 시의 출력되는 결과물. 고작 하루 뒤부터 지금까지의 검색결과와 비교해보면 얼마나 분위기가 달라졌는지 심하게 실감할 수 있다.


다육식물계에서도 이 용어를 쓰는 것 같지만, 보통 다 자란 동물을 가리키는 단어로 쓴다.

성견, 성묘, 성우, 성돈 등이 모두 이 단어 안에 포괄된다. 반댓말은 유체. (해츨링-유체-아성체-성체-완성체 순)


성체라는 단어가 쓰이는 동물은 대표적으로 타란툴라와 전갈. 타란툴라는 성체를 넘어서 완성체라고 부르는 단계까지도 존재한다.

일반적인 애완동물보다는 희귀 애완동물에 많이 사용하는 단어이며(당연한 게 희귀애완동물 계에는 성견이나 성묘 등 이미 정립된 한자 단어가 없기 때문에), 위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온갖 애완동물들, 심지어 갑오징어나 멍게까지도 쓰이는 단어이며 심지어 곤충인 밀웜을 밀웜성체(....)라고 부르는 웃지 못할 경우도 있다.

중요한 부분으로, 조류, 어류, 곤충은 각각 성조, 성어, 성충이라는 단어가 있다. 성체라고 부르는 건 틀린 경우.

햄스터 또한 이미 성서라는 단어가 있지만, 이 단어를 모르는 사람들이 태반이어서 그런지 그냥 햄스터같이 대중적인 애완동물도 '햄스터 성체'라고 불리는 판국이다(....)